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드래곤족]][[분류:유희왕/OCG/일반 몬스터]]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최상급 일반 몬스터 카드. == 설명 == === 원작 === || 한글판 명칭 ||<-4>'''다이아몬드 드래곤'''|| || 일어판 명칭 ||<-4>'''ダイヤモンド・ドラゴン'''|| || 영어판 명칭 ||<-4>'''Hyozanryu'''||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7 || 빛 || 드래곤족 || 2100 || 2800 || [[파일:e535adb9.jpg]] >"호오…. 다이아몬드 드래곤…. '''겨우 이딴 카드로 날뛰긴….'''" >'''(난 36장이나 갖고 있는 카드다….)''' >---- >[[카이바 세토]] 원작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배틀 시티 본선 편|배틀 시티 편]]에서 [[나구모 코우지]]의 레어 카드로 등장. [[앤티]] 룰로 이 카드에 맞먹는 레어 카드 아니면 '''10만엔'''을 내놓으라며 상대방을 폭력으로 협박하다가 카이바와 마주치는데, 카이바는 레어 카드라길래 뭔가 했더니 자신은 36장이나 가지고 있는 카드라며 속으로 비웃고는 '''찢어버린다.''' 그 대신 덱을 보강하라며 듀랄루민 케이스에 들어있던 레어 카드들을 넘겨주었다. 나구모는 당연히 신이 나서 온갖 레어카드들을 잔뜩 넣지만, 이후 듀얼 과정이 나오지도 않은 채 카이바의 [[오벨리스크의 거신병]]에 의해 순식간에 발렸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60화에서도 해당 장면은 등장하지만 나구모가 앤티 룰로 걸었던 카드가 무엇인지 정확하게 나오지는 않으며, 카이바가 다이아몬드 드래곤을 찢는 장면도 나오지 않는다. 대신 카이바가 나구모에게 덱을 보강하라고 제공한 레어 카드 중에 이 카드가 포함되어 있었다. 그 후 카이바가 [[어둠의 유우기]]와 처음으로 태그를 맺어 구울즈를 관광 태울때 [[드래곤의 제왕]]과 드래곤을 부르는 피리의 콤보로 푸른 눈과 함께 소환되고 이후 [[오벨리스크의 거신병]]의 효과 발동을 위한 제물이 된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에서는 [[미사와 다이치]]가 [[유우키 쥬다이]]와의 듀얼 중 사용하는 것으로 처음 등장. [[카보네돈]]이라는 전용 소환 카드를 사용해 특수 소환했다. 이 때 나온 공격명은 '다이아몬드 브레스(ダイヤモンド・ブレス)'. 그 후 쥬다이를 어느 정도 위협하다 [[거룡의 도약]]의 효과로 패에 되돌아가며 쥬다이의 마법 / 함정을 파괴했다. 그 후 [[만죠메 쥰]]과 만죠메 그룹의 회장인 맏형 [[만죠메 쵸사쿠]]의 [[듀얼 아카데미아]]를 건 듀얼에서 [[용마인 킹드라군]]의 효과로 특수 소환된 몬스터 중 하나로 등장하기도 했다. 패러렐 레어 사양이라선지 다른 때와는 달리 온몸에서 광채가 나는 것이 특징.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파일:Hyozanryu-DM3-JP-VG.png]] ||<#F8F8A0> {{{#000 한글판 명칭}}} ||<-4>'''다이아몬드 드래곤''' (비공식 번역명)|| ||<#F8F8A0> {{{#000 일어판 명칭}}} ||<-4>'''ダイヤモンド・ドラゴン'''|| ||<#F8F8A0> {{{#000 영어판 명칭}}} ||<-4>'''Hyozanryu'''|| ||<#F8F8A0><-5> {{{#000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소환마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7[*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에서는 9.] || 흙마족 || 드래곤족 || 2100 || 2800 || ||<-5>다이아몬드로 되어있어 수비력이 매우 높은 드래곤. {{{-2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I 삼성전신강림|DM3]],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DM4]])}}}|| ||<-5>전신이 다이아몬드로 덮여있는 드래곤. 눈부신 빛으로 적의 눈을 멀게 만든다. {{{-2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7 결투도시전설|DM7]],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8 파멸의 대사신|DM8]])}}}||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I 삼성전신강림]]에서부터 등장. 통상 소환 외에도 암석족과 드래곤족을 융합하여 소환할 수 있지만, 융합 소재 양쪽이 공격력 2000 미만이면 [[스톤 드래곤]]이 되어버리고, 1장이라도 공격력 2100 이상이면 융합 소환이 실패해버린다. 즉, 적어도 융합 소재 한 쪽이 딱 공격력 2000이어야 불러낼 수 있는 매우 레어한 몬스터다. 물론 융합 소재와 공격력의 차이가 겨우 100 뿐인데, 덤으로 융합 소환한 몬스터는 그 턴에 공격도 수비 표시 변경도 못 하니 실용성은 극히 낮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파일:ダイヤモンド・ドラゴ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명칭=다이아몬드 드래곤, 일어판명칭=ダイヤモンド・ドラゴン, 영어판명칭=Hyozanryu, 속성=빛, 레벨=7, 공격력=2100, 수비력=2800, 종족=드래곤족, 효과외1=전신이 다이아몬드로 되어있는 드래곤. 눈부신 빛으로 적의 눈을 멀게 만든다.)] >'''"너무 눈부셔서 정신줄 놓지나 마셔! 다이아몬드 드래곤!"''' >---- >[[모크바(유희왕 듀얼링크스)|모크바]], [[유희왕 듀얼링크스]] 전용 대사 초기 카드라 별로 능력치가 좋지 못하고 효과가 있는 것도 아니다. 그래도 수비력은 꽤 높은 편이지만 수비용으로 쓸 [[일반 몬스터]]라면 릴리스 1장으로 낼 수 있고 [[리크루트]]도 가능한 [[네오 물의 조종자]]나 [[천년 방패]], [[미궁출현-래버린스 월-]] 등의 수비력이 3000인지라 이 카드가 나설 자리가 없다. 심지어는 제물 2개 먹고 빛 속성 드래곤족인 것까지 똑같으면서 이 카드보다 공격력과 수비력이 모두 높은 [[라비 드래곤]]도 있다. 