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기계족]][[분류:유희왕/OCG/싱크로 소환]] [[유희왕]]의 최상급 싱크로 몬스터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리액터(유희왕))] [목차] == 설명 == === 원작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DarkFlattop-OW.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다크싱크로=, 효과=, 배경색=#594F4F, 한글판명칭=다크 플랫 톱, 일어판명칭=ダーク・フラット・トップ, 영어판명칭=Dark Flattop, 속성=어둠, 레벨=-8, 공격력=0, 수비력=3000, 종족=기계족, 소재=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 다크 튜너, 효과외1=이 카드를 특수 소환하기 위해서는\, 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DT(다크 튜너)"라는 이름이 붙은 튜너의 레벨을\, 그 이외의 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몬스터 1장의 레벨에서 빼서\, 그 숫자가 이 카드의 레벨과 같아야 한다., 효과2=1턴에 1번\, 자신의 묘지에서 "자이언트 폭탄 에어레이드" 1장을 소환 조건을 무시하고 특수 소환할 수 있다.)] ||<-5>'''"암흑의 세계에서 들려오는 통곡이여, 사신의 갑주를 둘러싸, 모습을 드러내라! 다크 싱크로!!! 나타나라! 다크 플랫 톱!!!(暗闇の底より聞こえし慟哭よ、死神の鎧をまとい、姿を現すがいい! ダークシンクロ!!! 現れろ、ダーク・フラット・トップ!!!)"'''|| [[유희왕 5D's]] [[유희왕 5D's/다크 시그너 편|다크 시그너 편]]에서 [[다크 시그너]] [[보머(유희왕)|보머]]가 [[크로우 호건]]과의 듀얼 중 사용한 다크 싱크로 몬스터. 묘지에서 특수 소환한 [[다크 싱크로 소환#DT 데스 서브마린|DT 데스 서브마린]][* 이때 [[크로우 호건]]은 레벨 9 몬스터를 코스트 없이 소환한 것에 "[[니코니코 유희왕 사전|사기 효과 좀 작작 쓰라고!]]"라고 말한다. [[잭 아틀라스|네가 할 말이냐!]]]에 [[다크 씨 레스큐]]를 다크 튜닝해서 소환했다. 묘지에서 [[자이언트 폭탄 에어레이드]]를 소생시켜 [[크로우 호건]]의 [[BF-아머드 윙]]을 파괴하고 [[BF-질풍의 게일]]을 벌집으로 만들었으나 그 다음 턴에 [[BF(유희왕)#BF-백 플래시|BF-백 플래시]]에 의해 자이언트 폭탄 에어레이드와 함께 털렸다. 하지만 그 직후 보머는 [[보머(유희왕)#더럽혀진 대지|더럽혀진 대지]]를 발동해 [[지박신#지박신 Chacu Challhua|지박신 Chacu Challhua]]를 특수 소환한다. === [[유희왕 태그 포스]] === || 한글판 명칭 ||<-4>'''다크 플랫 톱'''|| || 일어판 명칭 ||<-4>'''ダーク・フラット・トップ'''|| || 영어판 명칭 ||<-4>'''Dark Flattop'''|| ||<-5> [[싱크로 소환|싱크로]]/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8 || 어둠 || 기계족 || 0 || 3000 || ||<-5>[[싱크로 소환/튜너|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 [[다크 튜너]] 이 카드는 싱크로 소재로 할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의 레벨에서 "DT(다크 튜너)"의 레벨을 빼서, 그 수치가 -8과 같을 경우에만 싱크로 소환할 수 있다.[* 태그 포스판은 원작과 달리 마이너스 레벨이 아닌 플러스 레벨이기 때문에, 이런 표현이 되었다. 별이 파란색인 건 원작과 마찬가지.] 1턴에 1번, 자신의 묘지에 존재하는 레벨 8의 기계족 몬스터 1장을 소환 조건을 무시하고 특수 소환할 수 있다.|| ||<-5>'''"암흑의 세계에서 들려오는 통곡이여, 사신의 갑주를 둘러싸, 모습을 드러내라! 다크 싱크로!!! 나타나라! 다크 플랫 톱!!!(暗闇の底より聞こえし慟哭よ、死神の鎧をまとい、姿を現すがいい! ダークシンクロ!!! 現れろ、ダーク・フラット・トップ!!!)"'''|| 소생 대상이 [[자이언트 폭탄 에어레이드]]가 아닌 레벨 8의 기계족이 되어 강화되었다. 또한 일러스트가 원작과는 다르다. OCG는 이 태그 포스의 일러스트를 적용한 것이다. 참고로 파란색 별이긴 해도 원작과 달리 룰상 플러스 레벨이기 때문에, '''다크 플랫 톱 자신도 다른 다크 플랫 톱으로 소생시킬 수 있다.''' 이것과 사출계 카드를 이용한 원턴킬도 존재했으나 지금 사출계 카드는 거의 다 1턴에 1번으로 에라타되거나 금지되었기 때문에 의미없는 이야기다. 우선 묘지에서 DT 데스 서브마린을 특수 소환하고, 지옥의 폭주소환을 발동해 DT 데스 서브마린을 3장으로 만든다. 다음, 그 3장 중의 하나의 레벨을 1 내리고 레벨 스틸러를 소환하고, 안 내린 쪽 DT 데스 서브마린(레벨 9)와 다크 튜닝해서 이 카드 1장을 뽑는다. 그 뒤, 아까 내렸던 DT 데스 서브마린의 레벨을 한 번 더 내리고, 다시 레벨 스틸러를 뽑고, 다시 이 카드를 1장 더 뽑는다. 