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일본 철도의 통근형 전동차)] ||<-3><:>[[서일본 철도|[[파일:case_nishitetsu_000-1.png.png|height=30]]]] {{{#!wiki style="margin: -10px -10px" ||<:>{{{#004EA2 '''니시테츠 {{{+1 2000형 전동차}}}'''[br]{{{-1 西鉄2000形電車}}}[br]{{{-1 Nishitetsu}}} series 2000 Car }}}||}}}|| ||<-3> [[파일:NNR_2000.jpg|width=100%]]|| ||<-3> {{{#005daa 외부}}} || ||<-3> '''차량 정보''' || || '''열차 형식''' ||<-2> 광역철도 입선용 특급형 전동차 || || '''구동방식''' ||<-2>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량 수''' ||<-2> 6량 || || '''운행 노선''' ||<-2> [include(틀:글배경b, 배경색=#004EA2, 글자색=#ffffff, 내용=T)][[텐진오무타선]] || || '''도입년도''' ||<-2> 1973~1974년 || || '''제작회사''' || [[가와사키 중공업|[[파일:가와사키 중공업 로고.svg|width=130]]]] || || '''소유자''' ||<|2><-2> [[서일본 철도|[[파일:case_nishitetsu_000-1.png.png|width=100]]]] || || '''운영자''' || || '''차량기지''' ||<-2> 치쿠시 차량기지 || || '''편성번호체계''' ||<-2><:>20xx ~ 26xx|| ||<:><-3><#ddd>{{{#black '''차량 제원'''}}}[br]{{{#!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3px;margin-top:-6px;margin-bottom:-16px" || '''전장''' ||<-2> 19,500㎜ || || '''전폭''' ||<-2> 2,740㎜ || || '''전고''' ||<-2> 4,060㎜ || || '''궤간''' ||<-2> 1,435㎜ || || '''사용전류''' ||<-2> [[전류#s-7.2.1|직류]] 1,500V [[가공전차선]] || || '''운전보안장치''' ||<-2> 니시테츠형 [[열차자동정지장치|ATS]] || || '''제어 방식''' ||<-2> 저항 제어 || || '''제동 방식''' ||<-2> 발전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전자직통 공기제동 || || '''메인 모터''' ||<-2> MB-3189-A || || '''모터 출력''' ||<-2> 135Kw || ||<|2> '''최고속도''' ||<-1> 설계 ||<-1> 120㎞/h || ||<-1> 영업 ||<-1> 110㎞/h || || '''가속도''' ||<-2> 2.5km/h/s || || '''감속도''' ||<-2> 상용 3.5km/h/s [br] 비상 4.0km/h/s || || '''전동차 비''' ||<-2> 6량 4M 2T (Tc-MMMM-Tc)||}}}}}} || || [youtube(YU3APOdX5UM)] || [목차] == 설명 == [[서일본 철도]] [[텐진오무타선]]에서 운용했던 특급형 전동차로써, 1973년 영업운행을 개시하였으며 1974년 로렐상을 수상했다. == 도입 == [[1960년]]대 후반부터 니시테츠 특급을 이용하는 승객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기존에 특급[* 당시 일반 차량에는 현재 [[카이즈카선]]에서 운행하고 있는 [[니시테츠 600형 전동차|600형]]이나 [[니시테츠 700형 전동차|700형]] 등이 투입되었다.]에 투입되던 4량 편성인 [[니시테츠 1000형 전동차|1000형]]이나 [[니시테츠 1300형 전동차|1300형]]를 대체 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또한 [[1970년]]대 부터 [[큐슈자동차도]]의 완공이 임박하고, [[하카타역]]에 [[산요 신칸센]]이 들어와 오무타선과 병행하는 [[가고시마 본선]]의 경쟁력이 높아지는 등 경쟁 상대도 늘어갔기 때문에, 단순히 수송력을 늘리는 것 뿐만 아니라 질적인 부분도 높였고 냉방화와 전환 크로스시트를 채용하고 외관도 특급형에 맞게 디자인하였다. == 설비 == [youtube(XrErDxifa7Y)] 2x2 크로스 시트가 설치되어있으며, 연결부에는 4인용 롱시트가 설치되어 있었다. [[1989년]]에 [[니시테츠 8000형 전동차|8000형]]이 도입되면서 급행용으로 격하, 개조가 되었으며, 특급용의 2도어 형태에서 [[니시테츠 5000형 전동차|5000형]]과 같은 3도어로 개조되었다. 도색도 일반형 전동차 처럼 '아이스 그린' 도색이 칠해질 예정이였으나 그냥 그대로 냅뒀다고. [[1993년]]에는 [[니시테츠 8000형 전동차|8000형]]과 유사하게 LED 안내기가 설치되었으며, [[1997년]]에는 니시테츠 CI(현 니시테츠 로고)가 도색에 추가되었다. == 관련 문서 == * [[일본 철도 정보]] * [[일본의 철도 차량 목록]] * [[서일본 철도]] * [[전동차]] [[분류:일본의 철도차량]][[분류:전동차]][[분류:서일본 철도]][[분류:1973년 출시]][[분류:1974년 단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