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다르빗슈 유/선수 경력)] ||<-5>
'''{{{#FFFFFF [[다르빗슈 유|{{{#FFFFFF 다르빗슈 유}}}]]의 연도별 시즌 일람}}}''' || || [[다르빗슈 유/선수 경력/2019년|2019년]] || ← || '''{{{#002D72 2020년}}}''' || → || [[다르빗슈 유/선수 경력#s-8.1|2021년]] || [목차] == 개요 == [[다르빗슈 유]]의 2020 시즌을 정리한 문서. == 시즌 전 == == 페넌트레이스 == === 7월 === ==== 7월 25일: [[밀워키 브루어스|MIL]]전 ([[리글리 필드|홈]]) [패배] ==== ||
'''{{{#FFFFFF 승/패}}}''' || '''{{{#FFFFFF 이닝}}}''' || '''{{{#FFFFFF 탈삼진}}}'''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사사구}}}''' || '''{{{#FFFFFF 실점}}}''' || '''{{{#FFFFFF 자책점}}}''' || '''{{{#FFFFFF 하이라이트}}}''' || || || || || || || || || || || 7월 25일 [[밀워키 브루어스]]를 상대로 4이닝 6피안타 3실점 5탈삼진을 기록하며 패전투수가 되었다. ==== 7월 31일: [[피츠버그 파이어리츠|PIT]]전 ([[리글리 필드|홈]]) [승리] ==== ||
'''{{{#FFFFFF 승/패}}}''' || '''{{{#FFFFFF 이닝}}}''' || '''{{{#FFFFFF 탈삼진}}}'''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사사구}}}''' || '''{{{#FFFFFF 실점}}}''' || '''{{{#FFFFFF 자책점}}}''' || '''{{{#FFFFFF 하이라이트}}}''' || || || || || || || || || || || 7월 31일 [[리글리 필드]]에서 열린 [[피츠버그 파이어리츠]]전에 선발 등판해 6이닝 2피안타 1BB/7K 무실점 호투로 시즌 첫 승을 올렸다.[[http://mksports.co.kr/view/2020/787625/|관련기사]]현지 언론들도 지난해의 부진을 씻어내는 완벽투였다고 칭찬할 정도. === 8월 === ==== 8월 5일: [[캔자스시티 로얄스|KC]]전 ([[카우프만 스타디움|원정]]) [승리] ==== ||
'''{{{#FFFFFF 승/패}}}''' || '''{{{#FFFFFF 이닝}}}''' || '''{{{#FFFFFF 탈삼진}}}'''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사사구}}}''' || '''{{{#FFFFFF 실점}}}''' || '''{{{#FFFFFF 자책점}}}''' || '''{{{#FFFFFF 하이라이트}}}''' || || || || || || || || || || || 8월 5일 [[캔자스시티 로얄스]]를 상대로 7이닝 5피안타 1실점 4K를 기록하며 시즌 2승을 챙걌다.[[https://n.news.naver.com/sports/wbaseball/article/139/0002136880|'최고 157km/h' 컵스 다르빗슈, QS 달성하며 시즌 2승 달성···ERA 2.12]] ==== 8월 13일: [[밀워키 브루어스|MIL]]전 ([[리글리 필드|홈]]) [승리] ==== ||
'''{{{#FFFFFF 승/패}}}''' || '''{{{#FFFFFF 이닝}}}''' || '''{{{#FFFFFF 탈삼진}}}'''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사사구}}}''' || '''{{{#FFFFFF 실점}}}''' || '''{{{#FFFFFF 자책점}}}''' || '''{{{#FFFFFF 하이라이트}}}''' || || || || || || || || || || || 8월 13일 [[리글리 필드]]에서 [[밀워키 브루어스]]를 상대로 등판하여 7회초 1아웃까지 노히트행진을 이어가다 [[저스틴 스모크]]에게 솔로홈런을 맞으면서 아쉽게 무산됐다. 이후 추가실점 없이 7회를 마치면서 7이닝 1피안타 1실점 11탈삼진 2볼넷을 기록하고 승리투수가 되었다. ==== 8월 18일: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STL]]전 ([[리글리 필드|홈]]) [승리] ==== ||
