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fff {{{+1 닐가이}}}(니루가이)[br]Nilgai, Blue Bull}}}'''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oselaphus tragocamelus.jpg|width=100%]]}}} || || [[학명|{{{#000 '''학명'''}}}]] || ''' ''Boselaphus tragocamelus'' '''[br]Pallas, 1766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포유류|포유강]](Mammalia)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경우제목(Cetartiodactyla)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소과(Bovidae) || || [[생물 분류 단계#족|{{{#000 '''족'''}}}]] ||닐가이영양족(Boselaphini) ||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닐가이영양속(''Boselaphus'') ||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닐가이영양'''(''B. tragocamelus'')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ilgai_bull.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ilgai_running.jpg|width=100%]]}}} || || 수컷 || 암컷 || [목차] [clearfix] == 개요 == [[인도]] 전역에 분포하는 대형 [[영양(동물)|영양]]. [[아시아]]에서 가장 큰 영양으로 몸이 말과 비슷하여 말사슴, 말산양이라고도 한다. == 이름의 어원 == [[인도]]에서 "파랑"을 의미하는 '''nil'''과 [[소]]를 의미하는 '''gai'''의 합성어에서 유래했다. 무갈시대 아우랑제브 치세 기간에는 푸른 말이라는 뜻의 "닐고르"(nilghor)라고도 불렸다. == 특징 == 크기는 몸길이 2m, 어깨높이 1.5m, 몸무게 190kg이다. [[인도]] 중부와 북부 지역의 잡목 숲이나 농경지 등에서 흔히 발견되는 야생 동물이다. 소를 닮은 수컷의 겉모습 때문에 푸른황소(blue bull)로도 불린다. [[네팔]] 남동부와 [[파키스탄]] 동부 지역 일부에서도 발견된다. 현재 [[방글라데시]]에서는 멸종 상태이다. 뿔은 수컷에게만 있고, 앞쪽에 뚜렷한 융기가 있으며 길이는 25cm이다. 목의 정중선에 갈기가 있다. 꼬리는 길어서 축 늘어지며 끝에 털무더기가 있다. 머리, 목, 발굽 위에 흰색의 반점이 있다. 몸빛깔은 수컷이 어두운 갈색이고 암컷과 어린 수컷은 붉은빛을 띤 갈색이다. 물가에서 가깝고 나무가 있는 구릉지대에서 암컷과 새끼들로 작은 무리를 이루어 서식한다. 풀과 나무의 잎, 열매, 떨어진 꽃이나 농작물을 먹는다. 아침·저녁에 먹이를 찾아다니며, 황무지에서도 빠른 속력으로 달린다. 오랫동안 물이 없어도 견딜 수 있으나 물이 있으면 규칙적으로 물을 마신다. 번식기에는 수컷끼리 무릎을 꿇고 뿔을 맞댄 채 목을 비틀면서 생사를 가리지 않고 싸운다. 임신기간은 8~9개월이며, 한배에 1~2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수명은 20~30년이다. 뿔이 빈약하여 수렵 대상에서 외면당하였고, 힌두교의 신자들이 소 다음으로 성수로 여기고 있어 많은 수가 서식하고 있다. == 천적 == 천적은 [[아시아사자]], [[벵골호랑이]], [[승냥이]], [[인도늑대]], [[아시아치타]][* 단 아시아치타는 주로 새끼를 노렸을 것이다.], [[인도표범]], [[늪악어]], [[버마비단뱀]]이다. == 기타 == [[파일:nilgai_seoul_zoo.jpg|width=350]] [[서울대공원]]에서 사육한 기록이 있으나 2000년대 중반에 폐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 외에도 우치공원 동물원에서도 보유한 기록이 있다. [[분류:닐가이영양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