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datehayato.jpg|align=right&width=350]] [목차] [clearfix] == 개요 == {{{+1 [ruby(伊達, ruby=だて)][ruby(勇, ruby=はや)][ruby(登, ruby=と)]}}} [[스튜디오 피에로]] 소속 일본의 [[애니메이션 감독]]. 1962년 5월 22일 생. ([age(1962-05-22)]세) 대표작으로는 [[나루토(애니메이션)|나루토 애니메이션 시리즈]]([[나루토 질풍전|질풍전]] 포함)와 [[최유기|환상마전 최유기]]가 있다. 감독 데뷔는 전뇌전대 부기스 엔젤(1998). 나루토의 경우 '''1화(2002)부터 699화(2016)까지''' 14년간 감독을 담당하였다. 중간에 그만둔 게 아니고 699화가 실질적인 마지막화다. [* 700화부터는 외전이다. 나루토가 해외에도 먹히는 국민 애니다보니 끝내고싶어도 끝낼 수가 없어 원작 분량이 끝난 뒤로도 계속 나왔다.] 그러니까 1화부터 끝까지 책임진 것이 된다. 상단 사진은 [[우즈마키 나루토]] 역 [[타케우치 준코]] 성우와 함께 찍은 사진. 사실상 감독 커리어 절반 이상을 나루토와 함께 보낸 셈. 700화~의 나루토 외전부터는 다른 감독들이 담당하였다. [[https://twitter.com/pikachu5551|트위터]]에서는 나루토 제작 비화도 상당수 트윗하였으므로 관심이 있는 팬은 확인해보자. [[나루토(애니메이션)/여담]] 문서 참고. 나루토를 해서 액션 전문 감독이라는 인상이 있지만 다테 하야토의 주특기 분야는 코미디와 드라마 연출이다. 본인도 나루토를 액션 애니로 할 생각이 없었다고 한다. 자신이 생각하는 나루토는 대하 드라마라고 한다. [[https://www.anime-recorder.com/interview/261220/|#]] 하지만 액션 에피소드가 인기를 끌면서 질풍전부터 액션 애니메이션으로 노선 변경을 하게 되었다. 액션이 메인인 에피소드는 자신이 안 하고 액션 콘티 전문 연출가에게 대부분 맡겼다. 대신 성우 연기 지도에 주력했다고 한다. 정말 굉장하다고 생각되면 작품의 분위기와 달라도 콘티나 작화를 전혀 수정하지 않는다고 한다. 예로 나루토 때는 [[미즈노 카즈노리]], [[츠루 토시유키]], [[야마시타 신고]], [[사토 신지]] 담당 에피소드는 전혀 수정하지 않아 다른 에피소드와 다소 분위기가 달라진다. 중요한 액션 에피소드는 작화 매수도 무제한으로 퍼줬다고 한다. 이렇게 타인에게 맡긴 것이 많다고는 해도 600화가 넘는 애니메이션의 현장 관리를 꾸준히 해냈고 연출가와 애니메이터를 발굴해 적절한 에피소드에 배치했다는 점에서 많은 업계인들이 대단한 감독이라고 인정하는 인물이다. 같이 일하는 애니메이터로는 [[츠루 토시유키]], [[스즈키 히로후미]]가 있으며, 연출가로는 [[사토 신지]], [[쿠죠 리온]]이 있다. 2022년 신작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 작품 == === 감독 === ==== TV 애니메이션 ==== * [[천재 바카본|레레레의 천재 바카본]](1999) * [[환상마전 최유기]](2000) * [[바람의 요짐보]](2001) * [[도쿄 언더그라운드]](2002) * [[나루토(애니메이션)|나루토]](2002~2007) * [[나루토 질풍전]](2007~2016) * [[편의점 남자친구]](2017) * [[군청의 마그멜]](2019) ==== OVA ==== * 전뇌전대 부기스 엔젤(1998) * 도흉십장전(1999) ==== 극장판 애니메이션 ==== * [[환상마전 최유기|환상마전 최유기 Requiem ~선택받지 못한 자의 진혼가~]](2001) * 극장판 나루토 나뭇잎마을의 대운동회(2004)[* 1기 대활극! 설희인법첩의 앞부분에 수록.] * 나루토 [[로드 투 닌자]](2012) === 참여작 === * [[소녀혁명 우테나]](22화, 27화, 35화 연출) * 나루토 극장판 [[대활극! 설희인법첩]](감수, 2004) * [[카와고에 보이즈 싱]](콘티, 연출, 2023) [[분류:일본의 애니메이션 감독]][[분류:1962년 출생]][[분류:인물 템플릿 미반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