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일본의 대학교, rd1=국외 소재 대학교 일람/일본)] || {{{#!wiki style="margin: -6px -11px; padding: 7px 11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A2028, #DA2028, #DA2028, #DA2028)" {{{#!wiki style="margin: -7px;" || {{{#!wiki style="margin: -7px 0" [[니혼대학|[[파일:니혼대학 로고 화이트.png|width=50]]]]}}}||{{{#!wiki style="margin: -7px 0" [[니혼대학|{{{#!html 니혼대학}}}]][br]{{{-1 {{{#!html 관련 틀}}}}}}}}} ||}}}}}} || ||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도쿄도의 사립대학)] [include(틀:도쿄도의 단기대학)] [include(틀:고비다이)] [include(틀:2023년 일본 사립대학 인기투표 순위)] }}}}}} || ---- ||<-3> {{{#!wiki style="margin: -6px -11px; padding: 7px 11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A2028, #DA2028, #DA2028, #DA2028)" {{{#ffffff {{{+1 '''[ruby(日本大学, ruby=にほんだいがく)]'''}}}}}}[br]{{{#ffffff '''니혼대학'''}}}[br]{{{#ffffff '''Nihon University'''}}}}}} || ||<-3><#fff> [br][[파일:니혼대학 로고.png|width=300]][br][br] || ||<-3><#DA2028> {{{#fff '''대학 정보'''}}} || ||<-2> '''정식 명칭''' ||'''日本大学''' || ||<|3> '''모토''' || '''일본어''' ||'''自主創造''' || || '''영어''' ||'''the spirit of independent creativity''' || || '''한국어''' ||'''자주창조''' || ||<-2> '''설립 연도''' ||[[1889년]] {{{-1 ([age(1889-01-01)]주년)}}} || ||<-2>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2> '''소재''' ||'''치요다구(千代田区) 캠퍼스'''[br]^^[[도쿄도]] [[치요다구]] 쿠단미나미 4-8-24^^ || ||<-2> '''분류''' ||[[사립대학]] || ||<-2> '''설립자''' ||[[야마다 아키요시]] (山田顕義) || ||<-2> '''총장''' ||오쓰카 키치베 (大塚𠮷兵衛) || ||<|2> '''재학생''' || '''학부''' ||66,540명 {{{-2 (2020년)}}} || || '''대학원''' ||2,821명 {{{-2 (2020년)}}} || ||<|2> '''직원''' || '''교직원''' ||2,589명 {{{-2 (2020년)}}} || || '''행정직원''' ||1,332명 {{{-2 (2020년)}}} || ||<|2> '''상징''' || '''마스코트''' ||[[피닉스]] || || '''색상'''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3px 5px; background: #DA2028; font-size: 0.9em" {{{#fff '''비단색 (緋)'''}}}}}} || ||<|2> '''링크''' || '''웹사이트''' ||[[https://www.nihon-u.ac.jp/|[[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 '''SNS'''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nichidai, 크기=20)] | [[https://jp.linkedin.com/school/nihon-college/|[[파일:LinkedIn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facebook.com/nichidai/|[[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youtube.com/@nichida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hite {{{#!folding [ 지도 펼치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니혼대학, 너비=100%)]}}} || || {{{#white '''치요다구 캠퍼스'''}}} || }}}}}}}}}}}} || ||<#fff>{{{#!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X0JVH9SH1c)]}}}|| ||<#DA2028> {{{#fff '''니혼대학 소개 영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니혼대학 캠퍼스 사진.jpg|width=100%]]}}}|| ||<#DA2028> {{{#fff '''니혼대학 캠퍼스 사진'''}}} || [목차] [clearfix] == 개요 == [[도쿄도]] [[치요다구]]에 위치한 [[일본]] 최대 규모의 [[사립대학]]이다. 1903년 현재의 이름인 니혼대학으로 학교 이름을 바꾸었고 2008년에는 개교 120주년을 맞이하였다. 