'''{{{#FFFFFF 승/패}}}''' || '''{{{#FFFFFF 이닝}}}''' || '''{{{#FFFFFF 탈삼진}}}'''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사사구}}}''' || '''{{{#FFFFFF 실점}}}''' || '''{{{#FFFFFF 자책점}}}''' || '''{{{#FFFFFF 하이라이트}}}''' || || || || || || || || || || || 8월 18일 [[리글리 필드]]에서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를 상대로 선발등판이 확정되었다. 상대선발은 [[대니얼 폰세 데 레온]]. 그 경기에서 6이닝 8피안타 1실점 1BB/7K 98구를 기록하며 시즌 4승째를 따냈고, 평균자책점은 1.80으로 내려갔다. ==== 8월 23일: [[시카고 화이트삭스|CHW]]전 ([[리글리 필드|홈]]) [승리] ==== ||
'''{{{#FFFFFF 승/패}}}''' || '''{{{#FFFFFF 이닝}}}''' || '''{{{#FFFFFF 탈삼진}}}'''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사사구}}}''' || '''{{{#FFFFFF 실점}}}''' || '''{{{#FFFFFF 자책점}}}''' || '''{{{#FFFFFF 하이라이트}}}''' || || || || || || || || || || || 8월 23일 [[리글리 필드]]에서 [[시카고 화이트삭스]]를 상대로 선발등판이 확정되었다. 상대 선발은 [[딜런 시즈]]. 1회초부터 병살 상황에서 1루심의 명백한 [[오심]]으로 인해 아까운 [[비디오 판독]]을 1회 날려먹었다. 2회초에는 4번타자 [[호세 아브레유]]에게4연타석 좌월 솔로홈런을 허용하였다. 하지만 그것 외에는 완벽했고, 7이닝 10K 1실점으로 시즌 5승째를 따냈으며 평균자책점 또한 1.70으로 내려갔다.[[https://n.news.naver.com/sports/wbaseball/article/425/0000109912|화이트삭스 아브레우 4연타석 홈런 괴력...컵스 다르빗슈는 7이닝 1실점 호투 시즌 5승]] 8월 27일 미국 매체가 선정한 전반기 올스타로 선정되었다. ==== 8월 29일: [[신시내티 레즈|CIN]]전 ([[그레이트 아메리칸 볼파크|원정]]) [승리] ==== ||
'''{{{#FFFFFF 승/패}}}''' || '''{{{#FFFFFF 이닝}}}''' || '''{{{#FFFFFF 탈삼진}}}'''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사사구}}}''' || '''{{{#FFFFFF 실점}}}''' || '''{{{#FFFFFF 자책점}}}''' || '''{{{#FFFFFF 하이라이트}}}''' || || || || || || || || || || || 8월 29일 [[그레이트 아메리칸 볼파크]]에서 [[신시내티 레즈]]를 상대로 더블헤더 1차전에서의 선발등판이 확정되었다. 상대선발은 [[트레버 바우어]]. 현역 [[일본인 메이저리거]]인 [[아키야마 쇼고]]가 이 팀에 소속되어 있어 일본국적 선수들의 맞대결이 기대되는 경기이다. [[아키야마 쇼고]]와의 첫 대결에서는 공을 단 1개만 던지고 포수의 타격방해로 인해 1루로 내보내게 되었다. [[아키야마 쇼고]]와의 두 번째 대결해서는 투수땅볼을 글러브에 제대로 담지 못하고 공을 흘려 1루로 출루를 허용하게 되었다. 기록은 다르빗슈의 [[실책(야구)|실책]]으로 기록되었다. 세 번째 대결에서는 [[아키야마 쇼고]]한테 좌전안타를 허용하게 된다. 그러나 그 후 나온 내야땅볼이 1-4-1병살타로 처리되면서 별 무리없이 6이닝을 무실점으로 막아내게 되었다. 이 경기 종료 후 시즌 6승째를 챙기게 되었고 평균자책점 또한 1.47로 내려가게 되었다. 아키야마와의 첫 대결은 3타수 2실책 1피안타로 판정패가 되었다.[[http://osen.mt.co.kr/article/G1111424667|'사이영상급 페이스' 다르빗슈, CIN전 6이닝 무실점 8K 6승째]],[[https://n.news.naver.com/sports/wbaseball/article/108/0002890396|모두 웃은 日투타 맞대결, 다르빗슈 6승+아키야마 5G 만에 안타]] 이러한 활약 덕분에 8월달에 '''이달의 투수'''와 이달의 팀으로 선정되었다. === 9월 === ==== 9월 4일: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STL]]전 ([[리글리 필드|홈]]) [승리] ==== ||