그리고 다크 플랫 톱 1장을 사출 → 남아있는 다크 플랫 톱으로 묘지로 간 다크 플랫 톱 소생 → 효과 쓴 다크 플랫 톱을 다시 사출 → 살아난 다크 플랫 톱은 아직 효과를 안 썼으니 다시 묘지에서 소생 → ... === [[유희왕/OCG|OCG]]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13809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싱크로=, 효과=, 한글판명칭=다크 플랫 톱, 일어판명칭=ダーク・フラット・トップ, 영어판명칭=Dark Flattop, 속성=어둠, 종족=기계족, 레벨=8, 공격력=0, 수비력=3000, 소재=어둠 속성 튜너 + 튜너 이외의 기계족 몬스터 1장 이상, 효과1=1턴에 1번\, 자신의 묘지에 존재하는 "리액터"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또는 "자이언트 폭탄 에어레이드" 1장을 소환 조건을 무시하고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이 카드가 파괴되어 묘지에 보내졌을 경우\, 패에서 레벨 5 이하의 기계족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원래는 다크 싱크로 몬스터였으나, 갑자기 싱크로 몬스터가 되어 [[듀얼 디스크]] 2010에 동봉카드로 등장. [[리액터(유희왕)|리액터]]를 카드군으로 만든 카드다. 싱크로 소환 패턴은 여러가지를 생각해 볼 수 있겠지만, 가장 무난한 건 역시 [[BF-질풍의 게일]] 등 레벨 3 어둠 속성 튜너 + [[사이버 드래곤]], [[블랙 봄버]]+서몬 리액터 AI, 또는 트랩 리액터 RR+[[기황제]], [[원샷 부스터]]같은 레벨 1 기계족, [[정크 싱크론]]+[[튜닝 서포터]]+[[지옥의 폭주 소환]] or [[기계 복제술]]. 공격력 0이라서 [[리미트 리버스]], [[데미지 게이트]]등의 카드로 부활도 가능. 또한 그와 반대로 수비력이 [[천년(유희왕)|천년 방패]]급이라 최상급조차 전부 막아낼 수 있다. 하지만 '''[[에너미 컨트롤러|← →AB]]'''나 [[자동기계장군 00 무령]]같은 표시 형식 변경 카드가 뜨면 눈물난다. 또한 [[머시너즈의 최전선]]과는 최악의 상성. 1턴에 1번 묘지의 리액터 몬스터 또는 [[자이언트 폭탄 에어레이드]]를 소환 조건을 무시하고 소생시킬 수 있는 꽤 괜찮은 소생 효과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소환 조건을 씹는다고 해도 필드에 정규 소환하지 않은 상태에서 패 / 덱에서 묘지로 보내져 [[소생 제한 룰|소생 제한]]이 걸린 상태에서는 소생이 불가능하다. 즉, [[어리석은 매장]], [[스크랩 리사이클러]], [[트레이드 인]]으로 묘지로 보낸 뒤 소생시키는 건 불가능하고, 그 악명 높은 정규 소환 조건을 다 채워 필드에 소환한 뒤 묘지로 간 상태야만 소생이 가능하다는 것. 그래선지 리액터도 소생시킬 수 있는 효과와 파괴당했을 때 패에서 리액터들이 전부 범위에 들어가는 레벨 5 이하의 기계족을 특수 소환하는 효과가 추가되었다. 그래도 서몬 리액터 AI의 특수 소환 효과는 묘지까지 영향을 주는지라 상기한 카드들로 묘지로 미리 보내면 패 사고를 줄이게 되니 나쁘지 않다. 하지만 역으로 조건만 만족되면 매턴 [[자이언트 폭탄 에어레이드]]를 우려먹을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리액터 시리즈도 소생 가능하기 때문에 필드를 잘만 관리해주면 [[http://blog.naver.com/paeeri/60066057873|이 매드무비]]처럼 자이언트 폭탄 에어레이드 '''2장을 띄우는 묘기도 가능.''' --문제는 요즘 유저들은 그런 귀찮은 걸 웬만해서는 기피한다는 것.-- 그리고 세월이 흘러, 새로운 리액터 몬스터인 [[앤틱 기어 리액터 드래곤]]을 부활시키는 용도로 쓸 수 있다. 앤틱 기어 덱은 기계족으로 카드군이라 서포트는 공유하지만, 속성이 맞지 않으며, 앤틱 기어에 튜너가 들어가지 않고, 앤틱 기어 리액터 드래곤을 부활시킬 수단은 많기 때문에 쓸 이유는 없다. 애초에 현 환경에서는 엔틱 기어 덱에서조차 리액터 드래곤이 점점 빠지는 추세라 처음에 반짝 뜨고 이후엔 다시 잊혀졌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듀얼 디스크|デュエルディスク]] 遊星 Ver.DX 2010 || DDY3-JP003 || [[울트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어드밴스드 토너먼트 팩 2013 Vol.4 || AT04-JP001 || [[패러렐 레어]] || 일본 || || || [[오더 오브 카오스|Order of Chaos]] || ORCS-EN096 ||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듀얼 디스크]] 유성 Ver.DX 2010 || DDY3-KR003 || [[울트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어드밴스드 이벤트 팩]] 2014 Vol.1 || AE03-KR022 || [[노멀]] || 한국 || || == 관련 카드 == === [[자이언트 폭탄 에어레이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