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우디네세 칼초/간략)]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aniele Padelli.png|width=100%]]}}} || ||<-2> '''{{{#fff 우디네세 칼초 No. 93}}}''' || ||<-2> '''{{{#9f804d {{{+1 다니엘레 파델리}}}[br]Daniele Padelli}}}''' || ||<|2> '''{{{#fff 출생}}}''' ||[[1985년]] [[10월 25일]] ([age(1985-10-25)]세) || ||[[이탈리아]] 레코 || || '''{{{#fff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이탈리아)] || || '''{{{#fff 신체조건}}}''' ||193cm, 82kg || || '''{{{#fff 포지션}}}''' ||[[골키퍼]] || || '''{{{#fff 유스팀}}}''' ||칼치오 레코 1912 (2001~2002) [br] 코모 1907 (2002~2004) || || '''{{{#fff 소속팀}}}''' ||[[코모 1907]] (2003~2004) [br] [[UC 삼프도리아]] (2004~2011) [br] {{{-1 → US 피찌게토네 1932 (2005~2006 / 임대)}}} [br] {{{-1 → [[FC 크로토네]] (2006~2007 / 임대)}}} [br] {{{-1 → [[리버풀 FC]] (2007 / 임대)}}} [br] {{{-1 → [[AC 피사 1909]] (2008~2009 / 임대)}}} [br] {{{-1 → [[US 아벨리노 1912]] (2008~2009 / 임대)}}} [br] {{{-1 → [[FC 바리 1908]] (2009~2011 / 임대)}}} [br] [[우디네세 칼초]] (2011~2013) [br] [[토리노 FC]] (2013~2017) [br]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2017~2021) [br] [[우디네세 칼초]] (2021~) || [목차] [clearfix] == 개요 == [[이탈리아]]의 골키퍼. == 클럽 경력 == === 커리어 초기 === 파델리는 델레비오에서 처음 축구를 배우기 시작해서, 칼치오 레코 1912와 코모 1907을 거치면서 성장했다. 2004년 코모 1907에서 1군 로스터에 이름을 올렸으나 한 경기도 뛰지 못했다. 그러나 그 포텐셜에 주목한 [[UC 삼프도리아]]가 선수를 영입한다. 삼프도리아는 막상 파델리를 영입하긴 했으나 별다른 기회를 주지 않았고, 이듬해 세리에 C1의 US 피찌게토네 1932로 임대하게 되어, 그 곳에서 프로 데뷔전을 치뤘다. 피찌게토네에서 기록은 33경기 출장 29실점. 이를 눈여겨 본 [[FC 크로토네]]가 파델리를 임대해가지만 1경기 2실점 패전이라는 참담한 기록을 남기고 주전에서 제외된다. 2007년 겨울 이적시장에 [[라파엘 베니테즈]]의 주도로 [[리버풀 FC]]로 임대가게 된다. 파델리는 2007년 5월, 리버풀에서 찰튼 애틀래틱 FC를 상대로 데뷔전을 가지게 된다. 그런데 그 경기에서 처참한 퍼포먼스 끝[* 평범한 속도의 슈팅을 제대로 잡지 않고 흘려보내 리바운딩으로 실점했다.]에 2실점을 내주고 2-2 무승부의 주범이 되었다. 이후 영입한지 1달도 채 되지 않아서 삼프도리아로 돌아오게 된다. 그런 그에게 손을 내민 팀은 AC 피사 1909. 세리에 B에 있던 피사에서 7경기를 출장하나 10실점을 내주었고, 그 다음 임대처인 US 아벨리노 1912 에서는 15경기에서 29 실점을 하며 그저 그런 기록을 남겼다. 삼프도리아는 마지막으로 FC 바리 1908 로 임대보냈으나 역시 신통치 않았다. === [[우디네세 칼초]] === 2011년에 [[우디네세 칼초]]는 삼프도리아와 공동 소유로 파델리를 영입했으나 곧 1년 후에 완전히 영입하게 된다. 