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1 느시사촌}}}(세리에마)[br]Seriema}}}'''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붉은다리느시사촌.jpg|width=100%]]}}} || || [[학명|{{{#000 '''학명'''}}}]] || ''' ''Cariamidae'' '''[br]Bonaparte, 1853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문(Chordat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조강(Aves) || || '''하강''' ||신악하강(Neognathae) || || '''상목''' ||신조상목(Neoaves)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느시사촌목(Cariamiformes)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느시사촌과(Cariamidae) || ||<-2>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 ||<-2> '''붉은다리느시사촌속'''(''Cariama'')[br]'''검은다리느시사촌속'''(''Chunga'')[br]†'''미오카리아마속'''(''Miocariama'') || [[파일:Cariama cristata.jpg|width=450]] 붉은다리느시사촌(Red-legged seriema, ''Cariama cristata'') [[파일:Chunga burmeisteri.jpg|width=450]] 검은다리느시사촌(Black-legged seriema, ''Chunga burmeisteri'') [목차] == 개요 == 느시사촌목 느시사촌과에 속하는 남아메리카에서 사는[* [[브라질]], [[파라과이]], [[아르헨티나]]에서만 볼 수 있다.] [[새|조류]]들의 총칭. 현재까지 총 2속 2종만이 존재한다. 이름은 투피족 언어로 '볏이 있다'라는 뜻. == 분류 == [[호아친]]처럼 과거에는 두루미목으로 분류되었다가 별도의 느시사촌목으로 독립되었는데, DNA 분석 결과 느시사촌이 [[두루미]]나 [[뻐꾸기]]보다 참새목과 앵무목에 속하는 새들과 더 가깝다는 사실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인류 시대 이전에 멸종한 포식성 조류로 유명한 [[공포새]]의 유일한 살아있는 친척이기도 하다. 공포새의 [[화석]] 기록은 많지만 정작 느시사촌과의 화석 기록은 상당히 적은 편이며 현재까지 알려진 화석종은 2종 밖에 없다. 별개의 속에 속하는 미오카리아마(Miocariama)는 마이오세 중반부에 멸종했고, 검은다리느시사촌속에 속하는 '쿤가 인케르타(''Chunga incerta'')'는 [[플라이오세]]에 멸종하였다. == 생김새 == 서서 몸길이를 제면 60cm 정도로 새 중에서는 중간 크기 정도 된다. 이름처럼 종마다 다리의 색이 다르며, 목이 길고 수중 생활에 적합하다. 2종 모두 우관이 올라와 있다. 붉은다리느시사촌이 다리가 더 길고 우관이 검은발느시사촌에 비해 더 크다. [[파일:느시사촌 발.jpg]] 또한 두번째 발가락이 마치 멸종된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 계통의 [[공룡]]과 비슷하게 커져있는데, 먹잇감을 끌고 가는데 사용하거나, 동족간 결투 등에 쓰인다. == 생태 == 다리가 긴 외양에서 보이듯 땅에서 지내는 시간이 많으며, 사람보다 더 빠르게 걸을 수 있다. 단거리 비행은 가능하지만 둥지로 올라갈 때를 제외하면 비행을 별로 하지 않으며, 도망칠 때도 날기보단 뛰기를 선호한다. [[아프리카]] 대륙의 [[뱀잡이수리]]에 상응하는 조류로, 주로 곤충, 개구리, 뱀, 도마뱀, 설치류, 작은 조류 같은 동물성 먹이를 먹으며 과일, 콩, 옥수수 같은 식물성 먹이도 먹는다. [youtube(mg7Qxr70IR0)] 사냥감을 잡으면 땅바닥에 내동댕이쳐서 사냥감의 뼈를 부수고 잡아먹는 습성을 가지고 있다. [[분류:느시사촌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