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하느님]]에서 첫머리의 [[하]]가 탈락하여 [[접미사]]화한 [[신조어]]로, 어느 분야에서 탁월한 성과나 활약을 선보인 [[사람]]이나 [[캐릭터]]에 대하여 경탄 및 존경의 뉘앙스를 담아서 붙이는 극존칭이다. 어감상 '''[[님]]'''의 [[업그레이드]] 버전이라고 볼 수 있다. == 상세 == [[인터넷 은어]]로 분류되며 [[인터넷]] [[서브컬처]]를 향유하는 [[잉여]] [[네티즌]] 계층이 가장 자주 사용한다. 어법상으로는 틀린 사용인데, "하"느님이 아니라 "하느"님이기 때문이다. 누군가의 이름 앞글자에 느님을 붙이던 놀이는 [[디시인사이드]]에서 처음 유행하였다. 2007년 [[코갤]]에서 이 단어가 처음 쓰이던 시기에 [[김혜성(배우)|김혜성]]을 '''혜느님'''으로, 가수 [[JOO]]를 '''주느님''' 등으로 불렀다. 김혜성은 과거 일진설 때문이었고 JOO는 음주, 흡연 사진과 인중의 [[담배]]빵 같은 흉터가 나오는 캡쳐 때문에 타깃이 된 것이다. 특히 김혜성이 이 느님을 크게 퍼뜨린데 일조한 바 있는데, [[MBC]] 시트콤 [[거침없이 하이킥]]이 방영되던 시기 [[코갤]]에서는 김혜성이 일진이었을 것이라는 추측만으로 온통 까는 분위기였다. 특히나 김혜성만을 집중적으로 까대는 코갤러가 있었다. 그런데 그가 잠깐 [[택배]]받으러 나간다는 글을 남기고 그 뒤로 나타나지 않자 코갤러들이 김혜성=택배기사설을 만들어 혜느님, 띵동띵동 드립을 마구 시전한 것이다. 보통 느님이라는 단어를 붙이는 경우는 뭔가 해당 분야에서 업적을 남길 만한 뛰어난 캐릭이나 직업에게 주어진다. [[김연아|연느님]] [[불사조(스타크래프트 2)|조느님]]이라든지, [[유재석|유느님]]이라든지, [[이경규|규느님]]이라든지, 그 외 [[의사|의느님]] [[뽀로로|뽀느님]] [[치킨|치느님]] 등이 통용화되고 있는데 국민OO처럼 빈번하게 사용하다보니 이제는 그 의미가 퇴색되고 있는 면도 있다. 심지어 [[라디오 스타(황금어장)|라디오스타]]에서는 [[붐(연예인)|붐]]까지 '''붐느님'''이라고 부르는 만행을 저지르기까지 했다. 2012년 이후로는 유느님, 의느님, 뽀느님, 규느님 등 몇몇 표현을 제외하면 '''[[갑]]''', '''[[신]]''' 등이 이를 대체하고 있고, 성을 빼고 신을 뜻하는 '''[[갓(유행어)|갓]]'''을 붙이는 경우가 많아졌다. 용법이 반대되는 단어로 '''[[레기]]'''가 있다. 2016년 [[정치부회의]]에 의하면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느님이라는 표현은 고귀하기 때문에, 아무에게나 붙일 수 없으며, 느님이라고 불리는 존재는 [[유재석|유느님]], [[김연아|연느님]], [[치킨|치느님]] 단 3명--명?----2인 1계-- 있다고 한다. 하지만 [[십계명]]의 두 번째 계명에 '하느님의 이름을 함부로 부르지 마라'([[가톨릭]] 기준)가 있어서 가톨릭에서는 대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님을 술의 '주'로 장난스럽게 부른다든지, 치킨에 느님을 붙여서 치느님이라고 부른다든지 등이 있다. 한편 교구 차원에서 ~느님을 대죄로 규정한 입장 표명은 확인되지 않는다. || [youtube(T247Jo4VPJM)] || || 교황의 공식 입장 || 여담으로 한국에서 시작한 드립이긴 하지만 매우 뛰어난 재능을 지닌 사람을 신에 비유하는 건 미국에서 한참 전부터 유행하던 것이다. 기타리스트 [[에릭 클랩튼]]은 guitar god을 포함해 종종 신에 비유되었으며, [[에미넴|에미넴]]도 [[에미넴/디스|소름끼칠 정도의 디스 실력과 라임, 가사, 펀치라인 하나 빠짐없이 모두 기가막히게 사용하면서 디스전의 신]] 혹은 랩의 신이라고 불려왔지만 2013년부터 [[Rap God|이노래]] 때문에 별명이 굳어지게 되었다. [[마이클 조던]] 역시 90년대부터 basketball god이라고 불렸다. 물론 여기서 god은 소문자 g로 유일신 (God)이 아닌 다신교의 신(즉, 농구의 신, 기타의 신, 랩의 신 정도의 의미)을 의미하기 때문에 하느님에 붙인 "~느님"과는 의미가 좀 다르다. [[분류:유행어]][[분류:접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