[[분류:뉴욕 양키스/2019년]]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뉴욕 양키스/역사)] ||<-5><#ffffff><:>[[뉴욕 양키스|[[파일:뉴욕 양키스 엠블럼.svg|height=50]]]] [BR] '''{{{#132448 뉴욕 양키스 시즌별 성적}}}''' || ||<:> [[뉴욕 양키스/2018년|2018 시즌]] || {{{+1 ←}}} ||<#132448><:> '''{{{#ffffff 2019 시즌 }}}''' || {{{+1 →}}} ||<:> [[뉴욕 양키스/2020년|2020 시즌]] || ||<-8><#132448><:> '''{{{#ffffff 뉴욕 양키스 정규시즌 성적 }}}''' || ||||<#ffffff> {{{#132448 ''' AL 동부지구 순위'''}}} ||<#ffffff> {{{#132448 '''경기'''}}} ||<#ffffff> {{{#132448 '''승'''}}} ||<#ffffff> {{{#132448 '''패'''}}} ||<#ffffff> {{{#132448 '''승률'''}}} ||<#ffffff> {{{#132448 '''경기차'''}}} ||<#ffffff> {{{#132448 '''WC 순위'''}}} || |||| 1 || 162 || 103 || 59 || .636 || - || - || ||||<-2><:> [[뉴욕 양키스|[[파일:뉴욕 양키스 엠블럼.svg|height=50]]]] [BR] [[뉴욕 양키스/2019년|,,{{{#132448 뉴욕 양키스 2019시즌 }}},, ]] || ||<:><-2><#132448> '''{{{#ffffff 팀 성적}}}'''|| ||<:><#C0C0C0> '''{{{#1C2841 페넌트레이스}}}''' ||<:> 103승 59패(지구 1위)|| ||<:><#C0C0C0> '''{{{#1C2841 포스트시즌}}}''' ||<:> 3승(ALDS 승리)[br]2승 4패(ALCS 탈락) || ||<:><-2><#132448> '''{{{#ffffff 팀 내 투수 주요 성적}}}'''|| ||<:><#C0C0C0> '''{{{#1C2841 최저 평균자책점 투수}}}''' ||<:>[[다나카 마사히로]](4.45)[* 규정이닝 기준]|| ||<:><#C0C0C0> '''{{{#1C2841 최다 승 투수}}}''' ||<:>[[도밍고 헤르만]](18)|| ||<:><#C0C0C0> '''{{{#1C2841 최다 탈삼진 투수}}}''' ||<:>[[제임스 팩스턴]](186)|| ||<:><#C0C0C0> '''{{{#1C2841 최다 이닝 투수}}}''' ||<:>[[다나카 마사히로]](182.0)|| ||<:><#C0C0C0> '''{{{#1C2841 최다 세이브 투수}}}''' ||<:>[[아롤디스 채프먼]](37)|| ||<:><-2><#132448> '''{{{#ffffff 팀 내 타자 주요 성적}}}'''|| ||<:><#C0C0C0> '''{{{#1C2841 최고 타율 타자}}}''' ||<:>[[DJ 르메이휴]](.327)[* 규정타석 기준]|| ||<:><#C0C0C0> '''{{{#1C2841 최고 출루율 타자}}}''' ||<:>[[루크 보이트]](.378)[* 규정타석 기준]|| ||<:><#C0C0C0> '''{{{#1C2841 최고 장타율 타자}}}''' ||<:>[[글레이버 토레스]](.535)[* 규정타석 기준]|| ||<:><#C0C0C0> '''{{{#1C2841 최다 