'''{{{#FFFFFF 승/패}}}''' || '''{{{#FFFFFF 이닝}}}''' || '''{{{#FFFFFF 탈삼진}}}'''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사사구}}}''' || '''{{{#FFFFFF 실점}}}''' || '''{{{#FFFFFF 자책점}}}''' || '''{{{#FFFFFF 하이라이트}}}''' || || || || || || || || || || || 9월 4일 [[리글리 필드]]에서 진행된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와의 경기에서 선발등판하여 7이닝 1실점 1피안타 11K 무사사구를 기록하며 시즌 7승째를 챙기게 되었다.[[https://www.yna.co.kr/view/AKR20200905034600007?input=1195m|다르빗슈, 7이닝 1실점 호투로 7승째…사이영상 향해 성큼]] ==== 9월 9일: [[신시내티 레즈|CIN]]전 ([[리글리 필드|홈]]) [패배] ==== ||
'''{{{#FFFFFF 승/패}}}''' || '''{{{#FFFFFF 이닝}}}''' || '''{{{#FFFFFF 탈삼진}}}'''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사사구}}}''' || '''{{{#FFFFFF 실점}}}''' || '''{{{#FFFFFF 자책점}}}''' || '''{{{#FFFFFF 하이라이트}}}''' || || || || || || || || || || || 9월 9일 [[리글리 필드]]에서 진행된 [[신시내티 레즈]]와의. 경기에서 선발등판하여 6이닝 동안 98구를 던지며 3실점 9K 2피안타를 기록하며 패전투수가 되었다. 그 경기 후 평균자책점은 1.77로 소폭 상승하였으며 같은 [[일본인 메이저리거]]인 [[아키야마 쇼고]]와의 대결은 첫 타석은 내야안타를 허용했고 두번째 타석은 1루 땅볼 아웃으로 잡아내어 판정 무승부를 기록하게 되었다.[[https://n.news.naver.com/sports/wbaseball/article/529/0000046657|'1회 3실점' 다르빗슈, 꿋꿋이 QS 달성…시즌 8승은 무산]] ==== 9월 15일: [[클리블랜드 가디언스|CLE]]전 ([[리글리 필드|홈]]) [승리] ==== ||
'''{{{#FFFFFF 승/패}}}''' || '''{{{#FFFFFF 이닝}}}''' || '''{{{#FFFFFF 탈삼진}}}'''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사사구}}}''' || '''{{{#FFFFFF 실점}}}''' || '''{{{#FFFFFF 자책점}}}''' || '''{{{#FFFFFF 하이라이트}}}''' || || || || || || || || || || || 9월 15일 [[리글리 필드]]에서 진행된 [[클리블랜드 인디언스]]와의 경기에서 선발등판하여 7이닝 9피안타 1사사구 3실점 7K을 기록하였고 시즌 평균자책점은 2.00까지 상승하게 되었다. [[https://newsis.com/view/?id=NISX20200916_0001168191&cID=10522&pID=10500|다르빗슈, 7이닝 3실점 '8승 좌절'…ERA 2.00(종합)]] 9월 17일에는 15일날 경기에서의 자책점이 3점에서 2점으로 정정되어 평균자책점이 1.86으로 내려가게 되었다.[[https://n.news.naver.com/sports/wbaseball/article/109/0004274917|류현진 이어 다르빗슈도 ERA 정정…2.00→1.86 '사이영상 경쟁 호재']] ==== 9월 20일: [[미네소타 트윈스|MIN]]전 ([[리글리 필드|홈]]) [패배] ==== ||
