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닛산|[[파일:닛산 로고(1940-1950).png|width=10%&theme=light]][[파일:닛산 로고 화이트.svg|width=10%&theme=dark]]]]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Nissan_180_Thumbanail.jpg|width=100%]]}}} || || {{{#000000 '''180型'''}}} || || {{{#000 '''日産・180型'''}}} || [목차]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9lRLXbC3yi0?si=yENoMpMabKXxfZL4)]}}} || || {{{#000000 '''닛산자동차 공식 180 소방차형 리뷰 영상'''}}} || '''"닛산 180"'''은 1941년, [[닛산자동차]]에서 일본 제국군의 수송 차량 개발 요구에 따라 이에 응하여 개발한 중형 수송트럭으로, 비단 일본군뿐만 아니라 종전 이후 한국에 남겨진 닛산 180들이 6.25 전쟁 전후로 국군 소속으로 사용되는 등, 한일 양국에서 절찬리에 사용되었다. 현재 남아있는 수가 매우 적은 [[토요타 BM]]과 달리, 잔존한 개체가 다수 존재하는데 최근 [[닛산자동차]]에서 공식적으로 소방차형을 리스토어하여 동태보존 중에 있다. == 제원 == ||<-2>
'''{{{#000 日産・180型トラック}}}''' || ||<-2> '''{{{#000 제원}}}''' || || '''{{{#000 개발국가}}}''' ||[[일본 제국]] || || '''{{{#000 개발기관}}}''' ||[[닛산자동차]] || || '''{{{#000 개발연도}}}''' ||1939 ~ 1941년 || || '''{{{#000 생산기관}}}''' ||[[닛산자동차]] || || '''{{{#000 생산연도}}}''' ||1941 ~ 1951년 || || '''{{{#000 전장}}}''' ||6,473mm || || '''{{{#000 전폭}}}''' ||2,190mm || || '''{{{#000 전고}}}''' ||2,180mm || || '''{{{#000 휠베이스}}}''' ||4,000mm || || '''{{{#000 전비 중량}}}''' ||2,200kg || || '''{{{#000 최대 적재 중량}}}''' ||4,000kg || || '''{{{#000 탑승 인원}}}''' ||3명 || || '''{{{#000 엔진}}}''' ||3,670cc AT형 직렬 6기통 엔진 || || '''{{{#000 사용 연료}}}''' ||가솔린 || || '''{{{#000 구동 방식}}}''' ||[[FR(자동차)|전방 엔진 후륜 구동 방식]] || || '''{{{#000 변속기}}}''' ||전진 4단, 후진 1단 수동변속기 || || '''{{{#000 최고 출력}}}''' ||85hp || || '''{{{#000 출력비}}}''' ||25.8hp/t || || '''{{{#000 현가 장치}}}''' ||[[리프 스프링 현가장치]] || || '''{{{#000 최고 속도}}}''' ||75km/h || || '''{{{#000 연료 탱크}}}''' ||70L || == 내부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nissan_180_offcial_catalog.jpg|width=100%]]}}} || || {{{#000000 '''닛산 180의 상세 카탈로그'''}}} || '''"닛산 180"'''의 내부는 상단 카탈로그와 동일하다. 닛산 180의 엔진은 85마력의 6기통 가솔린 엔진으로, 이는 동시대 타사의 트럭들보다 더 좋은 성능을 낼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으며, 구동계는 전진 4단, 후진 1단의 수동변속기로 이루어져 있었다. 특이하게도 닛산 180은 연료탱크가 프레임 측면이 아니라, 캐빈 바로 아래에 있었는데, 이는 타사 차량과 차별화 되는 요소로 평가받는다. 여담으로 닛산 180은 라이벌인 [[토요타 BM]]과 매우 유사하게 생겨, 혼동을 빚는 경우가 종종 있는 편인데, 두 차량간의 차이점은 간단하게 후드 측면의 공기흡입구 형상과 전면 라이트의 배치 방식 차이로 구분이 가능하다. == 개발사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nissan_80.jpg|width=100%]]}}} || || {{{#000000 '''닛산 80'''}}} ||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기존에 사용하던 수송차량의 노후화로 일본 군부에서는 신형 수송차량 개발사업을 실시하였다. 이에 닛산에서는 기존에 자신들이 만들었던 닛산 80을 내놓았으나 정비의 불편함과 너무 짧은 차체등의 이유로 이는 반려되었고, 닛산자동차 개발부에서는 닛산 80을 기반으로 하여 차체 전면을 더 늘리고, 여러 개선안을 적용해 닛산 180을 제작 후 군부에 제출했다. 군부에서는 크게 만족하여 주력 군용 수송차량으로 채택을 결정했고, 비단 군용 뿐 아니라 민수용으로도 판매하여 닛산의 스테디셀러 반열에 오를 수 있었다. 