홈런 타자}}}''' ||<:>[[글레이버 토레스]](38)|| ||<:><#C0C0C0> '''{{{#1C2841 최다 타점 타자}}}''' ||<:>[[DJ 르메이휴]](102)|| ||<:><#C0C0C0> '''{{{#1C2841 최다 도루 타자}}}''' ||<:>[[브렛 가드너]](10)|| '''2019년 9월 29일 기준'''[* 현지기준] [목차] == 개요 == 뉴욕 양키스의 2019시즌을 다루는 문서이다. == 오프시즌 == 시즌 종료 직후 시애틀로부터 선발투수 [[제임스 팩스턴]]을 영입하였다. 대가로 양키스는 팜 상위 유망주인 저스티스 셰필드를 포함한 유망주 3명 패키지를 내줬다. 오프시즌에는 [[브라이스 하퍼]]나 [[매니 마차도]]와 같은 선수와 연결되고 있었다. 특히 뉴욕 양키스 팬을 자처하는 마차도와의 계약에 집중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뜬금없이 줍키스 본능이 돌아온 것인지~~ 토론토가 방출한 [[트로이 툴로위츠키]]를 최저연봉으로 주워왔다. 장기 부상중인 [[디디 그레고리우스]]의 백업으로 영입한 듯. 그리고 나서 [[잭 브리튼]]을 3년 $39M(옵션포함 총액 4년 $53M)에 계약했고, 마차도에 집중할 것이라는 세간의 반응을 깨는 뜬금포 계약으로 2루수 [[DJ 르메이휴]]를 2년 $24M에 잡았다. [[미겔 안두하]]나 트로이 툴로위츠키 등의 수비력을 믿을 수 없는 상황에서 2루수-유격수-3루수까지 책임질 멀티 수비자원으로 기대하고 잡은게 아닌가 하는 예상이 많다. 그리고 FA 불펜 아담 오타비노[* 그 와중에 등번호를 콜로라도 때처럼 0번을 달면서 116년 양키스 역사에 최초로 0번을 단 선수가 되었다.]까지 3년 $27M에 영입하면서 오타비노 - 그린 - 브리튼 - 베탄시스 - 채프먼으로 이어지는 지구 최강급의 불펜을 갖추었다. 원정경기에서는 잘 했다지만 에이스로서의 기대치에 전혀 못 미쳤고, 제임스 팩스턴의 영입과 CC 사바시아의 재계약으로 선발진의 계륵 신세가 된 [[소니 그레이]]는 [[신시내티 레즈]]와 [[시애틀 매리너스]]가 낀 삼각 트레이드를 통해 레즈로 보냈다. 댓가는 외야 유망주 조시 스토워스, 좌완투수 리버 산마틴, 36순위 신인 지명권. 10월 1일 기준 미복귀 선수 * 3/28 [[자코비 엘스버리]] 시즌아웃 * 4/16 [[그렉 버드]] 시즌아웃 * 5/16 [[미겔 안두하]] 시즌아웃 * 5/26 [[제이크 바렛]] 시즌아웃 * 8/4 [[애런 힉스]] 시즌 아웃 * 8/10 [[조나단 홀더]] 시즌아웃 * 9/9 [[마이크 터크먼]] 10일 IL * 9/17 [[델린 베탄시스]] 시즌아웃 * 9/20 [[도밍고 헤르만]] 시즌아웃 == 40인 로스터 == [include(틀:뉴욕 양키스 로스터/간략)] == 정규시즌 == ||
<#FFFFFF><|3>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130]] ||<#ffffff><-9> '''{{{#132448 {{{+1 뉴욕 양키스 2019년 페넌트레이스 성적}}}}}}''' [br] '''{{{#000000 (정규시즌 종료 기준)}}}''' || || {{{#ffffff '''순위'''}}} || {{{#ffffff '''경기 수'''}}}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타율'''}}} || {{{#ffffff '''평균자책점'''}}} || {{{#ffffff '''게임차'''}}} || {{{#ffffff '''승률'''}}} || || {{{#000000 {{{+3 '''1''' / 5}}}}}} || '''162''' || '''103''' || '''59''' || '''.267''' || '''4.31''' || '''-''' || {{{+3 {{{#000000 '''.636'''}}}}}} || === [[뉴욕 양키스/2019년/3~4월|3~4월]] === [[파일:YANKEES IL LINEUP.jpg]] 참고로 위 사진은 라인업이 아니라 부상자 명단(...)이다. 토레스를 제외한 전원이 부상이다. 심지어 외야수 세명이 전부 나가리되고 백업 외야수 프레이저가 포텐이 터졌는데 이 백업 외야수 마저 부상 당하는 위업을 보여준다. 이미 팬덤은 알리그 빅3(보스턴,휴스턴) 중 최약체로 취급하며 내년을 기약하는 듯(...) 그래도 희망적인 것은부상으로 휘청대고 있지만 대체선수들의 활약으로 어찌어찌 어거지로 이기며 5할 승률을 마크하고 있다는 점과 라이벌 보스턴도 삽질 중이라는 것이다. === [[뉴욕 양키스/2019년/5월|5월]] === 보험으로 주어온 르메이휴가 맹활약하고 부상 중인 선수도 하나 둘 돌아오며 순위를 꾸준히 올리는 중이다. 5월 18일부터 시작돠는 템파베이와의 3연전에서 2승 1패 위닝시리즈로 가져가면서 동부지구 1위를 탈환했다!!! === [[뉴욕 양키스/2019년/6월|6월]] === 부상자 복귀와 엔카나시온 영입 이후 엄청난 모습을 보여주며 아메리칸 리그 승률 1위가 되었다. === [[뉴욕 양키스/2019년/7~8월|7~8월]] === 올스타 이후 패배하는 횟수가 늘어나고 있다. 다나카-팩스턴-헤르만 순으로 성적이 가라앉기 시작했다. 어찌 오타비노-채프먼 등이 이끄는 불펜으로 버티고 있긴 하지만 불펜야구의 최후는 늘 봐왔듯이...하루 빨리 선발진들의 각성이 필요한 때이다. 포스트시즌만 가면 선발진들이 버프를 먹는다는 소리가 나오고 있지만 일단 디비전 시리즈부터 뚫을수 있을지가 문제이다. 8월23일부터 25일 [* 현지기준] 있었던 [[내셔널리그]]1위 [[LA 다저스]]와의 3연전을 2승1패 위닝시리즈로 장식했다. === [[뉴욕 양키스/2019년/9~10월|9~10월]] === 9월20일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를 1대9로 승리하면서 2012년 이후 7년 만에 [[아메리칸 리그]] 동부지구 우승을 차지했다.[* 공교롭게도 에인절스는 이틀 후인 9월 22일, 휴스턴과의 원정경기에서도 패해 애스트로스의 서부지구 우승까지 헌납했다.] === 정규시즌 총평 === 나름대로 서서히 악의 제국의 귀환을 위해 준비해오고 있었고 특별히 [[보스턴 레드삭스|지난해의 디펜딩 챔피언이자 철천지 웬수]]가 느닷없이 올시즌 니가 해라 지구우승 모드가 돼버리면서 정말로 지구 우승을 차지했다. 올 시즌 팀 컬러는 작년과 동일하게 홈런 야구와 불펜 야구. 홈런은 미네소타와 똑같이 팀 300홈런을 넘겼으며 불펜은 [[애덤 오타비노]]를 영입하면서 더욱 단단해져 리그 2위 불펜을 보유하고 있다. == 포스트시즌 == === [[2019 아메리칸 리그 디비전 시리즈|디비전 시리즈]] === [[2019 아메리칸 리그 디비전 시리즈|문서]] 참조. [[미네소타 트윈스]]와 디비전 시리즈를 치루게 되었다. 문제는 홈런포가 아닌 단타 위주로 득점을 해낼 수 있느냐는 것일 것이다. 