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다크 나이트 트릴로지]][[분류:영화 평가]]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다크 나이트(영화))] [목차] == 평점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the-dark-knight, critic=84, user=8.9)]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the_dark_knight, tomato=94, popcorn=94)] [include(틀:평가/IMDb, code=tt0468569, user=9.0, list=IMDb Top 250, rank=3)]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the-dark-knight, user=4.4, list=Letterboxd Top 250, rank=26)]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115362, presse=4.0, spectateurs=4.5)]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111543, user=8.5)]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329605, user=4.4)]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51378, user=9.0)]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1851857, user=9.2)] [include(틀:평가/왓챠, code=mJOVXR5, user=4.4)]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2050, light=97.95, star=4.6)]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62586, expert=8.70, audience=9.65, user=9.34)]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43569, user=9.0)] [include(틀:평가/CGV, code=79772, egg=99)] == 평가 == [[슈퍼히어로 영화]], [[범죄물]], [[스릴러]] 장르에 [[블록버스터]]를 성공적으로 결합한 걸작 영화로 평가 받는다. 개봉 후 15년이 넘게 지났음에도 여전히 슈퍼히어로 실사 영화 가운데 손에 꼽히는 걸작으로 꼽히고 있으며, 이후 다른 신작 블록버스터 영화들은 다크 나이트와 비교를 피할 수 없게 되었다. 본편 시사회를 열자마자 미국의 종합 비평 사이트 [[로튼 토마토]]에서 '''신선도 100%를 달성'''하는 등 극찬받았다. [[http://www.rottentomatoes.com/m/the_dark_knight/?search=the%20dark%20knight|이후 대강의 신선도 정리가 된 후에도]] 94%로 최상위에 랭크되어 있다. 개봉 초창기 [[IMDb]] 순위에서는 9.6점을 받으며 <[[대부(영화)|대부]]>와 <[[쇼생크 탈출]]>을 제치고 1위를 달성하기도 했다. 10년 가까이 지난 현재는 이보다는 밀려난 9.0점인데, 그래도 역대 3위, 21세기 개봉작 중에서는 1위로 최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52297|언론]]에서는 2008년 최고의 영화라는 찬사를 보냈다. [[영국]] 영화잡지인 《엠파이어》 지에서 '역대 최고의 영화 500'을 선정했을 때, 같은 해에 개봉했으면서도 15위에 랭크되는 기염을 토하기도 했다. 영화인들 내에서도 고평가를 받았다. <[[배트맨(1989년 영화)|배트맨]]>의 감독인 [[팀 버튼]]은 <다크 나이트>를 보고 "자신의 배트맨은 크리스토퍼 놀란의 다크 나이트와 비교하면 그렇게 어둡지 않다."고 말했다. [[http://dvdprime.donga.com/bbs/view.asp?major=MD&minor=D1&master_id=22&bbsfword_id=&master_sel=&fword_sel=&SortMethod=&SearchCondition=&SearchConditionTxt=&bbslist_id=2115199&page=1|팀 버튼, 크리스토퍼 놀란의 다크 나이트를 말하다.]] <데이 윌 비 블러드>, <마스터>의 [[폴 토머스 앤더슨]] 감독도 <다크 나이트>의 팬이며 자신도 <다크 나이트> 같은 영화를 찍고 싶다고 말했다. [[http://dvdprime.donga.com/bbs/view.asp?major=MD&minor=D1&master_id=22&bbsfword_id=&master_sel=&fword_sel=&SortMethod=&SearchCondition=&SearchConditionTxt=&bbslist_id=2214364&page=1|폴 