전시 중에는 하술할 개악형인 전시형을 개발하기도 했으며, 종전 이후 1947년경에 일반형을 다시금 1951년까지 생산하였다. == 형식 == === 일반형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Nissan_180_kai_Thumbnail.jpg|width=100%]]}}} || || {{{#000000 '''180型 [ruby(一般型,ruby=いっぱんかた)]'''}}} || 닛산 180의 일반형은 당 시기에 맞는 디자인 트렌드인 유선형 캐빈과 적재함 가드를 채택하고 있었으며, 당시로서는 선진적인 형태의 디자인과 높은 적재중량으로 민간, 군을 가리지 않고 큰 인기를 누렸다. 이에 닛산에서는 180을 바탕으로 여러 다양한 파생형을 제작하였으나, 1944년 전황의 악화로 하단의 개악형인 전시형이 생산되었다가 전쟁 이후 1947년 다시 일반형이 생산되어 1951년에 최종적으로 생산을 마쳤다. === 전시형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nissan_180_kouki.jpg|width=100%]]}}} || || {{{#000000 '''180型 [ruby(戦時型,ruby=せんじかた)]'''}}} || 닛산 180 전시형은 1944년, 기존 원자재의 부족과 어두워지는 전황의 여파로 철제 캐빈에서 목재로 변경하고, 기타 자잘한 사항들을 모조리 감가하여 생산 원가를 줄인 개악형을 말한다. 1944년부터 종전시기인 1945년까지 짧게 생산되었으며, 이후 일본이 패망하며 잠시 자동차 생산이 금지되었다가 1947년 경, 일반형이 다시 시장에 등장하며 단종되었다. == 실전 == === 대전기 === ==== [[제2차 세계 대전]] ==== ===== [[태평양 전쟁]]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knockouted_Nissan_tanker.jpg|width=100%]]}}} || || {{{#000000 '''태평양 전쟁 당시 격파된 일본 제국 육군 소속 닛산 180 유조차'''}}} || 태평양 전쟁 시기 일본 제국군의 주력 수송차량 중 하나로 닛산 180이 사용되었다. 특히 베트남, 버마, 팔렐리우와 같은 격전지는 물론, 당시 일본령 조선에서도 많은 수가 배치되어 있었는데, 이는 광복 직후 혼란기에 수습하지 못하고 유기하면서 민간이나 관청에 불하되어 사용되었다고 한다. 민간, 군용을 가리지 않고 사용된 특성상, 일본 본토에도 수많은 개체가 있었는데, 소방차의 베이스로 인기가 많았던 탓에 [[도쿄 대공습]] 당시 닛산 180 소방차가 화재진압을 위해 투입되었다고 한다. ===== [[소련-일본 전쟁]] ===== ====== [[만주 전략 공세 작전]]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Soviet-Invasion-of-Manchuria-in-WWII_nissan_180.jpg |width=100%]]}}} || || {{{#000000 '''만주 전략 공세 작전 당시 소련 극동군에 압류된 일본 제국군 소속 닛산 180'''}}} || 만주 전략 공세 작전 당시 만주 인근 부대에 닛산 180 다수가 배치되어 있었으나 소련군의 무지막지한 물량 공세와 진격 속도 때문에 제대로 사용되지 못하고 다수의 차량이 소련군에 압류되었다. === 냉전 === ==== [[6.25 전쟁]]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korean_War_Nissan_180.jpg|width=100%]]}}} || || {{{#000000 '''6.25 전쟁 당시의 대한민국 국군 소속 닛산 180'''}}} || 6.25 전쟁 당시, 광복 직후 민간에 불하되었던 닛산 180 다수를 징발해 임시로 군용 차량으로 사용하였다가 [[토요타 BM]]가 군용 목적으로 한국 땅에 들어오며 같이 사용되었다. 약 4천 6백여대가 투입되어 거진 주력 군용차량으로 사용되었던 [[토요타 BM]]과 달리, 기존 민간에서 사용되었기에 그보다 수는 적었지만 전쟁 초기 무기 하나, 자동차 하나가 아쉬웠던 국군의 발이 되어주었으며, 휴전협정 채결 이후 다시 민간에 불하되었다고 한다. ==== [[4.3 사건]]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제주_4.3사건_닛산_180.jpg|width=100%]]}}} || || {{{#000000 '''4.3 사건 당시 동원된 제주도 경찰국 소속 닛산 180'''}}} || 4.3 사건 당시 제주도 경찰국 소속으로 닛산 180 1량 이상이 민간에서 징발되어 동원되었다. ==== [[재일교포 북송|재일교포 북송 반대 시위]]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닛산_180_1959_재일교포_북송_반대시위.jpg|width=100%]]}}} || || {{{#000000 '''재일교포 북송 반대 시위 당시 동원된 닛산 180'''}}} || 1959년 조총련과 일본의 주도로 진행된 [[재일교포 북송]] 사업을 반대하는 시위 당시 최소 4량이 동원되었다. ==== [[4.19 