이 카드가 존재의의를 찾으려면 레벨 7 빛 속성 드래곤족 일반 몬스터라는, 정말 이 카드가 가진 모든 것을 다 쥐어짜낼 수 있는 덱이 아니면 안 된다. 그나마도 [[홀리 나이트 드래곤]]이 공격력이 더 높지만, 이쪽은 방어력이 더 높고, 무엇보다 구하기가 훨씬 더 쉽다는 점에서 위안을 찾자. 일단 [[칠성의 보도]], [[정룡]] 등과 상성이 좋고 [[성각]]에서 랭크 7 [[엑시즈 소환]]에 쓸 수는 있다. 다만 성각에서 레벨 7은 궁합이 안 맞아서 잘 안 쓰인다는 게 문제. 카드의 성능은 시궁창이지만 [[보석]]을 모티브로 한 드래곤들의 시조라는 점은 가치가 있다. 이 카드 이후로 바람 속성 일반 몬스터들인 [[사파이어 드래곤|에머랄드 드래곤과 사파이어 드래곤]], 하급 일반 몬스터 중 최강인 [[알렉산드라이트 드래곤]], 고레벨 [[싱크로 소환/튜너|튜너]]인 [[래브라도라이드래곤]] 등 다른 보석 드래곤들이 줄줄이 등장해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한 편 미사와가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하는 데에 사용했던 서포트 카드인 [[카보네돈]]은 당시에는 오랫동안 OCG화 되지 못한 상태였는데, 먼 훗날 [[Dragons of Legend]]에서 범용성이 넓어진 드래곤족 일반 몬스터 소환 카드로 재탄생했으며, 이 카드도 소환 범위 안에 들어가지만, 이 카드를 아무리 쉽게 특수 소환해봤자 이 카드 자체의 능력이 딸려서 활약은 힘들 듯 하다. 한편 영어 이름인 Hyozanryu는 빙산룡(氷山龍)의 일본어 발음을 그대로 적어 놓은 것이다. 초기 카드에서 흔히 보이는 '일본어로 영어 이름 짓기' 현상 중 하나. 그것도 문제지만 이래서는 [[다이아몬드]] 드래곤이 아니다. 게다가 그런데도 [[플레이버 텍스트]]에는 여전히 다이아몬드로 되어 있다고 쓰여 있다. ||<-5>수록 시리즈 || ||<(> 2000-07-1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PS-24 | '''Pharaoh's Servant - ファラオのしもべ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UR)] || ||<(> 2002-06-2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L1-059 | DUELIST LEGACY Volume 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4-06-2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BE1-JP041 | [[비기너즈 팩|BEGINNER'S EDITION 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2-04-2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KC01-JP005 | 25th ANNIVERSARY ULTIMATE KAIBA SET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02-09-16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MRL-075 | '''[[마법의 지배자|SPELL RULER]]'''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04-03-0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KE-011 | [[스타터 덱|STARTER DECK KAIBA Evolutio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4-10-12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B1-EN041 | [[비기너즈 팩|DARK BEGINNING 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8-07-0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RP01-EN065 | RETRO PA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8-11-2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LG1-EN066 | DARK LEGEND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1-04-16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GFTP-EN071 | GHOSTS FROM THE PAST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22-10-10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GX2-ENC02 | SPEED DUEL GX: MIDTERM PARADOX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4-05-07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RL-K075 | '''[[마법의 지배자]]'''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05-04-12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KE-KR011 | [[스타터 덱|스타터 덱 - 카이바 편 - 에볼루션]]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6-04-11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BP1-KR041 | [[비기너즈 팩|비기너즈 팩 Vol.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유희왕 러시 듀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다이아몬드 드래곤(유희왕 러시 듀얼))] == 관련 카드 == === [[카보네돈]]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에서 다이아몬드 드래곤의 서포트 카드로 등장한 몬스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