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ニセコ[ruby(駅, ruby=えき)]}}} || {{{+1 Niseko Station}}} || ||<-3> {{{#!wiki style="margin: -0px -5px;" [[JR 홋카이도|[[파일:JRH_Wlogo.svg|height=50&align=left]]]]}}}[[JR 홋카이도|{{{#fff JR 홋카이도}}}]][br]'''{{{#fff {{{+2 니세코역}}}}}}'''|| || [[오샤만베역|{{{#000000,#e5e5e5 {{{#!html
오샤만베 방면
}}}}}}]][[콘부역|콘 부]][br]← 9.3 km || [[하코다테 본선|[[파일:JRH-S.svg|height=20]]{{{#ffffff {{{#!html
하코다테 본선
}}}}}}]]{{{#ffffff {{{#!html
(S25)
}}}}}} || [[오타루역|{{{#000000,#e5e5e5 {{{#!html
오타루 방면
}}}}}}]][[히라후역|히라후]][br]7.0 km → || ||<-3>[include(틀:지도, 장소=ニセコ駅, 너비=100%, 높이=300px)]|| ||<-3> '''다국어 표기''' || || 일본어 ||<-2> ニセコ || || 영어 ||<-2> Niseko || ||<-3> '''주소''' || ||<-3> [[홋카이도]] 아부타군 [[니세코초]] 츄오도리[br]北海道虻田郡ニセコ町字中央通 || ||<-3> '''역 운영기관''' || || [[하코다테 본선|{{{#ffffff 하코다테 본선}}}]] ||<-2> [[JR 홋카이도|[[파일:JR 홋카이도 로고.svg|width=180]]]] || ||<-3> '''개업일''' || ||<-3> 1904년 10월 15일 || ||<-3> '''노선거리표''' || || [[하코다테역|{{{#000000,#e5e5e5 {{{#!html
하코다테 방면
}}}}}}]][[콘부역|콘 부]][br]← 9.3 km || '''[[하코다테 본선]]'''[br]니세코 || [[아사히카와역|{{{#000000,#e5e5e5 {{{#!html
아사히카와 방면
}}}}}}]][[히라후역|히라후]][br]7.0 km → || || --{{{#gray 기점}}}-- || '''--{{{-2 식민궤도}}}[br]맛카리선--{{{#ff0000 {{{#!html
(폐선)
}}}}}}'''--국철카리부토[br]역앞-- || {{{#000000,#e5e5e5 {{{#!html
맛카리무라 시가 방면
}}}}}}--?[br]? km →-- || ||[[파일:external/blogimg.goo.ne.jp/e6427d10505ff589a83eac040f6c5672.jpg|width=100%]]|| ([[http://blog.goo.ne.jp/ej25lancaster/c/45c08dca6fdb0f985d8518818ad4a5b2|출처]])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 [[홋카이도]] 아부타군 [[니세코초]]에 있는 [[JR 홋카이도]] [[하코다테 본선]]의 역으로, [[쿳찬역]]이 관리하는 간이위탁역이다. [[일본국유철도]]/[[JR그룹]]에서 처음으로 역명이 [[가타카나]]만으로 표기된 역이다. 맛카리역(真狩駅)으로 개업했으며 1906년에 카리부토역(狩太駅)으로 개칭되었으나 1968년에 니세코역으로 역명을 변경하였다. 니세코는 근처에 있는 [[활화산]]인 [[니세코안누푸리]](ニセコアンヌプリ)[* [[아이누어]]에서 기반한 명칭이며 원래 아이누들은 "절벽을 향하고 있는 산"이라는 뜻으로 불렀다. 그러나 현재의 명칭은 일본어와 아이누어 '누푸리'(산)가 혼합된 것으로 니세코 안베츠 강의 산을 뜻하는 '니세이코+안+누푸리'로 다소 의미가 변질된 바 있다.]에서 유래했다. 1960년대 니세코 지역이 스키 리조트로 관광객이 증가하면서 역 이름을 니세코로 붙이려고 했는데, 국철 규정상 지역 대표역의 명칭은 지명으로 하게 되어 있어서 아예 지자체 이름을 바꾼 케이스. 