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니키 캐츠버그의 우승 경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 '''[[2015년|2015]] [[스파 24시]](Pro 컵) 우승''' || ||<-5><#fff> [[파일:SPA24H_Logo.jpg|width=50%]] || || 2014 - [[팀 WRT|벨기안 아우디 클럽 팀 WRT]] [br] [[파일:독일 국기.svg|width=23]] [[르네 라스트]] [br]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3]] 로렌스 반투르 [br] [[파일:독일 국기.svg|width=23]] 마르쿠스 빙켈호크 [br] 아우디 R8 LMS 울트라 || → || '''2015 - [[BMW|BMW 스포트 트로피 팀 마크 VDS]] [br] [[파일:핀란드 국기.svg|width=16]] 마커스 팔탈라 [br] [[파일:독일 국기.svg|width=23]] 루카스 러르 [br]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0px]] 니키 캐츠버그 [br] BMW Z4 GT3''' || → || 2016 - [[BMW|로이 레이싱]] [br]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width=23]] 필립 엥 [br]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3]] 맥심 마틴 [br] [[파일:영국 국기.svg|width=23]] [[알렉산더 심즈]] [br] BMW M6 GT3 || ||<-5> '''2020 [[뉘르부르크링 24시]](SP9) 우승''' || ||<-5><#fff> [[파일:nurbrugring24h_logo.jpg|width=40%]] || || 2019 [br] [[아우디|아우디 스포트 팀 피닉스]] [br] [[파일:독일 국기.svg|width=20]] 피에르 카퍼 [br] [[파일:독일 국기.svg|width=20]] 프랭크 스티플러 [br]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0px]] 드리스 반투르 [br]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0px]] 프레드릭 버비쉬 [br] 아우디 R8 LMS Evo || → || '''2020 [br] [[BMW|로이 레이싱]] [br]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0]] 니키 캐츠버그 [br] [[파일:영국 국기.svg|width=20]] [[알렉산더 심즈]] [br] [[파일:영국 국기.svg|width=20px]] 닉 옐로리 [br] BMW M6 GT3''' || → || 2021[br][[만타이 레이싱]] [br]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케빈 에스트레]] [br]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0]] [[마이클 크리스텐센]] [br]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0]] 마테오 카이로리 [br] 포르쉐 911 GT3 R || ||<-5> '''[[2021년|2021]] [[데이토나 24시]] GTLM 클래스 우승''' || ||<-5><#fff> [[파일:Daytona24h.jpg|width=20%]] || || 2020[br][[BMW M 팀 RLL|BMW 팀 RLL]] [br]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존 에드워즈 [br]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아우구스토 파푸스[br] [[파일:핀란드 국기.svg|width=20]] 제시 크론 [br] [[파일:호주 국기.svg|width=20]] 차즈 모스터트 [br] BMW M8 GTE || → || '''2021[br][[콜벳 레이싱]] [br]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조던 