영문명칭은 '''Nihon University''', 약칭은 '''니치다이(日大)''' 교명은 말 그대로 [[일본대학]]이다. 일본 최대 규모의 종합대학 답게 각 학부가 독립성이 높기 때문에 각 단과대학의 연합체가 하나의 대학을 형성했다는 느낌이 강하다. 학부마다 캠퍼스를 하나씩 가지고 있는 형태. 학부가 14개, 연구과가 20개, 연구소 29개, 부속병원도 7개나 있다. 또한 대학 캠퍼스도 21개나 있다. 일본에는 [[본교]], [[분교]]의 개념이 존재하지 않고 이렇게 여러 개의 캠퍼스로 기능을 분담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 역사 == 1889년 개교한 니혼 법률학교를 모체로 삼아 1920년에 설립되었다. 1889년 메이지 정부 초대 사법대신이었던 야마다 아키요시(山田顯義, 1844∼1892)가 니혼 법률학교(日本法律学校)를 설립하였다. 설립자인 야마다 아키요시는 "일본의 옛법 제도를 명확히하여 그것을 새롭게 태어나는 여러 법전을 연구하기위해 일본의 법학을 연구하는 학교를 설립한다" 라고 밝혔다. 그는 [[대일본제국헌법]]이 공포된 시점의 근대국가의 탄생기에서 국가운영에 필요한 근대법을 아는 인재들의 필요성을 느꼈고, 일본대학의 전신인 일본법률학교 탄생후에도 지속해서 [[도쿄도]]에 운영재정면에 지원을 요청했다. 이러한 일본법률학교의 설립사업과 학교설립때의 그가 제시한 이념과 사상은 후학에도 이어져와서, 근대 일본의 발전의 불평등조약 해소에 큰 공헌을 하였으며, 그는 '''근대법의 아버지''' 라고 불린다. 단순한 법률학교가 일본 역사에서 이 정도의 수사의 칭찬을 받는 이유는 다름아닌 [[메이지]] [[정부]]가 서양열강과 맺은 불평등조약때문인데, 당시 일본은 미국을 포함한 서양 열강과의 불평등 조약때문에 큰 장애를 가지고 있었고, 일본을 제대로된 근대법 체계를 보유한 국가라고 열강에 홍보함과 동시에 불평등 조약을 개정 할 필요성이 있었다. 일본법률학교는 이 과정에서 불평등조약을 시정하는데에 매우 큰 공헌을 한다. [* 조선이 일본과의 불평등조약을 맺은후 그 후 다른 열강과의 도미노 불평등 조약을 맺어서 결국 일본에게 국권침탈을 당한것을 생각하면 불평등조약 해소는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것을 알수있으며 일본대학은 그 역사의 중심에 있었다. ] 1901년에는 현재의 문리학부의 전신인 고등사범과가 설치되었다. * 1889년 : 니혼 법률학교 개교 (법학부의 전신) * 1898년 : 고등전공과 설치 * 1901년 : 고등사범과 설치 (문리학부의 전신) * 1903년 : 니혼 대학으로 개칭 * 1904년 : 상과 설치 (경제학부의 전신) * 1906년 : 최초의 유럽 유학생 배출 * 1920년 : [[구제대학]] 설치 (최초의 여학생 입학 허가) * 1920년 : 고등공학부 설치 (이공학부의 전신) * 1921년 : 미학과 설치 (예술학부의 전신) * 1925년 : [[부속 전문부]] 의학과 설치 (의학부의 전신) * 1929년 : [[부속 전문부]] 공과 설치 (공학부의 전신) * 1939년 : 오사카 전문학교 독립 * 1947년 : 부속 전문부 공과를 [[후쿠오카현]]으로 이전 * 1948년 : 통신교육부 설치 * 1950년 : [[단기대학]] 설치 * 1951년 : 대학원 설치 * 1978년 : 국제관계학부 설치 * 1989년 : 개교 100주년 기념식 거행 ([[아키히토]] 천황 부부 참석) === 니혼대 투쟁 === 1968년에서 1969년까지 진행된 학원 공성전. 사실상 최초의 [[전공투]] 투쟁으로, 전공투 투쟁의 전형을 만들어낸 역사적으로 중요한 사건이었다. 유명하기는 학교가 불타고 1년 학번이 결번이 된 [[동경대]] 투쟁이 더 유명하지만, 그 동경대 전공투 의장도 니혼대 덕분에 우리도 싸울수 있었다고 평가했을 정도. 계기는 1968년 2월부터 4월까지 진행된 국세청 감사에서 니혼대 사학재단의 막대한 비자금이 발견된 것. 총 34억 엔의 비자금이 발견되었으며, 그 용도는 비과세 수당, 어용학생회인 체대생, [[응원단]] 지원용 떡값, 교직원 노동조합 파업문쇄 비용, 정재계 헌금 등이었다. 5월 21일, 경제학부 학생들이 주도해서 수백 명 규모의 토론회가 열렸다. 교직원들이 학생들을 건물에 가두고 체대생들이 난입하자 분노한 학생들이 천수백명으로 불어났다. 여기에 법학부 학생들이 가세하면서 일이 점점 커지기 시작했다. 5월 31일, 7천 명의 학생들은 학교 본부측에 대중단교(단체교섭)를 요구했고, 응답하지 않으면 동맹휴학에 돌입할 것이라 선언했다. 6월 11일까지 본부가 답변이 없자 경제학부와 법학부가 맹휴, 6월 15일에는 문리학부, 18일에는 상학부, 19일에는 예술학부, 22일에는 농수의대, 24일에는 문리학부 미시마캠이 맹휴에 가세하면서 일은 무시무시하게 커지기 시작했다. 어용 체대생들이 전공투를 자꾸 습격하자 전공투 학생들은 처음에는 학내에 진입한 경찰기동대가 그들을 제압해 주기를 기대했다. 