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니콜라이 프세볼로도비치 신카렌코}}}[br]Николай Всеволодович Шинкаренко'''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ikolai_Shinkarenko.jpg|width=100%]]}}} || ||<|2> '''출생''' ||[[1889년]] [[12월 5일]] || ||[[러시아 제국]] 페름현 [[쿠르스크]] || ||<|2> '''사망''' ||[[1968년]] [[12월 21일]] (향년 58세) || ||[[프랑코 정권|스페인국]] [[산 세바스티안]] || || '''국적''' ||[[프랑코 정권|{{{#!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크기=27@px; padding: 1px; background: rgba(25, 25, 25, .2); vertical-align: middle"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width=100%]]}}}]] [[프랑코 정권|스페인국]] || || '''학력''' ||미하일로프 포병학교 || || '''직업''' ||군인 || || '''최종 계급''' ||[[소장(계급)|소장]] || || '''참전''' ||[[발칸 전쟁|제1차 발칸 전쟁]][br][[제1차 세계 대전]][br][[러시아 내전]][br][[스페인 내전]] || [목차] [clearfix] == 개요 == [[러시아 제국]]의 군인이다. == 생애 == 1889년 쿠르스크에서 훗날 중장으로 진급한 [[프세볼로트 신카렌코]] 참모대위의 아들로 태어났다. 미하일로프 포병학교를 졸업한 후 1912년 [[발칸 전쟁]]에 [[불가리아군]] 소속으로 참전해 [[오스만 제국군]]과 싸웠다. 2년뒤 발생한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루마니아]] 전선에 파견되어 기병대를 지휘했다. 1917년 러시아 원정군 소속으로 프랑스에 파병되었고 그해 8월 26일 귀국했다. [[11월 혁명]]으로 [[러시아 내전]]이 발생하자 의용군에 자원해 여러 기병부대를 지휘했고, 1919년 소장으로 진급했다. 남러시아 정부가 불리해진 1920년 11월 [[갈리폴리]]로 피신한뒤 [[유고슬라비아]], [[폴란드]], [[독일]]을 전진해 1925년 [[프랑스]]의 [[파리(도시)|파리]]에 정착했다. 파리에서는 어머니와 함께 살며 문학을 공부했고 센티넬 신문 입사해 기자로 일했다. 1936년 [[스페인 내전]]이 발발하자 [[카를리스타]] 민병대 '주말라카레기 장군'에 자원해 공화파들과 싸웠으며 이후 [[스페인 외인군단]]에 입대했다. 내전에서 승리한 후 스페인 시민권을 수령받아 [[산 세바스티안]]에 거주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에는 [[나치 독일]]을 적대해 [[프랑스군]] 입대를 희망했으나 거절당했다. 1943년 [[가톨릭교]]로 개종했다. 1968년 트럭에 치여 사망했다. == 기타 == * [[마하일 불가코프]]의 장편소설 '백위대'에 등장하는 펠릭스 나이투르스 대령의 모티브로 추정된다. == 참고 문헌 == * [[https://www.domrz.ru/encyclopedia/shinkarenko-nikolay-vsevolodovich-/|DOMRZ.ru]] * [[https://teolog.info/publikacii/odin-iz-poslednikh-stranstvuyushhikh-ryc/|신카렌코 장군 - 최후의 기사단원]] [[분류:1889년 출생]][[분류:1968년 사망]][[분류:쿠르스크주 출신 인물]][[분류:러시아 제국의 군인]][[분류:제1차 세계 대전/군인]][[분류:러시아 내전/군인]][[분류:스페인 내전/군인]][[분류:러시아계 스페인인]][[분류:교통사고로 죽은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