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2 '''다대포항역'''}}} || ||<-3> [[부산 지하철 1호선|[[파일:Busan1.svg|width=30]]]] || || [[다대포해수욕장역|{{{#!html
다대포해수욕장 방면}}}]][[다대포해수욕장역|{{{-1 다대포해수욕장}}}]][br]← 1.5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html
1호선
(096)
}}}]] || [[노포역|{{{#!html
노포 방면}}}]][[낫개역|낫 개]][br]1.2 ㎞ → || ||<-3>{{{#!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다대포항역, 너비=100%, 높이=100%)]}}}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Dadaepo Harbor || || [[한자]] ||<-2><|2> 多大浦港 || || [[간체자]] || || [[가나(문자)|가나]] ||<-2> [ruby(多大浦港, ruby=タデポハン)] || ||<-3> '''주소''' || ||<-3>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로]] 지하548 ([[다대동]]) || ||<-3> '''관리역 및 운영사업소''' || ||<-3> [[다대포해수욕장역|다대포해수욕장관리역]] 소속 / [[제1운영사업소]] || ||<-3> '''운영 기관'''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ffffff 1호선}}}]] ||<-2> [[부산교통공사|[[파일:부산교통공사 CI.svg|width=150&theme=light]][[파일:부산교통공사 CI White.svg|width=150&theme=dark]]]] || ||<-3> '''개업일'''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ffffff 1호선}}}]] ||<-2> 2017년 4월 20일 || ||<-3> '''역사 구조''' || ||<-3> 지하 2층(심도: 20.27m) || ||<-3> '''승강장 구조''' || ||<-3>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불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096번.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로]] 지하548 ([[다대동]]) 소재, 역명은 역 근처에 있는 [[다대포항]]에서 따왔다. == 역 정보 == [[쌍용건설]], [[동부건설]]이 대안입찰을 받아 이 역을 건설하였다. [[2010년]] [[11월 7일]] 착공, [[2017년]] 4월 18일 공사가 끝났다.[* 역사내 준공표지판에 의하면 2017년 3월 17일에 완공됐다고 한다.] == 역 주변 정보 == [[다대동]] 시가지 중앙에 있다. 외지인들에게는 주로 [[다대포해수욕장]] 근처가 다대포라고 알려져 있지만 여기가 원래 처음 다대포라는 이름으로 마을과 포구가 형성된 곳. 그런 의미로 현지에서는 '다대본동'이라고도 불린다. 역 바로 근처에는 주택가와 [[다대중학교]]와 [[다대고등학교]][* 다만 다대고등학교의 경우 한참을 걸어올라가야 한다.], 부산의 주요 [[어항]] 중 하나인 [[다대포항]]이 있으며, 약간 떨어진 동쪽 언덕 위쪽에는 롯데캐슬 몰운대 아파트 등 대규모 아파트단지가 있다. 역 북쪽에는 윤공단이 있는데 [[임진왜란]] 중 [[다대포 전투]]에서 순국한 첨사 [[윤흥신]]을 기리는 곳이다. 다대포진성도 정확한 위치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이 역 근처 (구)다대초등학교 자리로 추정되고 있다. == 일평균 이용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부산 도시철도 1호선|[[파일:Busan1.svg|width=25]]]] || {{{#ffffff '''비고'''}}} || || 2017년 || 7,249명 || [* 개통일인 4월 20일부터 12월 31일까지 256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 2018년 || 7,313명 || || || 2019년 || '''7,605명''' || || || 2020년 || 5,996명 || || || 2021년 || 6,221명 || || || 2022년 || 6,847명 || || ||<-3> {{{#ffffff '''출처'''}}} || ||<-3> [[https://www.humetro.busan.kr/homepage/default/board/list.do?conf_no=81&board_no=&category_cd=&menu_no=1001040201|부산교통공사 자료실]] || }}} 2020년 기준 일평균 이용객 수는 5,996명으로 1호선 평균의 30%밖에 되지 않는 수준이다. 