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그룹]]에 여러 국적을 가진 멤버들이 존재하는 것을 말한다. 대개 다국적 그룹은 내국인 멤버와 [[외국인]] 멤버가 혼합되어 존재한다.[* 만일 국내에서 한국인 멤버는 한 명도 없고 여러 국적의 외국인만 존재한 사례가 있다면 [[추가바람]].] 이 경우 외국인 멤버는 외국인이라는 메리트 때문에 다른 멤버보다 더 큰 관심을 받는 경우가 많다. 외국인 멤버를 추가 한다면 얻게되는 이익을 생각해서 일부러 외국인 멤버를 데뷔시키는 경우도 많다. 예를 들면 [[태국]]인 멤버가 그룹에 있게 된다면 [[유튜브]] 조회수가 잘 나오게 된다. 거기다 부가적으로 태국 공연과 다양한 태국 광고에 출연 할 수도 있다. 태국은 [[케이팝]] 인기가 동남아에서 제일 높은 나라이고 그나마 동남아시아 국가중에 공연 수익으로는 제일 벌이가 좋은 시장이다. 드물긴 하지만 멤버 전원이 같은 국적의 외국인[* 2000년 데뷔한 남성 듀오 [[골뱅이#s-7|골뱅이]] 등.]인 경우도 있으나, 이 경우는 국적이 서로 다른 멤버가 없으므로 다국적 그룹이라 하지 않는다. [목차] == 종류 == ||연도별로 기재해주세요. 한국 그룹의 경우에는 한국인 이외의 외국인 멤버의 국적만을 기재합니다.[* 한국 국적을 보유한 [[복수국적]]자를 적지 말것. 이 사람들은 대한민국 국적법에 따르면 한국 내에서는 외국국적을 행사할 수 없으므로 한국인이다.]|| * [[써클]] - 中, 日 [1998] - 국내 최초 다국적 그룹이다. * [[Y2K(밴드)|Y2K]] - 日 [1999] * [[god]] - 美 [1999] [* 박준형, 데니 안, 손호영 3명이 복수국적자인줄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지만 셋다 복수국적중 한국 국적을 포기하고 병역을 면제 받았다.] * [[소녀시대]] - 美 [2007] [* [[티파니(소녀시대)|티파니]], [[제시카(가수)|제시카]]는 복수국적자가 아니다.] * [[2PM]] - [[닉쿤|泰(美)]] [2008] * [[f(x)]] - [[빅토리아(f(x))|中]], [[엠버(f(x))|美(灣)]] [2009] * [[miss A]] - 中 [2010] * [[라니아(걸그룹)|라니아]] - [[따보|中]],[* 현재 탈퇴한 듯한 정황을 보이고 있지만, 공식적으로 탈퇴한 상태는 아니다.] [[남폰|泰]] / (前) [[알렉산드라 레이드|美]] [2011] * [[M.I.B]] - [[강남(가수)|日]] [2011] * [[타이니지]] - [[민트(가수)|泰]] [2012] * [[버스커버스커]] - 美 [2012] * [[비투비]] - [[프니엘|美]] [2012] * [[크로스진]] - (前) [[타쿠야(크로스진)|日]], [[캐스퍼(1991)|中]] [2012] * [[뉴이스트]] - [[Aron|美]] [2012] * [[EXO]] - [[레이(EXO)|中]][* 원래는 4명이었지만 [[우이판|3명이]] [[루한|팀을]] [[황쯔타오|떠나서]] 지금은 레이 혼자다.] [2012] * [[스카프(걸그룹)|스카프]]- (前) 新, 日 [2012] * [[피에스타]]- [[차오루|中]] / (前) 美 [2012] * [[써니데이즈]] - 中 [2013] * [[GOT7]] - [[마크(GOT7)|美]], [[잭슨(GOT7)|香]], [[뱀뱀|泰]] [2014] * [[전설(아이돌)|전설]] - 中 [2014] * [[포텐(아이돌)|포텐]] - 美 [2014] * [[D.Holic]] - [[D.Holic#s-3.1|日]] [2014] * [[CLC]] - [[Sorn|泰]], [[엘키|香]] [2015] * [[DAY6]] - [[Jae|美]][* 정확히는 미국, 아르헨티나 이중 국적이다.] [2015] * [[TWICE]] - 日, [[쯔위|灣]] [2015] * [[세븐틴]] - [[조슈아(세븐틴)|美]], 中 [2015] * [[우주소녀]] - 中 [2016][* 한중 합작 