테일러]] [br]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0]] [[안토니오 가르시아]][br]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0]] 니키 캐츠버그 [br] 쉐보레 콜벳 C8.R''' || → || 2022 [br] 클래스 폐지 || ||<-5> '''2022 [[세브링 12시]] GTD-PRO 클래스 우승''' || ||<-5><#fff> [[파일:12_Hours_of_Sebring_generic_logo.png|width=50%]] || || 신규 클래스 || → || '''2022[br][[콜벳 레이싱]] [br]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조던 테일러]] [br]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0]] [[안토니오 가르시아]][br]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0]] 니키 캐츠버그 [br] 쉐보레 콜벳 C8.R''' || → || 2023 [br] 미정 || ||<-5> '''2023 [[르망 24시]] LM GTE-Am 클래스 우승''' || ||<-5><#fff> [[파일:르망 24시 로고.jpg|width=50%]] || || 2022 [br] TF 스포트 [br]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벤 키팅 [br]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플로리안 라토레 [br]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0]] 마르코 쇠렌센 [br] 애스턴 마틴 밴티지 AMR || → || '''2023 [br] [[콜벳 레이싱]] [br]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벤 키팅 [br]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0]] 니코 바로네 [br]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0]] 니키 캐츠버그 [br] 쉐보레 콜벳 C8.R''' || → || 2024 [br] 클래스 폐지 || ||<-5> '''2023 WEC(LM GTE-Am) 시즌 우승''' || ||<-5><#fff> [[파일:1200px-FIA_WEC_Logo_2019.png|width=50%]] || || 2022 [br] TF 스포트 [br]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벤 키팅 [br]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0]] 마르코 쇠렌센 [br] 애스턴 마틴 밴티지 AMR || → || '''2023 [br] [[콜벳 레이싱]] [br]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벤 키팅 [br]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0]] 니코 바로네 [br]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0]] 니키 캐츠버그 [br] 쉐보레 콜벳 C8.R''' || → || 2024 [br] 클래스 폐지 ||}}} || ||<-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orvette-racing-nicky-catsburg-33-2023.png|width=100%]]}}}|| ||<-3> '''WEC - 콜벳 레이싱 No.33''' || ||<-3> '''니키 캐츠버그[br](Nicky Catsburg)''' || ||<-2> '''국적''' || [include(틀:국기, 국명=네덜란드)] || ||<-2> '''생년월일''' || 1988년 2월 15일 ([age(1988-02-15)]세) || ||<-2> '''출생지''' || 네덜란드 아메르스포르트 || ||<|6> '''소속팀''' || '''FIA GT3''' ||패스트 레이싱 by DB 모터스포트 [br] (2011) || ||<#808080> '''FIA GT1''' ||엑심 뱅크 팀 차이나 [br] (2011)[* 