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바람돌이 소닉/등장인물]][[분류:유튜브/밈]][[분류:인터넷 밈/영미권]][[분류:인터넷 밈/캐릭터]][[분류:닥터 에그맨]]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RobotnikPointAtHimself.jpg|height=320]] [목차] [youtube(qxeSNmd55Yc)] == 개요 == [[바람돌이 소닉(애니메이션)|바람돌이 소닉]]에 등장하는 메인 빌런,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의 [[닥터 에그맨]]에 대응하는 캐릭터다. 본명은 '''이보 로보트닉(Ivo Robotnik)'''[* 발음 상으로는 아이보 로보트닉에 가깝다.] 성질이 매우 괴팍하며 난폭하다. 닥터 에그맨과는 달리 삼각형 얼굴이며 엄청난 다크서클이다 못해 [[역안]] 같은 눈을 하고있다. [[스크래치(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스크래치]], [[그라운더]], [[코코넛(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코코넛]], 그 이외에도 많은 로봇들을 부하로 두고있다. == 작중 행적 == 호시탐탐 모비우스를 정복할 생각과 항상 [[소닉 더 헤지혹(바람돌이 소닉)|소닉 더 헤지혹]]을 잡을 궁리만 하고 있으며 부하인 [[스크래치(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스크래치]]와 [[그라운더]]에게 소닉을 잡아오라고 시키지만 소닉이 워낙 지략캐라서 매번 수포로 돌아가며 [[권선징악|본인 또한 매화마다]] [[자업자득|험한꼴을 당한다.]] 따라서 [[소닉 더 헤지혹(바람돌이 소닉)|소닉 더 헤지혹]]과는 오랜 숙적이다. 부하들에게는 절대로 자비가 없으며 틈만나면 구타에 폭행에 잔소리는 기본이다. 그러나 부하들을 아예 신경쓰지 않는 것은 아니며 그라운더가 화상을 입었을때 본인이 직접 고치기도 했다. 다만 부하들에게 동료애는 딱히 없는 것으로 보인다. 소닉을 잡는 일은 주로 스크래치와 그라운더에게 시키나 스크래치와 그라운더가 실패하면 본인이 직접 나서기도 하는 능동적인 악당이다. 이 작품 한정으로 [[마마 로보트닉|어머니]]가 살아있는데, 로보트닉이 쩔쩔맬 정도로 괴팍하고 악당이다. 첫 등장때부터 로보트닉의 집 앞에서 보초를 서고있던 코코넛을 손쉽게 깔아뭉갠건 기본이며 로보트닉의 집 문을 간단하게 부수고 들어왔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로보트닉 포트리스.webp|width=100%]]}}} || || 로보트닉 포트리스 || 모비우스 바위산에 자신의 모습을 본딴 기지[* 총 2개 건물로 구성되어 있는데 로보트닉의 모습을 한 황금동상형 건물과 뒤에있는 평범한 건물로 되어있다.]에서 살고있다. 이 기지는 64화에서 파괴되었다. 몸무게는 360kg으로 에그맨보다 훨씬 많이나간다.[* 에그맨은 128kg이다.] 작중에서 [[소닉 더 헤지혹(바람돌이 소닉)|소닉]]에게서 관광당할 때마다 "'''I HATE [[소닉 더 헤지혹(바람돌이 소닉)|THAT HEDGEHOG]]!'''"(그 고슴도치가 싫어!)를 외친다. 여러 명이 외치는 때의 주어가 'We'이고 목적어에 칠리 도그나 다른 대상이 언급되는 등 변형도 있지만, 마지막에 반드시 '[[소닉 더 헤지혹(바람돌이 소닉)|HEDGEHOG]]'를 넣는다. [[https://www.youtube.com/watch?v=2zhPhow2EGE|(모음집)]] 그리고는 한국어 더빙판에서는 '''"난 소닉이 미워!"'''로 번역되었다. 또한 설정상으로도이 애니메이션판을 위해 원작 대비 과장된 외모, 과장된 설정이 부여되었다.[[http://info.sonicretro.org/Adventures_of_Sonic_the_Hedgehog#Development|#]] 또다른 말버릇으로는 프로모션이 있다. R을 길게 굴려서 프르르으오모션! 이라고 발음한다. 부하들을 독려하는데 쓰이지만 원가 무능해서 절대 승진하는 경우는 없다. 자뻑용으로 자기를 승진시키면서 쓴 [[https://www.youtube.com/watch?v=jZH3SpBujwk|I'll have to give myself a promotion!]]이 밈으로 잘 쓰인다. 파일럿 에피소드의 성우는 [[짐 커밍스]], 본편과 특별편의 성우는 [[가수]]와 성우를 겸업한 롱 존 볼드리(Long John Baldry). 한국판은 [[탁재인]]. ~~[[https://youtu.be/F_F4yitLPrg|그곳이 상당히 '''튼튼'''하시다.]]~~ == 밈 == 애니메이션 [[바람돌이 소닉]]에 북미 한정으로 붙어다니는 '''[[몬더그린]]''' [[명대사]]들이 있고, 여기에서 [[신조어]]가 생겼다. 