그러나 6월 11일 폭력사태에서 기동대가 체대생들을 전혀 제지하지 않고 전공투 학생만 체포하자 이 날부터 전공투는 기동대를 사학 이사회의 폭력장치로 간주하고 과격화되기 시작했다. 9월 4일, 경제학부 본관 점거 해제에 출동한 기동대원 1명이 학생들이 떨어뜨린 콘크리트 조각에 맞아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경시청 공안부가 기자회견에서 공식적으로 "이제부터 봐주지 않겠다"고 엄포를 놓았고, 이 사건을 계기로 경찰은 학생들을 본격적으로 검거하기 시작했다. 9월 20일, 료고쿠 강당에서 3만 5천 명이 참여한 대중단교가 진행되었고, 12시간 협상 끝에 대학본부 측이 회계 공개와 이사진 퇴진 등 학생들의 요구를 수용했다. 그러나 다음날 [[사토 에이사쿠]] 총리가 "상식에 일탈하는 일"이라고 참견홰서 교섭 내용은 철회되고 말았다. 이후 료고쿠 강당에 일본도를 든 체대생들이 난입했고, 뒤이어 들어온 경찰기동대는 전공투 학생들만 제압해서 잡아갔다. 이로써 니혼대 투쟁은 실패로 돌아갔고, 일대전공투 잔여세력은 도쿄대 투쟁 등에 합류했다. 일대전공투 의장이었던 아키타 아케히로는 전국전공투 결성 시도 때 부의장으로 추대되었으나 결성대회장을 경찰이 덮쳐 일망타진되면서 검거되었다. 퇴학당한 이후 몹시 곤궁하게 생활해서 1994년 전공투 백서 편집위원회가 전공투 참가자들에게 보낸 설문조사에 "다시 그 시대로 돌아간다면 운동에 참여하지 않을 것. 바보 같다", "운동을 떠난 주원인은 생활", "당면한 가장 중요한 과제는 생활"이라는 등 냉소적인 답변을 보냈다. 후에 재전향하여 야마모토 요시타카 동대 전공투 의장과 함께 호헌활동에도 참여하고 2008년 7월 12일 인터뷰에서는 "니혼대 전공투의 투쟁에 큰 실수는 없었다," "죽을 때 내 인생은 전공투였다고 하면 된다"는 의견을 밝혔다. 공성전에서 일단 승리한 본부측도 사상자 발생의 책임을 지고 총장, 이사장의 인사교체가 이루어졌다. 사학재단의 수괴인 후루타 쥬지로는 회장직을 유지했지만, 1년도 못가 1970년 니혼대 부속병원에서 사망했다. 학생들의 증오를 받았기에 병실이 습격당할 것을 두려워해 가명으로 수속하고 벌벌 떨다 죽었다고 한다. == 학부 == 니혼대학의 캠퍼스는 [[LSE]]과 같이 도심에 건물이 여러개 흩어져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때문에 건물이 붙어있는 경우도 횡단보도를 기준으로 양옆에 배치된 경우가 많고 도쿄의 캠퍼스는 교통편이 편리한 경향이 있다. * 법학부 : 쟁쟁한 OB들이 많기로 유명하다. [[츄오-소부 완행선|JR 주오소부선]], [[도에이 지하철]] [[도에이 미타선|미타선]] [[스이도바시역]]에서 도보로 3~4분 정도의 거리에 위치해 있다. 1년차 교양 과정 중 2부와 법률학과를 제외하곤 JR 게이힌 도호쿠선 [[오미야역(사이타마)|오미야역]]에서 버스로 15분을 더 가는 한적한 곳에 있는 오미야교정에서 지내는데, 가까이에 놀 장소도 없고 다들 강의가 끝나면 곧장 집으로 돌아가 버려 친구 만들기도 어렵다고 한다. * 경제학부 : 법학부와 함께 가장 도심에 위치한 학부. 다만 정말 교실들만이 있을 뿐, 그라운드는 거의 없어 녹색캠퍼스와는 거리가 멀다. 경제학과, 경제학과 국제코스, 산업경영학과, 금융공공경제학과로 구성되며 많은 수리지식이 요구된다. 그중 금융공공경제학과는 필수적으로 통계학, 게임이론, 프로그래밍, 데이터분석, 계량경제학을 배워야하며 심도높은 금융공학 코스를 제공하고 있다. 입학후 따라가기 위해서는 미적분정도는 해놓는게 좋다. * 문리학부 : 캠퍼스가 넓은 건 아니지만, 적당히 녹지도 있고 캠퍼스다운 캠퍼스라고 할 수 있다. 위치는 [[케이오선]] [[시모타카이도역|시모다카이도역]]이나 [[사쿠라조스이역]]에서 도보 10분거리로 나쁘지 않다. 시모다카이도역에서 이어지는 상점가는 통칭 '니치다이 거리'라고 불리며 싼 술집이나 가게가 많은, 학생 거리다운 분위기가 있다. 4년간 같은 장소에서 지낼 수 있는 점이 큰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인구밀도가 높아서 식당은 언제나 붐비고, 교실에도 인기 있는 수업인 경우 서 있는 것은 물론 심지어 바닥에 앉는 학생들도 존재한다. 시험 전과 같은 때는 사람이 다 들어갈 수 없는 일도 있다고 한다. * 상학부 : [[오다큐 전철|오다큐선]] 조시가야역에서 도보 12분 거리에 위치해 있다. 교정이 좁다는 것이 단점이지만, 근방에 공원이 있어 이를 어느 정도 상쇄해 준다. 상업학과, 경영학과, 회계학과로 나뉘며 질 높은 교육을 제공한다. 일본에서 회계학과가 설치된 몇 없는 학부이다. 니혼대학 회계학과는 일본에서 유수의 명성을 자랑한다. * 예술학부 : '''자타공인 니혼대의 간판학부. 통칭 니치게(日芸).''' 예술학부만큼은 일본 내에서도 최상위권에 랭크된다. 상당히 유명한 나머지 ''''저 니치게(日芸) 거든요.'''' 라고 인터뷰 하는 동문이 있을 정도. 일본 5대 명문 미대를 일컫는 [[고비다이]]에도 포함되어 있다. 마침 [[기동전사 건담 시리즈]]의 아버지 [[토미노 요시유키]]도 니치게 출신이다. [[파일:니치게이.jpg]] '''"역시 니치게 군요."''' 1, 2학년은 도코로자와 캠퍼스, 3, 4학년은 에코다 캠퍼스에서 수업을 듣는다. 에코다 캠퍼스에 새로이 A동을 건축하며, 2019년도 입학자부터는 전학년이 에코다 캠퍼스에서 수업을 듣게 된다. * 국제 관계 학부 * 위기 관리 학부 * 스포츠 과학 학부 * 이공학부 : 1, 2학년은 [[치바현]]의 [[후나바시니치다이마에역]], 3, 4학년은 JR 주오선 [[오차노미즈역]] 가까이에 위치해 있다. * 생산 공학부 * 공학부 * 의학부 * 치학부 * 마츠도치학부 * 생물 자원 과학부 : 수의학과가 포함되어 있는 단과대학의 특징이 강한 학부. [[무츠아이니치다이마에역]]에서 도보 약 5~10분. 