역세권 범위가 바다로 인해 좁을 뿐만 아니라 대부분이 저밀도 주거지역이라 수요가 저조한 편이다. == 승강장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dadaepoharbor.jpg|width=100%]]}}}|| || '''{{{#FFF [[부산 도시철도 1호선|{{{#FFF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승강장}}}'''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다대포항역 안내도.jpg|width=100%]]}}}|| || '''{{{#FFF 역 안내도}}}''' || ||<-4> [[다대포해수욕장역|다대포해수욕장]] ↑ || || {{{#ffffff 하}}} || ㅣ || ㅣ || {{{#ffffff 상}}} || ||<-4> ↓ [[낫개역|낫개]] || || {{{#ffffff 상}}} ||<|2> [[파일:Busan1.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다대포해수욕장역|다대포해수욕장]] 방면|| || {{{#ffffff 하}}} ||[[부산역(도시철도)|부산역]]·[[서면역|서면]]·[[동래역(도시철도)|동래]]·[[노포역|노포]] 방면|| 다대 구간의 곡선 승강장인 3개의 역 중 하나이다.[* 네이버 지도상으로는 직선이지만 실제로는 다대포해수욕장역 방향 도로를 따라 휘어져 있다.] == 요금 == ||<-6> 1구간 요금으로 갈 수 있는 범위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ffffff 1}}}]] || [[다대포해수욕장역|다대포해수욕장]] || ◁ || {{{#c0c0c0 다대포항}}} || ▷ || [[괴정역|괴 정]] || == 연계 교통 == === 다대로 가변 정류장 === * 다대포항역(정류장 번호: 10-183) * [[부산 버스 2]] - 다대포행 * [[부산 버스 3]] - 다대포행 * [[부산 버스 11]] - 다대포행 * [[부산 버스 96]] - 다대포행 * [[부산 버스 96-1]] - 다대포행 * [[부산 버스 338]] - 다대포행 * [[부산 버스 1000]][*심야 심야포함] - 다대포행 * 다대포항역(정류장 번호: 10-184) * [[부산 버스 3]] - 신호주거단지행 * [[부산 버스 1000]][*심야] - 서면행 === 다대동로 가변 정류장 === * 다대포항역·다대수협(정류장 번호: 10-185) * [[부산 버스 2]] - [[부산역]]행 * [[부산 버스 11]] - 영도영선동행 * [[부산 버스 96]] - 송도행 * [[부산 버스 96-1]] - 서구청행 * [[부산 버스 338]] - 모라주공행 === 마을버스 === * [[부산 버스 사하15]] == 사건사고 == 2023년 5월 10일 낮 12시 4분경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있던 승객 4명이 중경상을 입는 사고가 발생했다. 한 승객이 길을 터주려다 중심을 잃어 넘어지는 바람에 앞뒤에 있던 다른 승객 3명과 함께 굴러 떨어진 것. 이로 인해 1명이 [[머리|두부]][[출혈]]로 사고 당시 기억을 못하는 등 중상을 입었고 나머지 3명은 [[팔]][[다리]] [[통증]] 등 가벼운 부상을 입었다. [[https://v.daum.net/v/20230510184017274|#1]] [[https://v.daum.net/v/20230510215654332|#2]] [[https://youtube.com/shorts/5GFII1vYdlg|영상]] 현행 승강기 안전관리법상 에스컬레이터에서는 '''뒷사람에게 길을 터줄 의무가 없다.''' == 기타 == 1, 3, 4번 출입구는 모두 기존 건물을 모두 철거하고 그 부지에 출입구를 만들었다. 1번 출구가 위치한 곳은 [[다대로]] 550에 위치했던 노후건물을 통째로(!) 헐고 그 부지에 다대포항역 출입구 공사를 했다.[* 건물 철거와 부지 매입 비용을 부산교통공사가 제공하고 부산광역시 측에서도 일부 제공하였다.] 인도가 협소하여 인도변에 출구를 설치할 공간이 나오지 않았기 때문이다. 지하 공사가 마무리 되어 5층 건물로 신축하여 2017년 4월 20일 개통과 함께 건물이 완공되었다. 참고로 건물 내부에 대합실로 향하는 엘리베이터와 1번 출구가 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부산 도시철도 1호선의 역 목록)] [[분류:2017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부산광역시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부산 도시철도 1호선의 역]][[분류:사하구]][[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