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닛산|[[파일:1983 투명 구 닛산 로고.png|width=20%]]]]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닛산 핀타라.jpg|width=100%]]}}} || || {{{#000000 '''Pintara'''}}} || [목차] '''Nissan Pintara''' '''日産・ピンターラ''' == 개요 == [[일본]]의 자동차 제조사인 [[닛산]]에서 생산했던 승용차이다. == 상세 == === 1세대 (R31, 1986~1990) === || [[파일:1986 닛산 핀타라 세단.jpg|width=100%]] || [[파일:1986 닛산 핀타라 왜건.jpg|width=100%]] || ||<-2> {{{#fff '''1세대 핀타라 라인업'''}}} || 차량의 생산은 [[호주]] [[빅토리아 주]] [[멜버른]]에 위치한 클레이튼 공장에서 이루어졌다. [[1986년]] 중반부터 판매되면서 현지에서 만들어지던 6세대 [[닛산 블루버드]]를 대체하였다. [[미쓰비시 마그나]]와 같은 차량과 경쟁하였다. 해당 차량의 출시 배경에는 7세대 [[닛산 블루버드|블루버드]]가 [[전륜구동]]으로 변경되면서 생긴 변화 때문에 [[호주]] 지사 측에서는 해당 시장에서 아직 [[후륜구동]] 사양이 먹히다 보니 [[전륜구동]]으로의 변경은 성과가 없을 것이라 보고 개발한 차량이었다. 그렇게 해서 4기통 엔진을 달고 만들어진 [[닛산 스카이라인]]으로 볼 수 있을 듯하다.[* [[토요타]] 역시 현지 시장에서 T140형 7세대 [[토요타 코로나|코로나]]를 연장 생산하기도 했고 [[닛산]]에서는 8세대 [[닛산 블루버드|블루버드]]를 도입하면서 그제서야 [[전륜구동]] 블루버드를 출시할 수 있었다.] 라인업은 6실린더 엔진이 탑재된 스카이라인처럼 세단과 왜건 사양으로 구성되었다. 사양은 GLi, 이그제큐티브, GX, GXE가 있었으며, GX와 GXE 세단에는 전후면 에어 댐퍼, 리어 스포일러, 측면 스커트, 그릴 커버, 알로이 휠, 로우 프로파일 타이어가 포함된 TRX 차체 키트 패키지가 적용되었다. U12형 TRX와는 달리, 기계적인 업그레이드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파워트레인]]은 [[닛산 스카이라인]]의 2.0L CA20E형 [[SOHC]] 가솔린 I4 엔진이 탑재되었으며, 105마력의 최고 출력, 160Nm의 최대 토크를 냈다. 전자식 점화 기능을 포함한 전자 집중 제어 시스템(ECCS)을 특징으로 하는 다초점 연료 분사 장치가 적용되었다. 그 결과, 실린더당 2개의 스파크 플러그를 사용하여 배기 가스 배출 요건을 충족할 수 있었다. 해당 차량에 탑재된 엔진은 경쟁 차량들에 비해 회전수가 높은 편이었으며, [[닛산 가젤]]에도 탑재된 바 있었다. 세단 사양은 [[1989년]]에, 왜건 사양은 [[1990년]]에 단종되었다. === 2세대 (U12, 1989~1992) === || [[파일:닛산 핀타라 T.jpg|width=100%]] || || {{{#fff '''닛산 블루버드 T 사양'''}}} || '프로젝트 마틸다'라는 이름으로 개발되었으며, [[1989년]]에 처음 출시되었다. 기존처럼 [[호주]] 시장용으로 개발된 승용차가 아닌, 현지에서 생산된 [[전륜구동]] 형태의 [[닛산 블루버드]]였다. 하지만, 이로 인해 현지 테스트에서 성능이 좋지 않다는 평가가 나오자 차체와 섀시를 강화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기도 했다. 세단은 유지했으나, 왜건 사양이 단종된 대신 리프트백 사양이 추가되었다. [[파워트레인]]은 1세대와 같은 2.0L CA20E형 [[SOHC]] 가솔린 I4 엔진이 탑재되었으며, 111마력의 최고 출력, 168Nm의 최대 토크를 냈다. 이는 GLi 및 이그제큐티브 사양에만 적용되었으며, 나머지 T, Ti, TRX 사양은 2.4L KA24E형 I4 엔진이 탑재되었다. 차량의 최고 출력은 129마력, 최대 토크를 189Nm을 냈으며, [[SOHC]] 방식에 실린더당 3개의 밸브(흡기 2개, 배기 1개)로 구성된 점화 타이밍 제어 장치가 적용되었다. [[1992년]] 단종의 배경에는 정밀 MPI 연료 분사를 위해 전자 집중 제어 시스템(ECCS)을 장착한 부분이 있었다. --물론 [[버튼 플랜]]의 결과가 처참했던 부분도 있었겠지만...-- || [[파일:닛산 블루버드 오시.png|width=100%]] || || {{{#fff '''닛산 블루버드 오시'''}}} || 해당 세대부터는 '슈퍼 해치'라 불리는 5도어 리프트백 사양이 추가되었으며, [[일본]] 시장에서는 닛산 블루버드 오시(Nissan Bluebird Aussie)로 수출되어 판매가 이루어졌고, [[일본]]산 [[닛산 블루버드]]의 대체 차량으로도 [[뉴질랜드]] 시장에 출시된 바 있었다. || [[파일:포드 코세어 기아.png|width=100%]] || || {{{#fff '''포드 코세어 기아(Ghia) 사양'''}}} || 호주 정부의 자동차 산업 정책인 [[버튼 플랜]]으로 인해 [[포드 코세어(호주형)|포드 코세어]]와 --어쩔 수 없이-- 형제차 관계가 되었다. 해당 라인업은 세단과 해치백으로 판매되었다. 차체 패널 제작 공정 및 기계 설비들은 [[포드 모터 컴퍼니|포드]]에서 제공하기도 했다. [[1992년]] 중반에 [[호주]] 현지 생산을 중단하면서 단종되었으며, [[뉴질랜드]] 사양은 [[일본]] 공장 제조 CKD 키트를 기반으로 현지 생산 및 판매를 진행하였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닛산의 차량)] [[분류:닛산/생산차량]][[분류:1986년 출시]][[분류:1992년 단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