생물 자원 특성상 주변이 시골이라 학교 끝나고 학교 주변에서 논다는 공식은 성립하지 않는다. 수의학과의 경우 공부량이 많아 유급하는 학생이 많다고 한다. * 약학부 * 통신 교육부 * 단기대학부 === 법학부 === ||<-2>[anchor(인문학)]{{{+1 {{{#fff '''법학부'''}}}}}}[br]^^{{{#fff College of Law}}}^^|| || 학부/과 || 전공 || ||<|2> 제1부 법률학과 || 법조전공 || || 종합법전공 || || 제2부 법률학과 || 종합법전공 || ||<|4> 정치경제학과 || 국제정치경제전공 || || 일본정치경제전공 || || 지방행정재정전공 || || 정치경제이론전공 || || 신문학과 || - || ||<|3> 경영법학과 || 비지니스법전공 || || 국제법무전공 || || 지적재산전공 || ||<|3> 공공정책학과 || 행정직과정 || || 공안자치체전공 || || 공공공익매니지먼트전공 || === 문리학부 === ||<-2>[anchor(인문학)]{{{+1 {{{#fff '''문리학부'''}}}}}}[br]^^{{{#fff College of Humanities and Sciences}}}^^|| || 학부/과 || 전공 || ||<|4> 철학과 || 철학전공 || || 윤리학전공 || || 종교학전공 || || 미학전공 || ||<|4> 사학과 || 일본사전공 || || 동양사전공 || || 서양사전공 || || 고고학·문화재전공 || ||<|2> 국문학과 || 일본문학전공 || || 일본어학전공 || ||<|3> 영문학과 || 영미문학전공 || || 영어학전공 || || 영어교육전공 || || 중어중문학과 || - || || 독일문학과 || - || || 사회학과 || - || || 사회복지학과 || - || || 교육학과 || - || || 심리학과 || - || || 지리학과 || - || || 지구과학과 || - || || 수학과 || - || || 정보과학과 || - || || 물리학과 || - || || 생명과학과 || - || || 화학과 || - || || 체육학과 || - || === 경제학부 === ||<-2>[anchor(인문학)]{{{+1 {{{#fff '''경제학부'''}}}}}}[br]^^{{{#fff College of Economics}}}^^|| || 학부/과 || 전공 || || 경제학과 || - || || 국제경제학과 || - || || 산업경영학과 || - || || 국제경제학과 || - || || 금융공공경제학과 || - || === 상학부 === ||<-2>[anchor(인문학)]{{{+1 {{{#fff '''상학부'''}}}}}}[br]^^{{{#fff College of Commerce}}}^^|| || 학부/과 || 전공 || || 상업학과 || - || || 경영학과 || - || || 회계학과 || - || === 예술학부 === ||<-2>[anchor(인문학)]{{{+1 {{{#fff '''예술학부'''}}}}}}[br]^^{{{#fff College of Art}}}^^|| || 학부/과 || 전공 || ||<|2> 미술학과 || 회화전공 || || 조각전공 || ||<|6> 음악학과 || 성악전공 || || 피아노전공 || || 관현악전공 || || 작곡·이론전공 || || 음악교육전공 || || 정보음악전공 || ||<|4> 연극학과 || 연기전공 || || 무용전공 || || 무대연출전공 || || 무대미술전공 || ||<|4> 영화학과 || 감독전공 || || 연기전공 || || 촬영녹음전공 || || 영상이론전공 || || 사진학과 || - || || 디자인학과 || - || || 문예학과 || - || || 방송학과 || - || === 국제관계학부 === ||<-2>[anchor(인문학)]{{{+1 {{{#fff '''국제관계학부'''}}}}}}[br]^^{{{#fff College of International Relations}}}^^|| || 학부/과 || 전공 || ||<|4> 국제종합정책학과 || 국제관계전공 || || 국제비지니스전공 || || 글로벌스터디전공 || || 글로벌관광전공 || ||<|4> 국제교양학과 || 국제문화전공 || || 국제커뮤니케이션전공 || || 글로벌스터디전공 || || 글로벌관광전공 || === 위기관리학부 === ||<-2>[anchor(인문학)]{{{+1 {{{#fff '''위기관리학부'''}}}}}}[br]^^{{{#fff College of Risk Management}}}^^|| || 학부/과 || 전공 || || 위기관리학과 || - || === 스포츠과학부 === ||<-2>[anchor(인문학)]{{{+1 {{{#fff '''스포츠과학부'''}}}}}}[br]^^{{{#fff College of Sports Sciences}}}^^|| || 학부/과 || 전공 || || 경기스포츠학과 || - || === 이공학부 === ||<-2>[anchor(인문학)]{{{+1 {{{#fff '''이공학부'''}}}}}}[br]^^{{{#fff College of Sciences and Technology}}}^^|| || 학부/과 || 전공 || || 토목공학과 || - || || 교통시스템공학과 || - || || 건축학과 || - || || 도시공학과 || - || || 기계공학과 || - || || 정밀기계공학과 || - || || 우주공학과 || - || || 전기공학과 || - || || 