토머스 앤더슨 "다크 나이트 팬이다."]] <[[007 스카이폴]]>의 [[샘 멘데스]] 감독도 자신의 007이 <다크 나이트>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고 언급하였다. [[http://dvdprime.donga.com/bbs/view.asp?major=MD&minor=D1&master_id=22&bbsfword_id=&master_sel=&fword_sel=&SortMethod=&SearchCondition=&SearchConditionTxt=&bbslist_id=2208592&page=1|스카이폴, '다크 나이트'에 영향 받다.]] 거장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이 재미있게 본 몇 안 되는 히어로 영화 중 하나이다. 그리고 다크 나이트가 아카데미 작품상 후보에 올라왔어야 한다는 발언을 했다.[[https://www.indiewire.com/2023/01/steven-spielberg-dark-knight-deserved-oscar-best-picture-nomination-1234803475/|#]] 영화평론가 [[이동진]]은 2014년 11월 03일 [[더 굿 무비]] 방송에서 '''작품성, 오락성, 연기력 세 부문에 100점'''을 매겼으며, 나머지 스토리 부문도 90점을 주었다. 그동안 더 굿 무비에서 매겨진 평점으로는 가장 높은 점수이며, 세 부문에서 100점을 얻은 작품은 다크 나이트가 유일하다.[[http://mlbpark.donga.com/mbs/articleV.php?mbsC=bullpen2&mbsIdx=1413745&cpage=1&mbsW=&select=&opt=&keyword=|다시보기]] 여기까지는 공식 석상에서 언급된 정보이고, 이외에도 개봉 당시의 동료 영화인들의 언사, 이후 블록버스터 영화들에 끼친 영향은 상당하다. 감독 자신이 영향을 받았다고 말하지 않아도, <[[혹성탈출 : 진화의 시작]]>은 씨네21의 김종철 평론가가 "원숭이의 <다크 나이트> 버전"이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내적으로도 [[배트맨(다크 나이트 트릴로지)|브루스 웨인]]이 시련을 이겨내고 진정한 '[[배트맨|어둠의 기사]]'로 거듭나는 이야기를 설득력 있게 풀어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조커(다크 나이트 트릴로지)|악역]]에 대한 찬사도 빠지지 않는데, 기존 코믹스의 유쾌하고 화려한 스타일의 조커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음울한 사이코패스 테러리스트로 탈바꿈한 시도는 결과적으로 매우 성공적이었다. 이 조커의 이미지가 너무나 강렬해 한동안은 이 조커에서 영향을 받은듯한 악역 캐릭터가 나오기도 했었다. 예를 들어 노골적으로 조커를 어설프게 베꼈다는 악평을 받는 [[배트맨 대 슈퍼맨: 저스티스의 시작]]의 [[렉스 루터(DC 확장 유니버스)|렉스 루터]]가 있고, 비슷한 느낌이 있는 [[007 스카이폴]]의 [[라울 실바]] 등이 있다. 또, 다크 나이트는 단순히 권선징악, 화려한 CG와 디자인, 미국 코믹스 풍의 과장된 연기 등 기존 슈퍼 히어로 장르 영화의 스타일의 틀을 깨는 구성을 보여주었다. 진중한 주제 의식, 굉장히 현실적인 연출, 정극 스타일에 가까운 연기 톤 등 오히려 스릴러 장르에 가까운 스타일을 택했는데 이 또한 탁월한 선택이었다. 다크 나이트 이후 한동안 슈퍼히어로 영화의 패러다임이 유쾌한 오락성 영화에서 영웅, 초인의 정체성과 정의의 기준을 논하는 진지한 스타일로 바뀌기도 했다. === 기타 === [[이동진]]의 2시간 35분 [[무비딥]] 오디오평론[[https://youtu.be/0Oc0Cx-AyK4|유튜브]]. 참고로 [[아카데미상]]에 대한 비판이 거세지게 만든 작품이기도 하다. 2009년 아카데미에서 총8개의 부문에 노미네이트되었는데 그중 7개가 기술상이었고, 그마저도 '''2개'''만 수상하는데 그치면서[* [[히스 레저]]의 사망이 아니었다면 남우조연상도 노미네이트만 되고 수상은 못했을 수도 있다는 의심도 당시에는 존재했다. 물론 단순히 팬들의 [[음모론]]일 수도 있지만 당시에는 지금보다 충분히 의심해볼만 하다.] 아카데미의 보수성에 대한 비판이 또다시 불거졌다. 오스카가 [[애니메이션]], [[사이언스 픽션|SF]], [[슈퍼히어로]], [[그래픽 노블|만화 원작]], [[블록버스터]] 등을 싸구려 오락영화로 푸대접했던게 하루이틀이 아니라서 놀라울 것도 없지만, 다크 나이트는 대중들에게도 대성공을 거두면서 이 논란이 더욱 불거진 것이다. 