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ff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50px-TourellePlong%C3%A9e.jpg|width=100%]]}}} || ||<#ffffff> {{{#000000 현대의 잠수종[* 사진의 잠수종은 폐쇄식이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fff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7DdJc_P_PPk)]}}} || ||<#ffffff> {{{#000000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촬영한 폐쇄식 다이빙 벨의 잠수 영상}}} || {{{+1 Diving Bell / [[潛]][[水]][[鐘]]}}} [[잠수부]] 및 물자를 [[수면]]에서 [[해저|바다 밑]]으로 수직 이동시키는 [[잠수]] 기구. 일종의 수중용 [[엘리베이터]]라 할 수 있다. == 종류 및 원리 == 밀폐되어 해치를 닫으면 외부와 차단되어 압력 변화가 없는 폐쇄식과, 윗부분에만 반구가 달려서 둥근 지붕만 있는 형태[* 컵 모양을 생각하면 편하다.]의 개방식의 두 종류가 있다. 개방식 다이빙 벨은 습식 다이빙 벨(웻 벨, Wet Bell / 오픈 벨, Open Bell), 폐쇄식은 건식 다이빙 벨(드라이 벨, Dry Bell, 클로즈드 벨, Closed Bell)[* 해군에서는 PTC,Personnel Transfer Capsule (다이버 이송 장치)이라고 하기도 한다.]이라고 한다. [* 폐쇄식 다이빙 벨의 가장 큰 특징은 외부의 수심이 변화해도 내부 압력의 변화가 없다는 것이다.] 개방식 다이빙 벨이 습식 다이빙 벨인 것은 잠수사의 하반신 정도는 물에 잠기고 상반신 정도만 [[에어 포켓|공기가 있는 공간]]에 있게 되기 때문이다. 원리 자체는 이미 [[알렉산더 대왕]]이 다이빙 벨을 이용해 바닷속을 산책했다는 야사가 있을 정도로 오래된 물건이다. [[에어 포켓|바가지를 엎으면 안에 공기가 남아있는 것]]과 동일한 원리다. == 운용 행태 == [[선박]]에 매달아서 윈치에 연결해 잠수사를 태운 채 올렸다 내렸다 하며 운용한다.[* LARS, Launch And Recovery System, 진수 및 회수 시스템] 잠수사들이 스스로 수면에서 해저까지 오고 가고 하면 체력도 많이 소모되고 바다 환경의 영향도 많이 받는다. [* 수면에서 선박의 갑판까지의 높이도 상당하다.][* 벨 엄빌리컬 (Bell Umbilical)이 다이빙 벨과 연결되어 있고, 다이버 엄빌리컬 (Diver Umbilical)은 다이빙 벨에서 시작한다.]반면 잠수사들이 다이빙 벨을 타고 가면 좀 더 편히 상승, 하잠 및 수중 감압을 할 수 있고, 바다 환경의 영향도 덜 받고, 무의식 상태의 잠수사도 보다 쉽게 구조할 수 있다. 다이빙 벨에 통신선을 가설하여 통신 이나 [[CCTV]] 촬영 등의 통신 기능을 이용할 수도 있다. [* 유사품으로 Diving Basket (Diving Cage, Diving Stage)이 있다.] 다이빙 벨은 사람이나 물자의 이동에 쓰일 뿐만 아니라 바다 속에 고정시켜서 일종의 베이스캠프처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럴 경우 잠수사들이 수면 밖까지 나오지 않고 휴식과 장비 교체, 재정비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론 이러한 경우에도 산소 문제 때문에 머물 수 있는 시간에는 제한이 있다. ||<#fff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1UGJ_8WudY)]}}} || ||<#ffffff> {{{#000000 TUP(Transfer Under Pressure) 다이빙 애니메이션}}} [* Bell Bounce Diving (벨 바운스 다이빙)]|| 본격적으로 사용될 때는 폐쇄식 다이빙 벨이 표면 위의 [[감압 챔버]] [* Deck Decompression Chamber, DDC][* 일반적인 산업 현장이나 병원 [[고압산소치료]]센터의 감압 챔버보다 훨씬 큰 챔버를 사용한다.]와 도킹되어 사용된다. 