전자공학과 || - || || 응용정보공학과 || - || || 물질응용화학과 || - || || 물리학과 || - || || 수학과 || - || === 생산공학부 === ||<-2>[anchor(인문학)]{{{+1 {{{#fff '''생산공학부'''}}}}}}[br]^^{{{#fff College of Industrial Technology}}}^^|| || 학부/과 || 전공 || ||<|3> 매니지먼트공학과 || 비지니스매니지먼트전공 || || 경영시스템전공 || || 푸드매니지먼트전공 || ||<|2> 환경안전공학과 || 환경안전전공 || || 환경에너지전공 || ||<|2> 창생디자인공학과 || 제품디자인전공 || || 공간디자인전공 || ||<|3> 기계공학과 || 자동차전공 || || 항공우주전공 || || 로봇·기계제작전공 || ||<|3> 전기전자공학과 || 에너지시스템전공 || || e커뮤니케이션전공 || || 크리에이티브엔지니어프로그램 || ||<|2> 응용분자화학과 || 응용분자시스템전공 || || 국제화학기술자전공 || ||<|3> 수리정보공학과 || 시뮬레이션데이터과학전공 || || 미디어디자인전공 || || 컴퓨터과학전공 || || 토목공학과 || - || || 건축공학과 || - || === 공학부 === ||<-2>[anchor(인문학)]{{{+1 {{{#fff '''공학부'''}}}}}}[br]^^{{{#fff College of Engineering}}}^^|| || 학부/과 || 전공 || || 토목공학과 || 토목공학전공 || || 건축학과 || 건축학전공 || || 기계공학과 || 기계공학전공 || || 전기전자공학과 || 전기전자공학전공 || || 생명응용화학과 || 생명응용화학전공 || || 정보공학과 || 정보공학전공 || === 의학부 === ||<-2>[anchor(인문학)]{{{+1 {{{#fff '''의학부'''}}}}}}[br]^^{{{#fff School of Medicine}}}^^|| || 학부/과 || 전공 || || 의학과 || - || === 치학부 === ||<-2>[anchor(인문학)]{{{+1 {{{#fff '''치학부'''}}}}}}[br]^^{{{#fff School of Dentistry}}}^^|| || 학부/과 || 전공 || || 치학과 || - || === 마츠도치학부 === ||<-2>[anchor(인문학)]{{{+1 {{{#fff '''마츠도치학부'''}}}}}}[br]^^{{{#fff School of Dentistry at Matsudo}}}^^|| || 학부/과 || 전공 || || 마츠도치학과 || - || === 생물자원과학부 === ||<-2>[anchor(인문학)]{{{+1 {{{#fff '''생물자원과학부'''}}}}}}[br]^^{{{#fff College of Bioresource Sciences}}}^^|| || 학부/과 || 전공 || ||<|3> 바이오사이언스학과 || 영양·건강과학전공 || || 발표·화학생물학전공 || || 미생물·식물전공 || || 동물학과 || - || || 해양생물학과 || - || || 산림학과 || - || || 환경학과 || - || || 아그리사이언스학과 || - || || 식품개발학과 || - || || 식품비지니스학과 || - || || 국제공생학과 || - || || 수의보건간호학과 || - || || 수의학과 || - || === 약학부 === ||<-2>[anchor(인문학)]{{{+1 {{{#fff '''약학부'''}}}}}}[br]^^{{{#fff School of Pharmacy}}}^^|| || 학부/과 || 전공 || || 약학과 || - || == 대학 평가 == * 일본국내기업 사장의 출신대학수 1위이다. [* 상장기업으로 한정시 5위] * 2021년 3월 기준 역대 졸업생수가 약 120만에 달하며 일본인구의 1%를 조금 넘지않게 차지하며 사회에서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 게다가 소재지가 도쿄이기때문에 더욱 더 그 영향력은 확대된다 도쿄도의 인구는 2021년 기준 1396만명이다] * 日東駒専([[닛토코마센]])의 '''닛'''에 해당한다. * 2000년대 들어서 일본의 수도권 인구집중화 현상과 입결정수정책으로 인해 도쿄권 학교들의 입학경쟁률이 높아지면서 니혼대의 입결도 오른 상황. * 2022년 [[리쿠르트 홀딩스|리쿠르트]]가 [[간토]] 지역에서 조사한 '고등학교 3학년이 지원하고 싶은 대학'에서 7위를 차지했으며, '알고 있는 대학'에서 6위를 차지했다.[[https://souken.shingakunet.com/research/pdf/2022_brand.pdf|링크]] * 보통 일본인들 사이에서는 ''''꽤 머리 좋은 학생들'''' 이라는 범위에 들어가는 학교이자 학생들 에게는 ''''상경해서 졸업할 가치가 있는 전국구 브랜드의 학교'''', 대기업에게는 ''''타겟스쿨''''의 마지노선이다. [[파일:KakaoTalk_20230512_092555328.jpg|align=center]] * 고학력에 대한 기준을 보통 니혼대학까지 잡는다. [[https://kirari-media.net/posts/7801|링크.]] 유튜브나 포털에서 명문 대학, 일류대학, 유명대학 등으로 검색해 보면 니혼대까지를 포함시킨 정보들이 거의 대부분. 입시학원 또한 주요대학으로 대부분 니혼대학까지 설정한다. 