역 주변에는 니세코 정사무소, 도립 니세코 고등학교, 니세코버스 본사, 묘후쿠지(妙福寺), 홋카이신용기금 니세코지점, 니세코안누푸리 등이 있다. == 역 및 승강장 구조 == 2면 3선 승강장 지상역으로, 승강장끼리 과선교로 연결되어있다. ||<-6><:>↑ [[콘부역|콘부]]|| ||<:>{{{#ffffff 1}}}||<:>ㅣ||<:>ㅣ||<:>{{{#ffffff 2}}}||<:>{{{#ffffff 3}}}||<:>ㅣ|| ||<-6><:>[[히라후역|히라후]] ↓|| ||<|2><:>{{{#ffffff 1}}}||<|2>{{{#ed1c23 ●}}} [[하코다테 본선]]||<:>상행||[[란코시역|란코시]] · [[오샤만베역|오샤만베]] 방면|| ||<:>하행||[[오타루역|오타루]] 방면 (임시특급열차)|| ||<:>{{{#ffffff 2}}}||{{{#ed1c23 ●}}} [[하코다테 본선]]||<:>하행||[[쿳찬역|쿳찬]] · [[오타루역|오타루]] · [[삿포로역|삿포로]] 방면|| ||<:>{{{#ffffff 3}}}||{{{#ed1c23 ●}}} [[하코다테 본선]]||<:>하행||[[쿳찬역|쿳찬]] · [[오타루역|오타루]] · [[삿포로역|삿포로]] 방면 (임시열차 [[오리카에시]])|| 열차가 하루 7회 운행하지만 열차가 하나의 승강장만을 사용하지 않고 [[오샤만베역|오샤만베]] 방면은 1번 승강장으로, [[쿳찬역|쿳찬]] 및 [[오타루역|오타루]] 방면은 2번 승강장으로 각각 들어온다. 그래서 오타루 방면 열차를 타려면 구름다리를 거쳐 올라갔다 내려가야 한다. 3번 승강장은 잘 사용되지 않는다. 쿳찬역 방면으로는 선로가 끊겨 있어서 사실상 삿포로 방면에서 오는 시종착 열차만 사용할 수 있다. == 인접 정차역 == 니세코라이너는 [[삿포로역|삿포로]] 방면으로만 운행하며, [[오타루칫코역|오타루칫코]]까지 각역정차한다. 한때는 특급 홋카이 및 급행 니세코가 정차하기도 했다. ||<-4><:>{{{#ed1c23 ●}}} [[하코다테 본선]]|| ||<:><|2>[[란코시역|{{{#000000,#ffffff {{{-2 란코시 시발}}}}}}]][br][[콘부역|콘 부]][br]9.3 km →||<-2><:>[[니세코라이너|{{{#ffffff {{{-2 [쾌속] 니세코라이너[br][快速] ニセコライナー[br]'''C'''}}}}}}]]||<:><|2>[[삿포로역|{{{#000000,#ffffff {{{-2 삿포로 방면}}}}}}]][br][[히라후역|히라후]][br]7.0 km →|| ||<:>{{{#00A5E5 (하행만 정차)}}}|| == 여담 == 하루에 정규 열차 편도 운행이 7회밖에 없다. 기껏해야 보통 열차가 전부이며 그나마도 [[오샤만베역|오샤만베]] 발착이 4회, [[오타루역|오타루]] 발착이 3회, [[삿포로역|삿포로]]행이 이른 아침에 1회가 전부이다. 그래도 이 역을 운행하는 열차는 [[쿳찬역|쿳찬]]까지는 어떻게든 가니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만일 쿳찬역에 종착한다면 망설이지 마라. 쿳찬역 종착홈 바로 옆에 마련된 보통열차로 갈아타고 오타루역까지 갈 수 있다. 게다가 쿳찬역에서 대기하는 열차는 종착하는 열차가 종착한 후 10분 뒤에 출발한다. 안누푸리 스키장[* 12월 1일부터 이듬해 5월 초까지 개장한다. 이 곳은 08:30 ~ 16:00까지 슬로프를 오픈하고 있으며, 장비 대여를 스키장 옆에 있는 리조트에서 할 수 있다. 다만 풀세트로 대여한다면 돈이 많이 들기 때문에(풀세트 디럭스 5시간 대여 기준으로 8600엔) 대한민국에서 원정나와서 [[스키]] 혹은 [[스노보드]]를 탄다면 가급적 스키복(스노보드복), 장갑, [[고글]], [[비니]] 등을 가지고 오면 스키 및 폴(혹은 스노보드), 부츠만 대여하여 3분의 2 정도로 비용을 줄일 수 있다.]까지 가는 셔틀버스가 운행하지만 오후 5시에 마지막 셔틀버스가 출발하면 [[택시]] 외에는 [[답이 없다]]. 그래도 스키장까지는 15분 정도 걸리며, 택시를 탄다면 2200~2400엔 가량 나온다. 그렇다고 스키장이나 바로 앞 스키 리조트까지 택시비 아낀답시고 걸어가는 행위는 삼가라. 워낙 산악지역이라 니세코역부터 스키 리조트까지는 오르막길밖에 없기 때문이다. 겨울에 가면 이 지역은 오후 4시가 지나면 이미 어두워져 있다. 거기다가 눈까지 내려서 미끄럽고 질퍽거린다. 중간에 평지나 내리막이 아예 없으니 그냥 택시를 타는 수밖에 없다. 역 안에 관광안내소가 오후 7시까지 열려 있으므로 상주 직원에게 부탁해서 택시를 부르는 것이 좋다. 역 주변은 어두워지면 가끔씩 차 한 두 대가 지나가는 것 말고는 사람이 아무도 지나다니지 않을 정도로 적막한 곳이다. 역 남서쪽에 기관차 방향을 돌리는 전차대와 급수탑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원래 있던 것은 아니고 1990년에 새로 설치된 것으로, 당시 이 역까지 운행하는 증기기관차 견인 관광열차가 있었기 때문이다. 자세한 것은 [[C62형 증기 기관차]] 문서 참고. 현재는 이 증기기관차 견인 관광열차는 다른 곳에서 운행중이라 이 전차대와 급수탑은 사용되지 않는다. [[분류:일본의 철도역]][[분류:1904년 개업한 철도역]][[분류:하코다테 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