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내셔널리즘)] [목차] {{{+2 '''檀君民族主義''' / '''Dangun nationalism'''}}} == 개요 == 단군민족주의는 [[고조선]] 건국시기(기원전 2333년)을 [[한민족]]의 출발로 보고, 현재 한민족을 단군의 후손으로 정의하며 단결을 도모하는 [[민족주의]] 이념이다. == 역사 == 한국 민족주의 자체를 근대의 산물로 보는 학자들은 근대 이전에 단군민족주의가 존재했다고 보지 않지만, 민족주의적 관점에서 작성되어 있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서는 13세기에 쓰여진 『[[삼국유사]]』나 『[[제왕운기]]』에서도 단군민족주의적 정서가 나타나 있다고 표현하고 있다.[[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76108|#]] 원래부터 한국이 [[네이션 빌딩]]에 있어 국민보다 민족을 강조한 것은 아니였다. 그러나 한국이 제국주의 위협을 받고 [[일본 제국주의]]에 의해 식민통치를 당하면서 시민적 의미의 국민보다는 에스니시티의 의미의 민족을 강조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민족주의 운동가들은 우리가 단군의 후손이며 [[단일민족]]이라는 신화를 만들어냈다. 이것이 근대 단군민족주의의 시초이다. [[3.1운동]] 시기 독립선언서는 선언일을 [[단기]]로 표기한 바 있다. [[삼균주의]]도 단군민족주의에 영향을 받았다. [[해방]]과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한국은 단군민족주의에 따라 [[개천절]]을 국가기념일로 지정했으며 [[홍익인간]]을 주요 교육 이념으로 삼게 되었다. [[제1공화국]] 초기에 [[일민주의]]도 단군민족주의에 영향을 받았다. [[분류:한국의 민족주의]][[분류:단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