1라운드부터 아부다비 경기부터 8라운드 작센링 경기까지] [br] 스모 파워 GT [br] (2011)[* 11라운드 나바라 경기부터] || ||<#808080> '''WEC''' ||BMW 팀 MTEK [br] (2018-19) [br] '''[[콜벳 레이싱]]''' [br] (2021 ~ 2023)[* 2021년, 2022년에는 르망 24시에만 출전했다.] || ||<#808080> '''IMSA 스포츠카 챔피언십''' ||블랙 스완 레이싱 [br] (2016) [br] [[BMW M 팀 RLL|BMW 팀 RLL]] [br] (2017 ~ 2018) [br] [[콜벳 레이싱]] [br] (2020 ~ 2022) [br] [[콜벳 레이싱]] by [[프랫 & 밀러|프랫 밀러 모터스포츠]] [br] (2024) || ||<#808080> '''WTCR'''[* 2017년까지의 WTCC 포함] ||라다 스포트 로스네프트 [br] (2015 ~ 2016) [br] 폴스타 시안 레이싱 [br] (2017) [br] BRC 현대 N 루코일 레이싱팀 [br] (2019, 2022) [br] 잉슬러 현대 N 리퀴몰리 레이싱팀 [br] (2020) || ||<#808080> '''ETCR''' ||[[현대 모터스포트]] [br] (2022)[* 3 라운드 하라마 경기부터 파이널 라운드인 작센링 경기까지 출전] || ||<-2> '''소셜미디어''' || [[https://instagram.com/nickcatsbur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니키 캐츠버그는 [[콜벳 레이싱]] 소속의 네덜란드 국적의 레이싱 드라이버이다. 2010년부터 본격적으로 싱글시터 경주에서 벗어나 2010 르노 메간컵 트로피에서 13번의 레이스 중 7번의 우승을 거두는 큰 성과를 거두어 챔피언을 따내고, 네덜란드 GT4 챔피언십에서도 활동하는 등 스포츠카 레이싱으로 입문하였으며, 그리해 2011년부터 [[FIA GT1 월드 챔피언십]]과 FIA GT3 유로피안 챔피언십에 참가하면서 GT 레이싱 커리어를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GT 레이싱 커리어가 시작된 2011년부터 BMW 워크스 드라이버로서 활약했으며 이후 콜벳 레이싱에는 2020년에 미쉐린 인듀어런스 드라이버로서 처음으로 합류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BMW 워크스 드라이버 직함은 유지하고 있었으나, 2023년부터 WEC LMGTE 클래스에 출전하는 콜벳 레이싱에 풀시즌으로 합류하면서 BMW 워크스 소속이 아니게 되었다. === 커리어 === ==== WTCR ==== ===== 2019 시즌 ===== ===== 2020 시즌 ===== ==== IMSA 스포츠카 챔피언십 ==== ===== 2017 시즌 ===== ===== 2018 시즌 ===== ===== 2020 시즌 ===== ||
{{{#!wiki style="margin: -3px -8px" [[파일:No_3_Team_Taylor_Garcia_Catsburg.jpg|width=100%]]}}}|| ||{{{#!wiki style="margin: -3px -8px" [[파일:nickC.jpg|width=100%]]}}}|| 오랜 콜벳 팩토리 팀인 콜벳 레이싱으로 합류하는 첫 IMSA 스포츠카 챔피언십 시즌. 2019년 시즌에 3번 차량에서 미쉐린 인듀어런스 컵 추가 드라이버였던 마이크 록켄펠러를 대체하였다. 팀메이트는 [[조던 테일러]]와 [[안토니오 가르시아]]. 사실 캐츠버그에게 [[콜벳 레이싱]] 합류는 처음이지만, 콜벳 레이스카를 몰아본 것은 처음이 아니다. 이미 GT1 월드 챔피언십에서 콜벳 C6.R을 몰아봤었으며, 2016년 [[르망 24시]]에서는 테스트 데이에 라브레 레이싱에 합류하여 C7.R을 몰아서 준수한 랩타임[* 테스트 데이 아침 세션에서 기록한 3분 57.999초. LMGTE-AM 클래스에서 1위였다.]을 낸 적이 있기 때문이다. 아쉽게도 이것이 라브레 레이싱을 통한 2016년 르망 24시 출전 시트로는 이어지지 못 했으나 3년이 지나서야 결실이 맺어지게 된 것이다. 그리해 처음으로 맞이한 데이토나 24시에서는 클래스 4위로 완주하였다. 