우디네세에서 파델리는 제 2골키퍼로 활약하며 12경기에 출장하는 기록을 남겼다. === [[토리노 FC]] === 2013년에 파델리는 FA 계약으로 [[토리노 FC]]에 입단하게 된다. 파델리는 포지션 경쟁자인 장 프랑수아 질레를 누르고 코파 이탈리아 경기 3라운드 부터 주전으로 나서게 된다. 토리노에서 풀 시즌을 소화하면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2014년 올 시즌의 기량발전상을 수상하게 된다. 그런데 2016-17 시즌에 [[맨체스터 시티]]에서 잉글랜드 국대 골키퍼인 [[조 하트]]가 오게 되면서 파델리는 다시 자신의 포지션을 잃고 후보로 밀려나게 되었다. 그리고 시즌 종료 후 방출명단에 이름을 올리게 된다. 토리노에서 파델리는 4시즌간 116경기를 뛰면서 팀에 공헌했다. ===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 2017년 7월에 FA 계약으로 인테르의 유니폼을 입었다. 전체적으로 주전을 먹을 실력은 아니라서 서브 골키퍼의 역할을 수행할 듯. 프리시즌 [[1.FC 뉘른베르크]] 전에서 불안한 모습을 보인끝에 본인 실책으로 2실점하며 팀이 패배하게 되면서 서브 골키퍼로서의 입지도 위험한 것이 아니냐는 이야기가 있다. 이후 12월 [[코파 이탈리아]]에서 3부리그팀 포르데노네를 상대로 출전하였다. [[사미르 한다노비치]] 대신 나와 엄청난 선방쇼를 펼치며 믿음직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SNS 상에 올라온 사진들을 보면 친화력이 상당한 듯 하다. 부인도 마찬가지. 이후 코파 이탈리아 1~2라운드에만 나오는 처지를 갖다가 한다노비치의 7년 반만의 부상으로 처음으로 리그경기에 나서게 되었다. 2020년 2월에 있었던 모든 경기에 출장하였는데 중요한 경기인 [[AC 밀란]]전과 [[SS 라치오]]전에서 골키퍼로서 미흡한 모습을 보여주며 한다노비치였다면..이라는 생각을 계속 들게 만들어줬다. 냉정히 말해 세컨키퍼로 있을 이유가 없던 플레이. 그 불안한 플레이 때문인지 인테르는 새로운 백업으로 [[에밀리아노 비비아노]]를 영입한다는 이야기도 했으며, 본인의 입지가 위태로워진 것은 사실인듯. 20-21시즌 우승이 확정되어 리그 마지막 경기에서 후반 시작과 동시에 교체출전하여 1실점을 했다. === [[우디네세 칼초]] 2기 === 2021년 5월 28일, 자유계약으로 친정팀 우디네세에 입단했다. 2023년 6월 10일, 우디네세와 2025년까지 재계약을 맺었다. == 플레이 스타일 == 기량이 아주 대단한 선수는 아니다. 키가 커서 공중볼을 잘 처리한다 정도가 눈에 띄는 장점. 2005년 FIFA U-20 월드컵에도 나섰고 어릴적 재능으로 평가받았던 선수로 아주 형편없는 골키퍼는 아니지만, 그냥 중하위권 팀에서 볼 수 있는 수준의 골키퍼다. 토리노에서 보여준 모습도 나쁘지는 않았다 정도지 훌륭하다고 할 수는 없는 수준. 연령상으로도 기량상으로도 한다노비치의 후계자 개념으로 데리고 온 선수는 아니다. 이탈리안 섹터를 위해서 데리고 왔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듯. == 같이 보기 == [include(틀:우디네세 칼초)] [각주] [[분류:1985년 출생]][[분류:2003년 데뷔]][[분류:롬바르디아 주 출신 인물]][[분류:이탈리아의 축구선수]][[분류:코모 1907/은퇴, 이적]][[분류:UC 삼프도리아/은퇴, 이적]][[분류:FC 크로토네/은퇴, 이적]][[분류:리버풀 FC/은퇴, 이적]][[분류:AC 피사 1909/은퇴, 이적]][[분류:US 아벨리노 1912/은퇴, 이적]][[분류:SSC 바리/은퇴, 이적]][[분류:우디네세 칼초/은퇴, 이적]][[분류:토리노 FC/은퇴, 이적]][[분류: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은퇴, 이적]][[분류:2005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네덜란드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