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닛산|[[파일:닛산 로고.svg|width=10%&theme=light]][[파일:닛산 로고 화이트.svg|width=10%&theme=dark]]]]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23 닛산 베르사 SR.jpg|width=100%]]}}} || || {{{#000000 '''VERSA'''}}} || [목차] '''Nissan Versa / [[닛산 노트|Versa Note]] / V-Drive[* 맥시코 등 일부 남미 지역 판매명]''' == 개요 == [[닛산]]에서 생산하는 북미형 [[소형차]]. 저렴한 가격으로 소형차 1위를 차지하고 있다. == 역사 == === 1세대 (C11, 2006~2012)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07 닛산 베르사 해치백_(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07 닛산 베르사 해치백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07 닛산 베르사 해치백_(3).jpg|width=100%]]}}} || ||<-2> {{{#000000 '''해치백'''}}}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07 닛산 베르사 세단_(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07 닛산 베르사 세단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파일:2007 닛산 베르사 세단_(3).jpg|width=100%]] || [[파일:2007 닛산 베르사 세단_(4).jpg|width=100%]] ||}}} || ||<-2> {{{#000000 '''세단'''}}} || ||<-2> {{{#000000 '''전기형'''}}}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10 닛산 베르사 해치백_(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10 닛산 베르사 해치백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10 닛산 베르사 해치백_(3).jpg|width=100%]]}}} || ||<-2> {{{#000000 '''해치백'''}}}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10 닛산 베르사 세단_(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10 닛산 베르사 세단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10 닛산 베르사 세단_(3).jpg|width=100%]]}}} || ||<-2> {{{#000000 '''세단'''}}} || ||<-2> {{{#000000 '''후기형'''}}} || [[닛산 티다|티다]]의 북미형 모델이다. 122마력의 1.8L 4기통 DOHC 엔진이 탑재되었으며, 4단 자동변속기, 6단 수동변속기, 엑스트로닉 CVT와 조합되었다. 2009년에는 세단 모델 한정으로 107마력의 1.6L 4기통 엔진으로 바뀌었으며, 4단 자동변속기는 5단 자동변속기로 변경되었다. === 2세대 (B17/E12, 2011~2019)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12 닛산 베르사 세단_(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12 닛산 베르사 세단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파일:2012 닛산 베르사 세단_(3).jpg|width=100%]] || [[파일:2012 닛산 베르사 세단_(4).jpg|width=100%]] ||}}} || ||<-2> {{{#000000 '''베르사 세단'''}}}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14 닛산 베르사 노트_(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14 닛산 베르사 노트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파일:2014 닛산 베르사 노트_(3).jpg|width=100%]] || [[파일:2014 닛산 베르사 노트_(4).jpg|width=100%]] ||}}} || ||<-2> {{{#000000 '''북미 시장 사양 베르사 노트'''}}}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파일:2014 닛산 베르사 노트 SR_(1).jpg|width=100%]] || [[파일:2014 닛산 베르사 노트 SR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14 닛산 베르사 노트 SR_(3).jpg|width=100%]]}}} || ||<-2> {{{#000000 '''베르사 노트 SR'''}}} ||}}} || ||<-2> {{{#000000 '''전기형'''}}}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15 닛산 베르사 세단_(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15 닛산 베르사 세단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15 닛산 베르사 세단_(3).jpg|width=100%]]}}} || ||<-2> {{{#000000 '''베르사 세단'''}}}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17 닛산 베르사 노트_(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17 닛산 베르사 노트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파일:2017 닛산 베르사 노트_(3).jpg|width=100%]] || [[파일:2017 닛산 베르사 노트_(4).jpg|width=100%]] ||}}} || ||<-2> {{{#000000 '''북미 시장 사양 베르사 노트'''}}} || ||<-2> {{{#000000 '''후기형'''}}} || 세단은 2012년에 [[닛산 라티오|라티오]]의 북미형으로, 해치백은 2013년에 [[닛산 노트|노트]]의 북미형으로 풀체인지되었다. 109마력의 1.6L 4기통 가솔린 엔진과 엑스트로닉 CVT가 조합된다. 베르사 노트는 북미에서 떨어져만 가는 소형차의 인기와 판매량 감소로 인해 단종되었다. ==== 여담 ==== 세단 모델의 경우, 북미에서 가장 싼 차인데, 심지어 [[경차]]인 [[쉐보레 스파크]]보다도 쌌다. 시작 가격은 $12,110[* 2017년식 까지는 $10,990.]로 동급에서 가장 저렴한 가격으로 북미 [[소형차]] 시장과 멕시코 시장에서 베스트셀러 역할을 하고 있다. 해치백인 베르사 노트는 세단 모델과는 거의 상관이 없고 이름만 공유하는 수준이다. 북미 시장에서는 싼게 비지떡인지 판매량과 반대로 평판은 영 좋지 않다. [youtube(85OysZ_4lp0)] 미국의 NCAP을 담당하는 [[IIHS]]에서 2016년에 2015년식 [[닛산 츠루|츠루]]와 옵셋 충돌 테스트를 해본 적이 있다. 베르사는 [[에어백]]은 터지고 유리는 깨졌을지언정 운전자는 멀쩡했지만 츠루는 아예 엔진이 캐빈룸까지 밀려 들어와 스티어링 휠이 운전자 가슴을 직격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차세대 모델이 출시된 이후에도 멕시코 시장에서는 "V-드라이브"라는 이름으로 염가형 소형차로 포지션을 낮춰 병행판매한다. 사실상 이전 염가형 모델인 츠루의 후속 모델이라 할 수 있겠다. === 3세대 (N18, 2019~현재)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20 닛산 베르사 SR_(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20 닛산 베르사 SR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20 닛산 베르사 SR_(3).jpg|width=100%]]}}} || ||<-2> {{{#000000 '''SR'''}}} || ||<-2> {{{#000000 '''전기형'''}}} || 2019년 4월 뉴욕 모터쇼에서 공개되었다. 초대 티다의 "럭셔리 컴팩트" 컨셉트로 회귀한 듯한 고급스러운 내, 외관을 특징으로 하며, 맥시마를 축소한 듯한 스타일링의 캡 포워드에 가까운 디자인을 꾀하고 있다. 해외 시장에서는 [[닛산 알메라|알메라]], [[닛산 서니|서니]]로도 판매된다. [[닛산 마치|마이크라]]와 형제모델이며, 122마력의 1.6L 가솔린 엔진이 장착된다.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23 닛산 베르사 SR_(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23 닛산 베르사 SR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23 닛산 베르사 SR_(3).jpg|width=100%]]}}} || ||<-2> {{{#000000 '''SR'''}}} || ||<-2> {{{#000000 '''후기형'''}}} || 2022년 10월 11일,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공개되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닛산의 차량)]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닛산 츠루, version=51, paragraph=2)] [[분류:닛산/생산차량]][[분류:소형 세단]][[분류:소형 해치백]][[분류:2006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