이에 대해서는 근거가 있는데 일본 내 대기업과 공무원, 공기업에서 '''매년 필요로 하는 양질의 일자리 수요가 약 23만 명인데, 최상위권인 도쿄대학부터 니혼대학 라인까지의 졸업생 수가 이 수준에 근접하게 맞춰지기 때문'''이다.[* 2020년 니혼대의 전체 재학생 수는 약 6만여명 이었고, 졸업생만 단순 계산 하면 약 1만 여명이 넘는 수준에 그치며, 수도권에 거주하며 구직하는 신규졸업자만 추리면 그 숫자는 훨씬 낮아진다. 관동지역의 네임드인 도쿄대부터 니혼대라인 까지의 2020년 졸업생 수는 약 6만5천명 정도에 머문다.(규모가 작거나 특정부문만 명문인 군소 대학 제외) 졸업생 만이 취직을 할 수 있으므로 재학생 숫자를 대입하는 것은 계산 오류. 근거 없는 소리가 아니다.] * '맘모스학교'라는 별명과 함께[* 전 일본 대학 중 '''학부생 수 1위''', '''교원 수 5위'''.] '''도쿄 스이도바시에서 돌을 던지면 니혼대 출신의 머리에 맞는다.''' 라는 우스갯소리가 있다. * 그밖에 인식으로 니혼대 여학생에게 갖는 이미지는 ''''THE 대학생', '구두보다는 스니커즈를 즐겨 신는', '밝고 성격 좋은 잘 웃는 아이''''로 [[게이오기주쿠대학]]이나 [[아오야마가쿠인대학]]의 이미지인 '세련되고 차가운 시티걸(또는 보이)' 이미지와는 상반되며 [[와세다대학]]이나 [[메이지대학]]이 갖고 있는 서민적인 '''반카라(バンカラ)''' 이미지와 비슷하다. [[파일:3472432605568098857.jpg|align=center]] == 국제 교류 == 한국의 대학과 협정관계는 다음과 같다. * [[연세대학교]] * [[고려대학교]] * [[서강대학교]] * [[세종대학교]] * [[경희대학교]] * [[가톨릭대학교]] * [[경북대학교]] * [[전북대학교]] * [[전남대학교]] 위 대학 중 상호간 학부 교환학생을 보내는 학교로는 [[경희대학교]], [[서강대학교]] 이며 특히 [[경희대학교]]의 경우 학부생의 학점교환 뿐만아니라 교수진들의 학술 교환과 문화적인 교류도 활발하여 해외의 거점학교 처럼 여겨지고 있다. 그 밖의 주요 협정관계는 다음과 같으며 기타지역은 생략. * [[미국]] : [[일리노이 주립대학교]],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시스템|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텍사스 대학교]] 등 * [[영국]] : [[케임브리지 대학교]], [[노팅엄 대학교]] 등 * [[중국]] : [[베이징대학]], [[칭화대학]] 등 == 출신 인물 == 한국의 [[김환기]] 화백, 김수근 대성그룹 창업주, 탤런트 [[손창호]], 충남대학교 전파정보통신공학과 우종명 교수도 이곳 출신이다. 라우드커뮤니케이션즈 아나운서 [[김효진]]도 이 학교 입학 후 현재 휴학중이다. SM엔터테인먼트 소속의 가수 [[제이민]]이 이 학교 출신이며 방송([[문제적남자]])에서 모교에 대해 소개한 바 있다. [[http://tvn.tving.com/tvn/VOD/View/CLIP/EA_84433|링크.]][[삼성전자]] [[박찬훈]] 부사장도 이 학교 출신으로 굴지의 글로벌기업 임원 중 가장높은 자리이자 끝판왕이라고 불리는 부사장 자리에 이름을 올렸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171116000190|링크.]] * [[고이즈미 준야]] - [[고이즈미 준이치로]] 前 [[일본 총리]]의 아버지. 본래 성씨는 사메지마였으나 정치인 고이즈미 가문의 [[데릴사위]]가 되면서 아내의 성씨를 따랐다. * [[김기림]] - [[바다와 나비]] 등을 쓴 [[모더니즘]] 시인. 예술학부(문학예술과) 출신.[* 김기림은 [[도호쿠대학]] 영문학과로 잘 알려져 있는데, 도호쿠대학 졸업 9년 전인 [[1930년]]에 니혼대학 문학예술과도 졸업했다.] * [[김수근(기업인)|김수근]] - [[대성그룹]] 창업주. 법학부 출신. * [[나가미네 타츠야]] - 애니메이션 감독. 예술학부 출신. * [[박찬훈]] - [[삼성전자]] 부사장. 전기공학과 출신. * [[사쿠라다 사토시]] - 유명 햄버거 체인 [[모스버거]]의 창립자. 경제학부 출신. * [[사쿠라이 히로아키]] - 문리학부 국문학과 출신. 애니메이션 감독. * [[고이즈미 고타로]] - 경제학부 출신. [[배우]], [[고이즈미 준이치로]] 前 총리의 장남. * [[제이민]] - 가수. 영화학과 출신. * [[김효진(아나운서)|김효진]] - 前 아프리카 BJ, 現 프리랜서 아나운서. * [[나가하마 다다오]] - 예술학부 연극학과 출신. 인형극, 연극, 애니메이션 감독 * [[나리타 료우고]] - 라이트노벨 작가. 문리학부 출신. * [[나카무라 기시로]] - 정치인 * [[나카무라 토모야]] - 예술학부 연극학과 중퇴. * [[니시자와 노부타카]] - 예술학부 영화학과 출신. 애니메이션 감독 * 다나카 요시카즈 - 법학부 출신. [[그리(기업)|그리]]의 창립자. 2017년 말 기준 일본 조단위 부자 중 최연소. * [[마스이 소이치]] - 예술학부 미술학과 중퇴. 애니메이션 감독. * [[무라타 슈이치]] - 야구선수 * [[미야지 마사유키]] - 예술학부 중퇴. 애니메이션 감독. * [[미우라 켄타로]] - 예술학부 미술학과. [[베르세르크]]를 비롯한 일본의 만화가. * [[Vaundy|바운디]] - 예술학부 디자인학과 학사. 일본의 싱어송라이터 * [[사토 준이치(애니메이션 감독)|사토 준이치]] - 예술학부 영화학과 중퇴. 애니메이션 감독 * [[손창호]] - 예술학부 영화학과 유학. 