특히 '''<로보트닉> 문서 자체가 생긴 까닭'''과 다름없는 ''''PINGAS''''의 창시자가 바로 이 닥터 로보트닉 되시겠다. === PINGAS === || [youtube(LyM1UGD8sqM)] || ||<:> "Snoo'''__ping as__''' usual, I see?" || [[바람돌이 소닉]] [[https://youtu.be/AQ76btyu-NA?t=286|27화 ]]중에 나온 대사. 스크래치와 그라운더가 문에 기대서 대화를 엿듣다가 문이 갑자기 열려 넘어지자 그걸 보고 어이가 털린 로보트닉이 '평소처럼 엿듣고 있는군, 그래!'라며 한마디 한 것이다. 성우 롱 존 발드리가 이국적인 발음을 내기 위해 i를 길게 발음하다가 이렇게 된 것 같다. [[영어]] 'penis'와 영어·[[스페인어]]의 'pinga'는 '''[[음경]]'''을 뜻한다. 이후로 로보트닉이든 에그맨이든 나오면 위의 '''PINGAS''' 드립이 자주 나왔다. 영어권 웹에 돌아다니다 보면 [[YouTube Poop|할 일 없는 장잉정신 충만한 양덕]]들이 [[인간 관악기]]로 쓴 것을 볼 수 있다. 아래는 활용 예시. * [[https://youtu.be/DeuUK4lRV30|로보트닉과]] [[게임보이]], [[https://www.youtube.com/watch?v=xUcStKmWlzY|슈퍼 로보]][[슈퍼 마리오 랜드|트닉 랜드]]([[http://www.indiedb.com/downloads/super-robotnik-land-classic|다운로드]]), [[https://youtu.be/ZkFJ9uatypg|2]] * [[http://www.youtube.com/watch?v=UzjOKCMa15I|PIIIIINNNGAAAAAAAAASS]] * [[https://youtu.be/jgjLaNe1_9o|Sonic sez Touching Pingas is good..]] * [[http://www.youtube.com/watch?v=VWDqBkBZmPk|로고]] * [[https://youtu.be/6xd1MgBcsU0|노래]] * [[https://youtu.be/ncogCW06zMg|2016년에 올라온]] [[300(영화)#s-6|스파르타 리믹스.]] * 무려 2020년에 올라온 [[https://youtu.be/YbJ6jHkoAW4|핑가스 뮤직]] [[파일:attachment/사본_-04.jpg]] [[아치판 소닉 코믹스 시리즈|아치판 소닉 코믹스]]의 이슈 205호에서도 이 드립을 사용했다. 그리고 현재의 에그맨 성우인 마이크 폴록도 한 인터뷰에서 이 대사를 재현한 적이 있는데, 이것 역시 꽤 많은 패러디에 사용되었다. [[https://youtu.be/1QAQHxRo71g|활용 예시]] ||[youtube(RqUEjGYD3DU)]|| || [[소닉 붐 TVA]]에서도 저 대사가 그대로 나왔다. || === PINESS === || [youtube(DZtT39LJx8s)] || ||<:> "Hap'''__piness__''' is always so much more enjoyable when it's based on the misery of millions." || PINGAS의 자매품. 크리스마스 특별편 중에 나온 위 대사에서 '해피니스(hap__'''piness'''__)'의 「'''피니스(penis)'''」 음절만을 떼어낸 것으로, 이것 역시 PINGAS와 함께 [[유튜브 풉]]의 소재로 쓰인다. [[https://www.youtube.com/watch?v=gri2I0SZwgQ|''''PINESS'와 'PINGAS' 등을 함께 사용한''' 예제.]] 그 밖의 PINGAS, PINESS 관련 소재들을 다룬 내용은 하단의 링크 참고. * [[https://youtu.be/6mPhuSRUMn8|#1]]: 유튜브 * [[http://knowyourmeme.com/memes/heptaforce-of-pingas|#2]]: [[Know Your Meme]] === 그 밖에 === ''''PINGAS' 등과 무관한 대사들'''도 일부는 [[YouTube Poop]] 등의 2차 창작 소재로 꽤 쓰였고, [[바람돌이 소닉]]의 에피소드 자체가 소재로 쓰이기도 했다. * [[https://youtu.be/O-ycQlfOqyY|No!]] * [[https://youtu.be/jZH3SpBujwk|I'll have to give myself a promotion!]] * [[https://youtu.be/DZricyEvzI8|I just love sharing a cozy hot cup of Lapsang Souchong tea.]] * [[https://youtu.be/c8OUNInm4ks|활용 예시]]: [[소닉 어드벤처 2]]의 [[닥터 에그맨]] 테마곡 의 가사를 바꾼 작품이다. *[[https://gamejolt.com/games/five-nights-at-pingas/54408|Five Nights at Pingas]]: 'PINGAS' 요소가 도배돼 있는 여섯 편 팬게임이자 [[Five Nights at Freddy's]]의 패러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