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006년 영화]][[분류:한국의 다큐멘터리 영화]][[분류:미국의 다큐멘터리 영화]] ||<-2>
{{{#000000,#dddddd '''{{{+1 니키리라고도 알려진}}}''' (2006)[br]A.K.A. Nikki S. Lee}}} || || '''장르''' ||{{{#!wiki style="margin: 0px 10px" 다큐멘터리}}} || || '''감독''' ||<|2>{{{#!wiki style="margin: 0px 10px" [[니키 리]]}}} || || '''각본''' || || '''촬영''' ||{{{#!wiki style="margin: 0px 10px" 이준엽, 김정환}}} || || '''제작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태오닉 모(TeoNik Mo)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레슬리터커노우 아트워크 프로젝트}}}|| || '''배급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지구 아이콘_Black.svg|width=20]] 레슬리터커노우 아트워크 프로젝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엣나인필름]]}}}|| || '''개봉일'''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06년 10월 5일 [[파일:베를린 국제 영화제 로고.svg|width=50]] 2007년 2월 9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1년 6월 30일}}}|| || '''화면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1.85:1}}} || || '''상영 시간''' ||{{{#!wiki style="margin: 0px 10px" 58분}}} ||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wiki style="margin: 0px 10px" 2,538명}}} || || '''국내 스트리밍''' ||{{{#!wiki style="margin: 0px 10px" [[TVING|[[파일:TVING 로고.svg|width=50]]]] [[https://www.tving.com/contents/M000364965|▶]], [[wavve|[[파일:wavve 로고.svg|width=50]]]] [[https://www.wavve.com/player/movie?movieid=MV_C3001_C300000012523|▶]], [[시리즈온|[[파일:네이버 시리즈온 로고.svg|width=60]]]] [[https://serieson.naver.com/v2/movie/476750|▶]]}}} || || '''상영 등급''' ||{{{#!wiki style="margin: 0px 10px" '''[[12세 이용가|[[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ddd 12세 이상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 영국의 2006년 다큐멘터리 영화. 감독은 [[니키 리]]이다.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f-0SPjuMvE)]}}} || || '''▲ 예고편''' || == 시놉시스 == >`프로젝트(Projects)`, `파츠(Parts)` 시리즈의 주인공, 사진 작가 `니키 투(Nikki Two)`. >그리고 그녀의 정체성을 파헤치고자 하는 `진짜` 니키, `니키 원(Nikki One)`. >`니키 원(Nikki One)`은 자신의 다큐멘터리 속 등장하는 `니키 투(Nikki Two)`가 허구이고, 자신이 `진짜` 니키 리라고 말한다. >하지만, 어느 니키가 진짜 니키일까? > >당신이 알고 싶었던 `니키 리`의 모든 것! >---- >출처: [[https://movie.daum.net/moviedb/main?movieId=87892|다음 영화]] == 흥행 == 한국 관객 2,538명의 성적을 거두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