한국의 탤런트, 영화배우, 영화감독 * [[송언필]] -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 [[시라이 유카리]] - 예술학부 사진학과 출신. [[웨더뉴스]]라이브 캐스터 * [[우에다 마스오]] - 예술학부 영화학과 출신.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 [[이강학]] - 제1상업과 및 경제과 출신. 제14대 내무부 치안국장 및 고려통상 창업주 * 야츠 요시아키 - 레슬링부 출신. [[1976 몬트리올 올림픽]] 프리스타일 레슬링 국가대표 출신의 프로레슬러. * [[이길여]] - 의학부 의학박사, [[길병원]] 설립자. * [[이시구로 노보루]] - 예술학부 영화학과 출신. 애니메이션 감독 * 이시우 - 이공학부 전자공학박사.[* 상명대학교 스마트정보통신공학과 교수] * [[이아이]] - 예술학부 영화과 출신. 한국의 탤런트, 영화배우 * [[이주하(1905)|이주하]] -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노동운동가, 광복 후 [[조선공산당]]과 [[남로당]] 간부. * [[미타니 코키]] - 연극학과 출신. 각본가, 영화 감독. * [[가모시타 이치로]] - 의학부 출신, 의학박사. 정치인, 전 환경대신. * [[카키누마 토모야]] - 야구선수. * [[코다카 카즈타카]] - [[단간론파 시리즈]]로 유명한 [[시나리오 라이터]]. 예술학부 영화학과 출신. * [[카도마츠 토시키]] - 문리학부 철학과 출신. 시티팝 장르로 유명한 일본의 싱어송라이터이자 프로듀서 * [[아오야마 고쇼]] - 예술학부 미술학과 출신. [[명탐정 코난]] 등으로 유명한 일본의 [[만화가]]. * [[야나기야 쿄타로]] - 상학부 경영학과 출신. 일본의 유명한 [[라쿠고]]가 * [[야노 토루]] - 상학부 경영학과, 레슬링부 동시 출신. [[신일본 프로레슬링]] 소속 프로레슬러. * [[야마모토 유스케(山本裕介)]] - 예술학부 영화학과 출신. 애니메이션 감독. * [[야마우치 카즈노리]] - 예술학부 영화학과 출신. [[그란 투리스모 시리즈]]로 유명한 [[폴리포니 디지털]] 대표 겸 레이싱 드라이버. * [[야타베 카츠요시]] - 예술학부 영화가 출신. 애니메이션 감독. * [[에토 아키노리]] - 법학과 출신. 정치인, 전 방위대신. * 우타히로바 쥰 - 예술학부 문예학과 출신. 밴드 [[GOLDEN BOMBER]]의 베이시스트. * [[오노 다이스케]] - 예술학부 방송학과 출신. 일본의 [[성우]]. * [[오시마 구스오]] - 법학부 정치경제학과 출신. 정치인 * [[오오니시 사오리]] - 예술학부 영화과 출신. 일본의 [[성우]]. * [[오카다 요시후미]] - 야구선수. 부상으로 야구부 활동을 못 하게 되자 자퇴. * [[오키 타카마사]] - 야구선수. 야구부 감독에게 대들었다가 야구부에서 방출당하는 바람에 야구를 계속하기 위해 자퇴. * [[요도가와 나가하루]] - 법학부 미학과 예과 중퇴. 영화평론가 * [[요시모토 바나나]] - 예술학부 문예학과 출신. 일본의 [[작가]]. * [[요시카와 다카모리]] - 정치인 * [[유익배]] - 광복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노동운동가. 초대 전국금속노동조합연맹 위원장. * [[Lovely Summer Chan|이마이즈미 아이카]] - 예술학부 출신. ラブリーサマーちゃん(Lovely Summer Chan)이란 예명으로 활동하는 일본의 싱어송라이터. * [[이마니시 타카시]] - 예술학부 출신. 애니메이션 감독 * [[이시다 아키라]] - 예술학부 연극학과 연기코스 출신. 일본의 유명 [[성우]]. * [[이호석(정치인)|이호석]] - 법학부 출신. [[제헌 국회의원|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제2대 [[대구광역시장|경상북도 대구시장]] * [[이우줄]] - 제3대 * [[이쿠타 리라]] - 예술학부 음악학과 학사. 일본의 싱어송라이터이자 [[YOASOBI]]의 보컬로도 활동중이다. * [[사쿠라다 신타로]] - 정치인 * [[사토 쓰토무]] - 정치인 * [[스즈키 요시히로]] - 정치인 * [[타케우치 쥰코]] - 예술학부 출신. [[우즈마키 나루토]] 역으로 유명하다. * [[가지야마 히로시]] - 법학부 출신. 일본의 정치인, * [[초노 히사요시]] - 야구선수 * [[카와사키 쿄타]] - 예술학부 출신. [[울트라맨 시리즈]] 감독. * [[카츠마타 토모하루]] - 예술학부 영화학과 출신. 애니메이션 감독 * [[카타부치 스나오]] - 예술학부 영화학과 출신. 애니메이션 감독 * [[코스기 쥬로타]] - 예술학부 방송학과 출신. 일본의 성우. * [[타치카와 유즈루]] - 예술학부 출신. 애니메이션 감독. * [[토리우미 진조]] - 예술학부 영화학과 출신. 애니메이션 각본가 * [[토미나가 미나]] - 예술학부 연극학과 출신. 일본의 [[성우]]. * [[토미노 요시유키]] - 예술학부 영화학과 출신. [[기동전사 건담 시리즈]]의 아버지. * [[혼고 카나타]] - 예술학부 사진학과 출신. 일본의 [[배우]]. * 혼다 타몬 - 레슬링부 출신. '아마레슬링의 신'이라 불리우던 아마레슬링 출신 프로레슬러. * [[후쿠다 도미카즈]] - 공학부 출신. * [[다이지타오]] - 법학부 중퇴. 중화민국 1대 고시원장. * [[쥐정]] - 법학부 줄업. 