결국 바로 다음해부터 최우수작품상 후보를 '''5개에서 10개로''' 늘리는 촌극이 벌어졌다. 그 이전에도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도 ([[일본 애니메이션]]이라는 이유인지는 모르나) 작품상 후보에 못 들어갔던게 논란이 되었고 비슷한 일은 이전에도 많았지만 대부분 [[찻잔 속의 태풍]]이었다. 하지만 다크 나이트는 월드와이드 10억불을 팔아치운 대작인 만큼 대중들의 관심이 더욱 높았던 모양이다. 물론 이후로도 딱히 달라진 것은 없다. 이후에도 [[인크레더블 2]]와 [[로건(영화)|로건]] 등이 아카데미에서 받았던 상대적인 푸대접은 마찬가지[* 인크레더블 2는 당시 최고로 잘 나가던 MCU 이상의 작품이라는 평론가/영화 전문가들의 고평가가 쏟아졌으나 '최우수 애니메이션상' 후보에만 올랐고, 로건은 '각색상' 후보에만 올랐다.]였고 즉, 아카데미가 영화 자체의 작품성으로 상을 주는게 아니라, '''장르에 따라서 영화를 차별한다'''는 주장이 약간의 설득력을 얻었다는 것이다. [[블랙 팬서(영화)|블랙팬서]]나 [[조커(2019)|조커]]는 작품의 특성상 논외로 치는 경우가 많은 것을 생각하면[* 블랙팬서는 흑인의 이야기를 다루었다는 점과 사회현상 이상의 실적을 이룬 상업적 성과가 있지만, 작품적인 완성도에 흠결이 있다는 지적이 있다. 조커는 애초에 슈퍼히어로 영화나 코믹스 원작 영화의 색채는 상당히 옅고 정통 스릴러 장르에 가까워서 연관성이 없다.] 여전히 다크나이트 때의 논란이 10년 넘게 현역이다.[* 아카데미상을 수상한 슈퍼히어로 코믹스 원작영화(미국)는 [[슈퍼맨(영화)|슈퍼맨]], [[배트맨 1989]], [[스파이더맨 2]], [[다크 나이트(영화)|다크 나이트]], [[수어사이드 스쿼드(영화)|수어사이드 스쿼드]], [[스파이더맨 뉴 유니버스]], [[블랙 팬서(영화)|블랙 팬서]], [[조커(2019)|조커]]뿐이다. 물론 평가는 개인의 몫. 코믹스 원작은 아니지만 [[인크레더블]]과 [[빅 히어로]]도 받긴 받았다.] == 수상 및 기록 == [include(틀:미국 의회도서관 선정 영구 보존 영화, 연도=2020)] [include(틀:BBC 선정 100대 미국 영화)] [include(틀:BBC 선정 100대 21세기 영화)] ------ * '''슈퍼 히어로 영화 사상 최초의 [[10억 달러 돌파 영화]]''' * '''역대 [[DC 코믹스]] 기반 영화 흥행수입 4위.'''[* 1위는 [[아쿠아맨(영화)|아쿠아맨]], 2위는 [[다크 나이트 라이즈]], 3위는 [[조커(2019)|조커]].] * '''역대 월드와이드 박스오피스 36위''' * '''역대 북미 박스오피스 10위''' * '''제 81회 [[아카데미 시상식]] [[히스 레저|남우조연상]], 음향편집상 수상 / 8개 부문[* '''남우조연상''', 미술상, 촬영상, 편집상, 분장상, 음향효과상, '''음향편집상(리처드 킹)''', 시각효과상. 볼드체는 수상.] 후보.''' * '''제 66회 [[골든 글로브]] [[히스 레저|남우조연상]] 수상''' * '''제 62회 [[영국 아카데미|BAFTA]] [[히스 레저|남우조연상]] 수상''' * '''2008 Hollywood Film Awards 수상''' * '''2009 AFI 어워드 Movie of the Year''' * '''2009 [[그래미 어워드]] [[한스 짐머|Best Score Soundtrack]] [[제임스 뉴튼 하워드|Album for Motion Picture]]''' * '''2009 MTV Movie Awards [[조커(다크 나이트 트릴로지)|최고의 빌런상]]''' * '''2008 골든 토마토 어워즈 베스트 액션 영화상 수상''' * '''[[BBC]] 선정 [[http://www.bbc.com/culture/story/20150720-the-100-greatest-american-films|미국의 위대한 영화 100선]] 중 96위, [[http://www.bbc.com/culture/story/20160819-the-21st-centurys-100-greatest-films|21세기의 위대한 영화 100선]] 중 33위.''' * '''2020년 [[미국 의회도서관]] [[National Film Registry|국립 영화 등록부]]에 영구 등재되었다.''' 슈퍼히어로 영화로서는 1978년 영화 [[슈퍼맨(영화)|슈퍼맨]]에 이은 2번째 사례다. 그 이외 수상 및 노미네이트 내역 [[https://www.imdb.com/title/tt0468569/awards?ref_=tt_awd|#]] == 평론가 평 == >'''신이시여 진정 놀란이 이 영화를...''' >---- >주성철 (★★★★★) >'''[[내러티브]]와 스타일을 완벽히 장악한 자의 눈부신 활공.''' >---- >[[이동진]] (★★★★★)[* 현재까지 이동진에게 [[이동진/별 다섯 개 영화 목록|별 5개를 받은]] [[슈퍼히어로 영화]]는 다크 나이트가 유일하다.