'''{{{#FFFFFF 승/패}}}''' || '''{{{#FFFFFF 이닝}}}''' || '''{{{#FFFFFF 탈삼진}}}'''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사사구}}}''' || '''{{{#FFFFFF 실점}}}''' || '''{{{#FFFFFF 자책점}}}''' || '''{{{#FFFFFF 하이라이트}}}''' || || || || || || || || || || || 9월 20일 [[리글리 필드]]에서[[미네소타 트윈스]]를 상대로 선발등판이 확정되었다.그 경기에서 6이닝 4실점 9피안타 1BB/9K로 패배했다. [[https://www.sportalkorea.com/news/view.php?gisa_uniq=2020092110084386§ion_code=8211&cp=se&sp=B|#]] 이 경기로 인해 동양인 최초 사이 영 상 수상에 제동이 걸렸다. 왜냐하면 경쟁자들인 [[트레버 바우어]]와 [[제이콥 디그롬]]이 시즌 막판에 페이스를 끌어올렸고, 특히 다승의 가치가 점점 떨어지는 추세에 다승을 제외한 대부분의 타이틀을 바우어와 디그롬에게 빼앗겨버렸고, 그렇다고 다르빗슈의 세이버스탯이 다른 후보들과 비교해봤을때 눈에 띄는 우위를 보이지 않고 있기 때문에 '''사이 영 상 수상은 힘들어졌다.''' ==== 9월 25일: [[시카고 화이트삭스|CHW]]전 ([[개런티드 레이트 필드|원정]]) [승리] ==== ||
'''{{{#FFFFFF 승/패}}}''' || '''{{{#FFFFFF 이닝}}}''' || '''{{{#FFFFFF 탈삼진}}}'''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사사구}}}''' || '''{{{#FFFFFF 실점}}}''' || '''{{{#FFFFFF 자책점}}}''' || '''{{{#FFFFFF 하이라이트}}}''' || || || || || || || || || || || 9월 25일 [[개런티드 레이트 필드]]에서 [[시카고 화이트삭스]]를 상대로 선발등판이 확정되었다. 그 경기에서 7이닝 동안 93구를 던지며 무실점 1볼넷 5탈삼진 3피안타를 기록하였고 상대팀이 거하게 털려준 덕분에 시즌 8승 수확 또한 성공하게 되었다.[[https://n.news.naver.com/sports/wbaseball/article/109/0004280184|‘7이닝 무실점’ 다르빗슈, ERA 1점대 재진입 실패…ERA 2.01 마감]] == 포스트시즌 == === [[2020 내셔널 리그 와일드카드 시리즈|NLWC]] === ==== 10월 2일: [[마이애미 말린스|MIA]]전 ([[리글리 필드|홈]]) [패배] ==== ||
'''{{{#FFFFFF 승/패}}}''' || '''{{{#FFFFFF 이닝}}}''' || '''{{{#FFFFFF 탈삼진}}}'''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사사구}}}''' || '''{{{#FFFFFF 실점}}}''' || '''{{{#FFFFFF 자책점}}}''' || '''{{{#FFFFFF 하이라이트}}}''' || || || || || || || || || || || 10월 2일 [[마이애미 말린스]]와의 와일드카드 시리즈 2차전에 나와서 6⅔이닝 6탈삼진 5피안타 2볼넷 2실점으로 잘던졌으나 타선이 빈타에 허덕이며 패전 투수가 됐고, 팀도 시리즈 전적 2패로 탈락하며 시즌을 마쳤다. == 총평 == 현재 사이영 상 경쟁자인 바우어 대비 다승, 이닝에서 우위에 있어 사이 영 상 수상 가능성이 아직 남아있다. 특히 다승에서 바우어보다 3승을 더 많이 챙긴 데다 단축 시즌이었기 때문에 그 차이는 더 크다. 그러나 최근 사이 영 상 수상 기준에서 다승을 크게 인정하지 않고 있으며, 대신 소화 이닝과 평균자책점, 탈삼진 등 팀의 도움이 아닌 투수 본연의 능력이 주 기준인데 다르빗슈가 3이닝 더 많으나 대신 1경기를 더 투구한 탓에 냉정히 보면 우위가 되기 힘들고 1점대 ERA와 100K를 기록한 바우어가 더 우위에 있을 수밖에 없다. 그리고 어느 정도 비빌 수 있을 거라는 팬들의 예상과 달리 사이 영 상 투표 결과에서 1위표를 3장밖에 받지 못하면서 [[트레버 바우어]]에게 큰 차이로 사이 영 상을 넘겨줬다. 그래도 아시아 출신 최고 점수(123점),[* 2019년 류현진이 NL 88점이었다.] 1위표 최다 획득이라는 기록을 세우면서 선방했다고 볼 수 있다. 다르빗슈는 디그롬보다 높아서 기쁘다는 소감을 전했다. == 시즌 후 == == 관련 문서 == * [[시카고 컵스/2020년]]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다르빗슈 유/선수 경력, version=192, paragraph=7.3)] [[분류:다르빗슈 유]][[분류:야구선수/커리어]][[분류:시카고 컵스/202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