선발투수나 불펜에서 도사리고 있는 불안요소나 위험 요소[* 우선적으로 다른 선발진이 부진할때 밥값했던 도밍고 헤르만이 여자친구 폭행문제로 로스터에 들지 못했고 막바지 살아나는 듯한 팩스턴도 시즌 마지막 경기에서 둔근 부상으로 조기강판을 해야 했다.불펜 또한 베탄시스 시즌 아웃 및 케인리의 부진 등으로 불안감이 남은 상황.] 역시 철저히 점검해야 할 것이다. "반드시 월드시리즈 진출을 해야 한다"며 올해는 기필코를 외치는 양키스 팬들의 성화도 부담감이다.양키스에겐 그나마 다행인 것이 그동안 PS 무대에서 많이 잡아봤던 미네소타를 디비전 시리즈에서 만났다는 점이다.미네소타가 복수를 노린다면 이쪽은 '호구 왔는가'를 할 수 있는 상황. 그리고 미네소타 트윈스를 가볍게 스윕하고 가장 먼저 챔피언십 시리즈 진출을 확정지었다. 포스트 시즌이라고 하기엔 상대가 너무 약했고, 선수들도 방심하는 모습이 없었으니 미네소타가 이기지 못한 건 당연하게 보일 정도다. 이렇다할 위기 없이 3연승을 하면서 향후 챔피언십 시리즈나 월드 시리즈를 위해 힘을 비축할 수 있게 되었다. --이쯤되면 미네소타가 안쓰럽다-- === [[2019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챔피언십 시리즈]] === 10년만의 월드 시리즈 진출을 노린다. 휴스턴 원정 1차전에서 [[다나카 마사히로]]의 포스트시즌 연속 경기 2실점 이하 신기록, [[글레이버 토레스]]의 5타점에 힘입어 7:0으로 승리했다. 그러나 2, 3, 4차전 경기에서 연속으로 패했고, 5차전에서 승리를 거뒀으나, 6차전에서 명승부 끝에 [[호세 알투베]]에게 끝내기 홈런을 맞으면서 시리즈 스코어 2-4로 월드시리즈 진출에 실패했고 [[2015 아메리칸 리그 와일드카드 게임|2015년]], [[2017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2017년]]에 이어 다시 한번 휴스턴에게 발목을 잡히고 말았다.~~[[미네소타 트윈스|트윈스]]의 기분을 느끼고 있다 카더라~~ 양키스는 이번 챔피언십 시리즈 패배로 인해 결국 2010년대에 단 한번도 월드 시리즈 정상은커녕, 월드 시리즈 무대조차을 지 못했다. 이 시리즈 이전까지 뉴욕 연고이전 이래 양키스가 우승을 하지 못한 세대는 1910년대, 1980년대였고, 1981년 월드시리즈에 진출했기 때문에(준우승), '''2010년대의 양키스는 100년만에 10년 동안 단 한 번도 월드 시리즈에 못 올라가보고 종료되는 세대가 되었다.'''[* 양키스가 21세기에 들어 월드시리즈 우승을 이룬 것은 [[2009년 월드 시리즈]] 단 한번 뿐이다.] == 시즌 총평 == 첫끗발이 개끗발이 되고 만 시즌이었다. 동부지구 1위를 한 이후 한번도 1위를 내려온 일 없이 시종일관 강팀의 면모를 보였으나 월드시리즈 진출에 실패했다. 타력은 강했으나 여전히 마운드가 불편한 양키스의 민낯이 드러나고 말았다. 특히 결정적인 무대에서 [[휴스턴 애스트로스]]에게 다시 한번 발목이 붙잡혔다는 점에서 양키스에겐 '휴스턴 징크스'가 붙게될 지경이다. 2017년에도 휴스턴에게 가로막혀 포스트시즌 불운을 겪었던 마당에 또다시 같은 팀에게 패해 월드시리즈 진출이 좌절당했다. 마치 7,80년대 양키스에 번번히 좌절 당했던 [[캔자스시티 로열스]]를 연상케 하는 모습이라 팬들로서는 씁슬할 수 밖에 없다. 양키스로서는 포스트시즌 무대에서 휴스턴을 극복하지 않는 한 월드시리즈 진출은 고사하고 우승도 어렵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