혁명]]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4.19_혁명_닛산_180_트럭과_시위대_계엄군.jpg|width=100%]]}}} || || {{{#000000 '''4.19 혁명 당시 동원된 닛산 180'''}}} || 4.19 혁명 당시, 민간 불하된 영업용 닛산 180 1량이 [[토요타 BM]]과 함께 시위에 동원되어 시민들과 함께 도로를 행진한 기록이 남아있다. == 사용국 == === [[아시아]] === ==== [[동아시아]] ==== ===== [[일본 제국]]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abondoned_Japanses_army_Nissan_180.jpg |width=100%]]}}} || || {{{#000000 '''유기된 일본 제국 육군 소속 닛산 180'''}}} || 원조 사용국이자 개발국으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주력 군용 트럭으로 사용하였는데, 비단 군용 뿐만 아니라 민수용으로도 큰 인기를 끌어 많은 수가 판매되었으며, 일본군이 주둔한 곳곳에 배치되어 있었다. 특히 이 중 일본령 조선에 배치된 닛산 180은 훗날 신생 국군에 편입되어 큰 활약을 하였다. ===== [[대한민국]]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953_korean_nissan_180.jpg|width=100%]]}}} || || {{{#000000 '''충돌 사고로 완파된 대한민국 국군 소속 닛산 180'''}}}[* 해당 차량은 1953년 부산-마산 방면 도로에서 [[CCKW]] 기반 버스와 충돌하여 완파되었다고 한다.] || 광복 이후, [[일제강점기]] 당시 조선에 군용 목적으로 반입된 개체들을 미군정에서 폐차처분하지 않고 그대로 민간 및 관청 등에 불하처분하여 사용하였다가, 6.25 전쟁 발발 이후 해당 차량들이 다시금 징발되어 전시 중 내내 같은 일제 트럭인 [[토요타 BM]]과 함께 사용되었다. 휴전협정 체결 이후, 대부분의 군용 트럭이 일제에서 미제로 변경되는 과도기 중, 다수의 닛산 180이 퇴역하고 민간으로 재판매되었으며, 해당 차량들은 1970년대까지 도로에서 흔히 볼 수 있었다고 한다. 현재 한국에 잔존해 있는 닛산 180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미디어 == === 영화 === ==== [[나는 당신을 위해 죽으러 갑니다]]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orewa_kimino_tameni_koso_shinini_kuru_Nissan_180.jpg|width=100%]]}}} || || {{{#000000 '''나는 당신을 위해 죽으러 갑니다에 등장한 일본 제국 육군 소속 닛산 180'''}}} || 일본 극우 미디어물인 나는 당신을 위해 죽으러 갑니다에 닛산 180이 육군항공대 소속의 수송차량 및 항공기 엔진 시동 용도 등으로 등장한다. == 모형 == === 프라모델 === ==== 제브라노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Nissan Type 180.jpg|width=100%]]}}} || || {{{#000000 '''Nissan Type 180'''}}} || 동구권 프라모델 제조사 제브라노에서 1:100 스케일로 1종을 출시하였다. === 브릭 === ==== 촨관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QuanGuan-WWII-building-blocks-100121-Nissan-truck-military-model-children-s-assembled-building-block-toys-factory_1024x1024.webp |width=100%]]}}} || || {{{#000000 '''NISSAN 180 TRUCK'''}}} || 중국의 브릭 메이커인 "촨관"에서 일본 제국군 사양으로 1종을 출시했다. == 참고 문헌 == * [[https://ja.wikipedia.org/wiki/%E6%97%A5%E7%94%A3%E3%83%BB80%E5%9E%8B|위키피디아 일어판 닛산 80 문서]] * [[https://carsmeet.jp/2023/05/25/295754/gallery/6/#goog_rewarded|Carsmeet.jp 기고 칼럼 "닛산의 180이라고 하면 SX… 뿐만이 아니다! 「1949년형 닛산 180형 트럭」 【매혹의 자동차 카탈로그·레미니 센스】"]] == 둘러보기 == [include(틀:닛산의 차량)] [include(틀:2차 세계대전/일본 기갑차량)] [include(틀:6.25 전쟁/유엔군 기갑차량)] [include(틀:냉전/한국 기갑차량)] [include(틀:기갑차량 둘러보기)] [[분류:닛산/생산차량]][[분류:1941년 출시]][[분류:1951년 단종]][[분류:군용트럭]][[분류:대한민국 국군/기갑차량]][[분류:지상 병기/세계 대전]][[분류:지상 병기/냉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