레이스 6시간이 지났을때 C8.R을 타고 포르쉐 GT팀의 911번과 912번의 추격에도 클래스 2위를 유지하면서 C8.R이 첫 투입이라는 것과 콜벳 레이싱으로는 처음임에도 불구하고 두 드라이버들과 함께 좋은 퍼포먼스를 보였으나, 이후 트래픽이었던 98번 애스턴 마틴을 추월하는 과정에서 98번 애스턴 마틴과 접촉하여 98번이 그로인해 미끄러지고 다시 3번 콜벳을 들이받으면서 미끄러지는 사고를 겪고 말았다. 다행히 큰 파손이 아니어서 레이스를 이어가는데에는 큰 지장이 없었다. ===== 2021 시즌 ===== 2021년에도 계속해서 3번 차량의 추가 드라이버로서 활약하였다. 또한 콜벳 레이싱이 1년만에 르망 24시 GTE-PRO 클래스에 63번과 64번[* IMSA 스포츠카 챔피언십에서 각각 3번과 4번 차량에 대응된다.]으로 다시 출전함으로서 63번 드라이버 라인업에 그대로 합류하게 되었다. ||
{{{#!wiki style="margin: -3px -8px" [[파일:Corvette-Racing-rolex-2021.jpg|width=100%]]}}}|| 1라운드 데이토나 24시에서는 드라이버들과 함께 좋은 페이스를 유지하며 클래스 1위~2위를 4번과 함께 지켜내다가 경기 끝나기 7시간 전에 가르시아가 코로나 확진 판정으로 인하여 경기 도중에 아웃되었다는 심적으로 그다지 좋지는 않은 조건[* 참고로 가르시아가 나갔던 시점에서 약 7시간 50여분 정도를 주행한 상태였기에 테일러와 캐츠버그는 드라이빙 타임에 있어 큰 부담은 없었다.]에서 테일러와 함께 나머지 스틴트를 잘 마무리지으면서 캐츠버그는 커리어 첫 데이토나 24시 클래스 우승을 거두게 되었다. 가르시아가 도중 격리되었기에 시상식에는 캐츠버그와 테일러 두 명만 나왔다. 참고로 이때 캐츠버그와 테일러 모두 음성이 나왔다고. 2라운드 [[세브링 12시]]에서는 경기 끝나기 몇분 전에 가르시아 차례에서 25번 BMW M8 차량과의 경합도중에 25번 차량에게 밀쳐지면서 스핀하고 말았고 결국 클래스 4위로 완주하였다. 2021년에서 3번째로 콜벳 레이싱으로 참가하는 경기인 [[르망 24시]]에서는 콜벳 C8.R에 대한 좋은 적응력으로 밤 컨디션에서도 AF 코르세의 52번과 클래스 2위 자리를 두고 추격을 하고 추월해내는 인상적인 활약을 펼쳤었다. 르망 24시 경기 내내 캐츠버그, 가르시아와 테일러 모두 각자의 스틴트를 잘 소화하여 콜벳 레이싱에서의 첫 르망 24시를 클래스 2위로 좋은 마무리를 거두었다. 클래스 1위는 [[AF 코르세]] 51번으로 콜벳 63번과는 약 50여초의 격차였다. [[쁘띠 르망]]에서는 테일러 차례에서 GTD 클래스의 대형 사고에 휘말리면서 리타이어로 마지막 IMSA 스포츠카 챔피언십 GTLM 클래스 출전을 마무리지었다. ===== 2022 시즌 ===== 2022년에도 3번 차량의 미쉐린 내구레이스 컵 추가 드라이버로 활동하지만 GTLM 클래스가 폐지되고 GTD와 같은 GT3 차량을 사용하는 GTD-PRO로 전환되면서 [[콜벳 레이싱]]은 GTLM의 C8.R을 GTD급에 맞추면서 작년과는 다른 사양의 차량을 몰게 되었다.[* 같은 3번 드라이버인 가르시아와 테일러와 달리 캐츠버그는 이전에도 GTE 사양뿐만 아니라 GT3 사양의 레이스카를 몰아본 경험이 많았기에 차량에 적응하는 데에 그리 어렵지는 않았을 것이다.]그리고 [[르망 24시]]에서도 2021년과 큰 변함없이 63번 차량 드라이버로 확정되었다. ||
{{{#!wiki style="margin: -3px -8px" [[파일:2022_12_sebring_GTD_PRO_Corvette_win.jpg|width=100%]]}}}|| || '''2022 시즌 첫 우승을 가져간 3번 콜벳''' || 2라운드인 [[세브링 12시]]에서는 퀄리파잉에서 클래스 3위 자리를 가져가고, 레이스 내내 좋은 페이스를 유지하며 상위권에 있다가 결국 우승을 차지하였다. 레이스 경과 5시간정도 지나서 첫 스틴트를 맡기 시작했고 GTD-PRO에서 1위에 있던 렉서스 14번을 끝내 추월하고 뒤따라오던 BMW RLL 24번에게도 자리를 내주지 않으면서 자리를 지켜내고, 이후에 Pfaff 9번의 추월 시도를 지나가는 LMP3를 통해 막아내는 인상적인 활약을 해내었다. 그리하여 안정적으로 커리어 첫 세브링 12시 클래스 우승을 차지하였다. 시즌 파이널인 쁘띠 르망에서는 여러 불운이 겹쳐서 클래스 5위로 완주하였다. ==== WEC ==== ===== 2018-19 시즌 ===== ||