그룹.] * [[I.O.I]] - [[주결경|中]] [2016] * [[구구단(아이돌)|구구단]] - [[샐리(구구단)|中]] [2016] * [[BLACKPINK]] - [[리사(BLACKPINK)|泰]] [2016] * [[NCT]] - [[마크(NCT)|加]], [[쟈니(NCT)|美]], 中, [[텐(NCT)|泰]], [[유타(NCT)|日]] [2016] * [[펜타곤(아이돌)|펜타곤]] - [[옌안(펜타곤)|中]], [[유토(펜타곤)|日]] [2016] * [[드림캐쳐(아이돌)|드림캐쳐]] - [[한동|中]] [2017] * [[IN2IT]] -말레이시아 [2017] * [[H.U.B]] - [[루이(H.U.B)|日]] [2017] * [[프리스틴]] - [[주결경|中]], [[카일라|美]] [2017] * [[온앤오프]] - [[미즈구치 유토|日]] [2017] * [[Wanna One]] - [[라이관린|灣]] [2017] * [[JBJ]] - [[타카다 켄타|日]], [[김용국(가수)|中]] [2017] * [[BLK]] - [[요명명|中]], 灣 [2017] * [[샤샤(아이돌)|샤샤]] - 中, 日 [2018] * [[Stray Kids]] - [[필릭스|濠]] [2018] * [[(여자)아이들]] - [[우기((여자)아이들)|中]], [[민니|泰]], [[슈화|灣]] [2018] * [[네이처(아이돌)|네이처]] - 中, [[하루(네이처)|日]] [2018] * [[이달의 소녀]] - [[비비(이달의 소녀)|香]] [2018] * [[공원소녀]] - [[미야(공원소녀)|日]], [[소소(공원소녀)|灣]] [2018] * [[아이즈원]] - 日 [2018] * [[T.E.N]] - 中 [2018] * [[FANATICS|파나틱스]] - [[지아이(FANATICS)|灣]][* [[FANATICS-FLAVOR]]로 먼저 데뷔.] [2018], [[렌시카|日]] [2019데뷔예정] * [[체리블렛]] - 日, [[린린|灣]] [2019] * [[TXT]] -美 [2019] * [[에버글로우]] - 中 [2019데뷔예정] == 국가별 통계 == ||<-6><#E58517> '''국가별 인원 통계''' || ||
<#de2810><:> {{{#fde000 '''중국'''}}} ||<:><#ffffff> {{{#bb002d '''일본'''}}} ||<:><#3b3b6d> {{{#ffffff '''미국'''}}} ||<:><#000093> {{{#ffffff '''태국'''}}} ||<:><#ed1b24> {{{#ffffff '''대만'''}}} ||<:><#000000> {{{#ffffff '''기타'''}}} || ||<#fff><:> 39명 ||<#fff><:> 25명 ||<#fff><:> 18명 ||<#fff><:> 8명 ||<#fff><:> 7명 ||<#fff><:> 4명 || || [[홍콩]]은 중국의 [[특별행정구]]이기에 중국쪽으로 포함합니다. 데뷔를 한 그룹의 인원만 기재합니다. 인원이 추가되면 카운트 해주세요.|| == 여담 == 2000년대 후반~2010년대 초반 만해도 외국인 멤버는 거의 서구권 특히 미국인 멤버가 많았고 그마저도 교포로 이루어져 있었다 그러다 2012년 엑소의 중국진출 성공 이후로 중국진출을 위해 중국인 멤버가 급격히 많아지기 시작했다. 2017년 이후로는 남자 아이돌은 외국 국적의 멤버 비율이 줄어들고 있거나 중국 멤버의 수가 적어지고 일본인 멤버 비율이 많아 지고 있다. 중국인 멤버가 줄어드는 경향은 중국의 [[한한령]] 영향과, 예전 [[EXO]]의 [[우이판|중국인]] [[루한|멤버]][[황쯔타오|들]]의 무단 탈퇴 사건과도 무관하지가 않아 보인다. 하지만 아직 걸그룹은 대형이나 자본력이 있는 기획사 중심으로 중국인 멤버나 대만쪽 멤버들이 골고루 섞여있는 편이다. 2018년 들어서 [[트와이스]]의 일본 데뷔가 대박을 터트린 이후로는 점점 일본인 멤버 비율이 많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대만인 멤버는 트와이스 쯔위가 데뷔한 이후로 급격히 늘어났다. 출신국적이 가장 다양한 그룹은 [[NCT]]다. 다인조 그룹인만큼 한국, 일본, 중국, 태국, 미국, 캐나다 등으로 출신국가도 다양하다. [[분류:아이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