중화민국 2대 사법원장. * [[한 메구미]] - 성우. 예술학부 연극학과. * [[이토 타케시]] - 예술학부 출신. 일본의 Fusion Jazz Band인 [[T-SQUARE]]의 Sax & EWI 연주자 * [[시오자와 카네토]] - 성우. 예술학부 연극학과 출신. * 아마노 아츠시 - 의학부 출신. 외과의. 아키히토 천황의 심장 수술 집도의. 준텐도 대학 의학부 부속병원 쥰텐도 의원 원장 * [[츠나 케이토]] - 배우. 생산공학부 환경안전공학과 출신. * [[오오와다 히토미]] - 성우. 예술학부 음악학과 출신. * [[브리드컷 세라 에미]] - 성우. 예술학부 연극학과 출신. * [[하쿠 신쿤]] - 정치인. 공학부 출신. * [[하야시 모토오]] - 정치인. 문예학부 출신. * [[하치미네 안나]] - 성우. 예술학부 영화학과 출신. * [[후지타 카즈유키]] - 레슬링부 출신. '야수'라는 별명으로 유명한 중량급 종합격투가 겸 프로레슬러. * [[하세가와 유이]] - 여자 축구선수. [[맨체스터 시티 우먼]] 소속 * [[모토카리야 유이카]] - 배우. 예술학부 연극학과 출신. * [[토미나가 요시히코]] -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예술학부 영화학과 출신. == 기타 == * 사건 사고 * 2018년 5월, 니혼대학의 부속 [[미식축구]]팀인 니혼대학 피닉스의 [[감독]]이 경기 중 [[칸세이가쿠인대학]]의 선수를 의도적으로 부상 입히라는 지시를 내린 사건이 사회적 문제가 되었고, 한국의 매스컴에까지 [[https://www.ytn.co.kr/_ln/0104_201805180841518034|공개]]되었다. [[https://ja.wikipedia.org/wiki/%E6%97%A5%E6%9C%AC%E5%A4%A7%E5%AD%A6%E3%83%95%E3%82%A7%E3%83%8B%E3%83%83%E3%82%AF%E3%82%B9%E5%8F%8D%E5%89%87%E3%82%BF%E3%83%83%E3%82%AF%E3%83%AB%E5%95%8F%E9%A1%8C#%E6%97%A5%E6%9C%AC%E5%A4%A7%E5%AD%A6%E3%81%AB%E3%82%88%E3%82%8B%E8%BE%9E%E4%BB%BB%E3%83%BB%E5%87%A6%E5%88%86%E3%81%AA%E3%81%A9|해당 사건 관련한 일본 위키백과 항목.]] * 2022년 9월, 니혼대학의 [[https://www.korea-relations.com/|김혜경]](金惠京) 준교수[* [[서울]] 출신, [[메이지대학]] 졸업.]가 경력 위조로 징계 [[해고]] 처분을 받았다. 경력란에 기재되어 있던 미국 [[변호사]]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것이 발각되었던 것. * 외국인 유학생: 니혼대학은 법학부,문리학부,경제학부,상학부,예술학부,국제관계학부,스포츠과학부,이공학부,생산공학부,공학부,치학부,생물자원학부등 위기관리학부와 의학부,약학부를 제외한 모든 학부에서 외국인 유학생을 받아들이고 있다. 니혼대학 외국인 유학생 입시 정보 [[https://www.nihon-u.ac.jp/admission_info/application/international/]] 입시를 위해서는 [[일본유학시험]] 수험이 필요하며 필요한 과목은 학부에 따라서 달라진다. * 일본 최대 [[사립대학]] 규모답게 학부 재학생이 68,000명에 달하며, 졸업생 총 수가 '''100만 명'''을 돌파하였다. * 한국에서도 연말마다 한국인 동문회 행사가 열린다. 이 날은 재학생부터 해외에 퍼져 있는 동문들까지 서울로 집합한다는 후문. * 애니메이션 업계인이 상당히 많은 학교이다. 1960년대 TV 보급으로 인한 TV 드라마 열풍으로 영화계가 망하자 [[토미노 요시유키]], [[카츠마타 토모하루]] 같은 영화과 출신 학생들은 졸업 후 애니메이션 업계에 들어가서 활동했다. 특히 [[토에이 애니메이션]]과 [[선라이즈(브랜드)|선라이즈]]에 니혼 대학 출신 인물이 많아 이 학교를 나올 경우 빠른 출세가 보장된다. [* 특히 [[토미노 요시유키]] 감독은 평소엔 후배를 막 혼내기로 유명한데 니혼대학 후배라고 하면 사람이 바뀐 것처럼 친절하게 대한다고 한다.] 그래서 애니메이션을 하려는 사람들이 여기를 목표로 하는 경우가 있다. 영화학과는 아예 영화와 적성이 안 맞거나 성적이 부족한 학생에겐 애니메이션 회사를 소개하면서 하라고 권하기도 한다고 한다. * 니혼대학은 '''[[도쿄12대학홍보연락협의회]]''' 중 하나이다. 이 협의회는 도쿄내 유명 대학인 [[와세다대학]], [[조치대학]], [[메이지대학]], [[아오야마가쿠인대학]], [[릿쿄대학]], [[주오대학]], [[호세이대학]], [[가쿠슈인대학]], 니혼대학, [[고쿠가쿠인대학]], [[센슈대학]], [[토카이대학]]으로 구성되어 있다. * 니혼대의 OB이자 한국에서도 유명한 '''[[모스버거]]'''의 창립자 사쿠라다 사토시(櫻田 慧)는 그의 저서에도 모교에 대한 내용을 기재할 정도로 애교심이 큰 것으로 유명하다. 니혼대 캠퍼스에 모스버거를 설치하고 재학생과 관계자에게 할인된 가격에 제공하고 있다. [[파일:dannychoo_com_20200821_132814.jpg|width=400]] <니혼대 전용 모스버거 - 간판에 MOS BURGER CAMPUS가 적혀있다.> [[분류:도쿄도의 대학]][[분류:1889년 개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