{{{#!wiki style="margin: -3px -8px" [[파일:le-mans-fra-11th-jun.jpg|width=100%]]}}}|| [[BMW]]가 팀 MTEK과 함께 M8 GTE로 GTE-PRO 클래스에 팩토리팀으로서 출전하게 되면서 풀시즌 드라이버로서 불려오게 되었다. 차량은 81번 M8에 탑승하며 팀메이트는 DTM에서 활약하던 마틴 톰칙. 이전에도 ELMS 등의 카테고리에서 활동한 적이 있었고, 2016 르망 24시에선 테스트 데이에서 라브레 레이싱의 콜벳 C7.R을 몰아보는 등 ACO 산하의 레이싱 시리즈에 인연은 있었으나, [[WEC]]와 [[르망 24시]]에는 처음으로 정식으로 시트를 갖고 출전하게 되었다. ||
{{{#!wiki style="margin: -3px -8px" [[파일:BMW-MTEK-81-1000-SEBRING-2nd.jpg|width=100%]]}}}|| 6라운드인 1000 마일 세브링에서 클래스 2위를 차지하였다. ===== 2023 시즌 ===== ||
{{{#!wiki style="margin: -3px -8px" [[파일:2023_Corvette_Racing_WEC_drivers_1.jpg|width=100%]]}}}|| LMGTE-PRO 클래스가 폐지되는 2023시즌 WEC와 르망 24시에도 콜벳 레이싱이 LMGTE 클래스에 참가할 것을 밝히면서 이에 따라 드라이버 라인업을 변경하여[* 2023년부터 통일된 LMGTE 클래스는 LMGTE-AM 클래스와 동일하게 GTE-PRO와 달리 드라이버 라인업에 브론즈 등급과 실버 등급의 드라이버를 반드시 1명씩 포함시켜야하는 규정이 있다.] 파트타임이었던 캐츠버그가 처음으로 콜벳 레이싱의 풀시즌 시트를 따내었다. 그리고 브론즈 등급 드라이버 자리에 벤 키팅이 팀메이트로 합류하였으며, 실버 등급에 아르헨티나 드라이버인 니코 바로네가 합류하였다. 캐츠버그에게 2023시즌은 2016년의 콜벳 커스터머였던 라브레 레이싱에서의 테스트 당시 상황하고 비슷하다고 봐도 될 것이다. 1라운드 세브링 1000마일에서는 키팅과 바로네와 함께 깔끔한 주행을 하면서 2위인 뎀시-프로톤 포르쉐 911 77번과 2랩 차이로 클래스 우승을 거두는데에 성공한다. 4라운드 르망 24시에서는 연습 세션 2번째에서 파손 당한 차량을 수리한다고 퀄리파잉에서 다른팀들에 비해 늦게 나와 기록을 제대로 세울 시간이 많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퀄리파잉에서 콜벳을 GTE-Am 클래스 탑8으로 올리는데에 성공하여, 키팅이 하이퍼폴에서 폴을 따내도록 하는데에 큰 공헌을 하였다. 이후 레이스에서는 초반에 개러지를 들어가고 좀처럼 반등하지 못했으나, 아침이 되고 끝내는 상위권으로 진입하는데에 성공, 바로네와 키팅과 함께 C8.R로 LM GTE-Am 클래스의 마지막 르망 24시를 우승으로 장식하고 만다. 이번 르망 24시 우승은 캐츠버그에게는 첫 르망 24시 클래스 우승이 되었다. ==== ETCR ==== ===== 2022 시즌 ===== 3라운드인 하라마 경기부터 [[현대 모터스포트]]으로 합류하면서 전기 스포츠카 레이싱 시리즈에 데뷔하였다. 드라이버 번호는 88번. === 여담 === * 비슷한 시기에 WTCR, GT, WEC GTE-PRO, IMSA 스포츠카 챔피언십 GTLM 등등 많은 카테고리에서 BMW, 현대, 쉐보레, 페라리 등등의 다양한 제조사의 차량들을 탑승해보고 있다. * 상술했듯이 타 카테고리 활동이 많은 편이어서인지 WEC나 IMSA 스포츠카 챔피언십에서 풀시즌으로 뛰어본 시즌이 별로 많지 않다. WEC의 2018-19시즌과 2023 시즌을 제외하면 대부분 인듀어런스 컵 파트타임으로 합류하는 것이거나, [[르망 24시]]에만 출전해왔다. * 같은 BMW 워크스 출신이자 2020년 뉘르부르크링 24시에서 함께 우승을 거두었던 [[알렉산더 심즈]]도 2021년부터 2022년까지 [[콜벳 레이싱]] 4번(64번) 차량의 세 번째 드라이버로서 활동했었으며 이후 심즈는 IMSA 스포츠카 챔피언십 GTP 클래스에 같은 GM 계열인 캐딜락의 팩토리 팀으로서 출전하는 [[휠렌 엔지니어링 레이싱]]의 풀시즌 시트를 차지하였고, 캐츠버그는 WEC에 참가하는 콜벳 레이싱의 풀시즌 시트를 획득하였다. [[분류:1988년 출생]][[분류:네덜란드의 인물]][[분류:모터스포츠/관련 인물]][[분류:FIA 드라이버 등급/플래티넘]][[분류:콜벳 레이싱 드라이버]][[분류:前 BMW 워크스 드라이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