잠수사가 밀폐된 폐쇄식 다이빙 벨에 들어간 후 다이빙 벨의 해치를 닫고 수면으로 끌어올려 압력 변화 없이 (대기압에 노출되지 않고) 표면 위의 감압 챔버에서 표면 감압할 수 있고 감압 챔버에 격실이 나누어져 있다면 다이버를 로테이션[* TUP, Transfer Under Pressure / Bell Bounce]을 하기에 편리하고 안전하다. 이는 주로 포화잠수[* Saturation Diving]에서 사용된다. 즉 시간을 요하는, 극한 상황에서 장시간 작업이 해야하는 특수한 상황에서 대단히 유용한 장비다. 다이빙 벨은 와이어로프[* 와이어로프는 제작 시 꼬아서 만든 구조가 원래대로 돌아가려는 성질로 인해 회전력이 발생한다. 그 회전력에 저항하기 위해 내부와 외부의 방향이 다른 비자전 와이어로프 (Non Rotating Wire Rope) 만을 사용하여야 한다.]에 매달아서 수중으로 진수하는 것이기에 파도와 조류가 강하면 휩쓸리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때문에 다이빙 벨 하단에 몇 톤씩하는 무거운 추[* Clump Weight, Guide Weight]를 달아 조류에 휩쓸리지 않게 하나, 다이빙 벨 밖으로 나온 [[다이버]]의 위험이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 이때 다이빙 벨과 웨이트 추의 윈치는 각각 따로 분리되어 있다. 다이빙 벨 본체를 이동시키는 와이어로프 또는 윈치가 고장이 났다면 그냥 웨이트 추를 이동시키는 윈치를 끌어 올리면 다이빙 벨도 같이 끌어 올려지게된다.] 유사품으로 하단이 [[잠수함]] 등에 도킹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http://en.wikipedia.org/wiki/McCann_Rescue_Chamber|맥캔 구명 체임버]]가 있다. 주로 침몰된 잠수함의 인명구조용으로 사용된다. [* DSRV, Deep Submergence Rescue Vehicle - 심해 잠수 구조정, 심해 구조 잠수정] == 매체 == 일반인은 기껏해야 해양 관련 학습만화나 잠수함의 역사를 다룬 서적 등에서 다이빙 벨에 관해 들어보는 게 고작이고, 평생 가도 들어볼까말까한 물건.[* 그나마 2006년 한국에서도 개봉한 [[잠수종과 나비]](The Diving Bell And The Butterfly)라는 영화 때문에 들어본 사람도 있을 것이다. 참고로 영화의 원작이 1997년 한국에 출판했을 때 '잠수복과 나비'라고 제목을 오역했다.] [[매드 갓]]에서 어쌔신이 다이빙 벨을 타고 지옥으로 내려온다. ||<#fff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guides.gamepressure.com/156017426.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4.bp.blogspot.com/assassins-creed-4-AC4BFSCSP12UnderwaterDivingBellJPG.jpg|width=100%]]}}} || [[어쌔신 크리드 4]]에도 초기 형태의 다이빙 벨이 등장한다. [[영국군]]에 의해 봉쇄된 [[나소]]에서 전염병이 퍼지자 [[에드워드 티치|검은수염]]과 함께 약을 찾으려 스페인 선박이 침몰 한 곳으로 가기로 하면서 미션상 구입을 해야 한다. 구입한 후 미션을 수행하면 이때부터 곳곳에 퍼져있는 난파선들을 살필 수 있게 된다. ||<#fff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CQ6ADnxStI)]}}} || 영화 [[워터월드]]에서도 [[케빈 코스트너]]가 히로인에게 해저를 구경시켜주기 위해 간이 다이빙 벨을 쓰는 장면이 나온다. [[미래소년 코난]]에서도 다이빙 벨은 아니지만 이 원리를 이용해 궤도차를 뒤집어 쓰고 해저를 건너는 장면이 나온다. ||<#fff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XRDa24HmRU)]}}} || [[캐리비안의 해적: 블랙 펄의 저주]]에서도 [[잭 스패로우]]와 [[윌 터너]]가 쪽배를 뒤집어쓴채 바닷속을 지나는 장면이 등장한다. [[데이브 더 다이버]]에서 귀환을 타는 포트에 다이빙벨이 등장한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다이빙 벨, version=10)] [[분류:잠수함]][[분류: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