[* 아쉽게 별 4개 반을 받은 슈퍼히어로 영화는 [[스파이더맨 2]], [[엑스맨 2]], [[엑스맨: 데이즈 오브 퓨처 패스트]] 이렇게 3개이다.] 2008년 당시 [[https://blog.naver.com/nonestyx/10033513213|리뷰의 전문]]을 보면 [[본 얼티메이텀]]을 함께 언급하며 [[블록버스터(영화)|블록버스터]]라는 장르적 틀 안에서 담아낼 수 있는 이야기와 스타일의 폭을 넓히는데 성공한 혁신적인 영화라고 극찬했다. 이후 2017년 [[무비딥]] 채널에서도 전체 슈퍼히어로 영화 중 최고의 작품을 뽑으라면 단 1초의 망설임도 없이 다크 나이트를 선택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2021년 파이아키아 채널에선 놀란의 최고작으로 뽑기도 하였다.] >'''흠 잡을데 없음.''' >---- >강유정 (★★★★★)[* 무비부비에서는 "상업영화는 이렇게 만들어야 한다"며 만점을 주기도 했다.] >'''시리즈의 결정판이나 동전 던지기는 진부해.''' >---- >[[박평식]] (★★★☆)[* 박평식의 기준에서 7점은 높은 점수에 해당하지만, 영화의 중요 장치 중 하나인 동전 던지기를 아무런 근거없이 '진부하다'라고 평가한 것 때문에 상당한 비판을 받았다.][*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의 동전 던지기를 의식한 평가 같다. 안톤 쉬거와 투 페이스의 동전 던지기는 그 맥락이 놀랍도록 일치하기 때문.] >'''여전히 제가 가장 좋아하는 배트맨 영화는 《[[배트맨 2]]》입니다. 이건 앞으로도 쉽게 바뀌지는 않을 거예요. 하지만 영화의 무게와 예술적 성취도를 놓고 생각해보면 《다크 나이트》를 지금까지 나온 가장 훌륭한 배트맨 영화로 놓을 수밖에 없군요. 영화에 대한 애정과는 상관없이 그렇다는 것입니다. 이 영화는 존중받을 자격이 있어요.''' >---- >[[듀나]] '''평점 4/4''' >"Batman" isn't a comic book anymore. Christopher Nolan's "The Dark Knight" is a haunted film that leaps beyond its origins and becomes an engrossing tragedy. >'''[[배트맨]]은 더 이상 만화가 아니다. 크리스토퍼 놀란의 《다크 나이트》는 [[배트맨|원조]]를 아득히 뛰어넘어 매혹적인 비극이 된, 관객들을 사로잡는 영화다.''' >---- >[[로저 이버트]]('''평점 4/4''')[* 2013년 사망 전까지 그가 슈퍼히어로 영화 장르에서 만점을 준 작품은 《[[다크 나이트]]》, 《[[슈퍼맨(영화)|슈퍼맨]]》, 《[[슈퍼맨 2]]》, 《[[스파이더맨 2]]》, 《[[배트맨 비긴즈]]》를 제외하면 전무하다.][[https://www.washingtonpost.com/news/comic-riffs/wp/2018/07/18/the-dark-knight-changed-how-we-see-comic-book-movies-but-10-years-ago-some-critics-couldnt-see-its-greatness/|워싱턴포스트]], 2018.7.19 >'''슈퍼히어로 영화계의 [[대부(영화)|대부]].''' >---- >[[조스 웨던]], [[https://www.huffpost.com/entry/joss-whedon-superhero-genre_n_5498875?utm_hp_ref=tw|허핑턴포스트]], 2014.6.16 >'''나는 [[리처드 도너]]의 슈퍼맨, [[크리스토퍼 놀란]]의 다크 나이트, 그리고 [[아이언맨(영화)|첫 아이언맨 영화]]를 좋아한다.''' >---- >[[스티븐 스필버그]][* 스필버그는 이밖에도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를 좋아한다고 밝힌 바 있다.], [[https://omelete.uol.com.br/filmes/noticia/festival-de-cannes-guardioes-da-galaxia-e-o-meu-filme-de-super-heroi-favorito-diz-steven-spielberg/|Cannes Film Festival에서 Omelete와의 인터뷰]], 2018.6.29 >Dark, complex, and unforgettable, The Dark Knight succeeds not just as an entertaining comic book film, but as a richly thrilling crime saga. >'''어둡고 복잡하면서도 잊을 수 없다. 다크 나이트는 단순히 재미있는 만화 원작 영화로서가 아니라, 스릴 넘치는 범죄 서사극으로서도 성공을 거둔다.''' >---- >[[로튼토마토]] 총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