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하이난성의 지급시]][[분류:중국의 도시]] [include(틀:하이난성의 행정구역)] ||<-3> [[파일:중국 국기.svg|height=20]] {{{#000,#ddd '''[[중국|{{{#000,#ddd 중화인민공화국}}}]] [[하이난성|{{{#000,#ddd 하이난성}}}]]의 [[지급시|{{{#000,#ddd 지급시}}}]]'''}}} || ||<-3> {{{#ff0 '''{{{+1 [ruby(儋州, ruby=Dānzhōu)][ruby(市, ruby=Shì)] | [ruby(儋州市, ruby=Tam-chiu-sī)]}}}'''[br]단저우시 | Danzhou City}}}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儋州市, 너비=100%, 높이=100%)]}}} || ||<-2> '''{{{#ffff00 시정부 소재지}}}''' || [[하이난성]] 단저우시 중싱다제1호[br]海南省儋州市中兴大街中1号 || ||<-2> '''{{{#ffff00 지역}}}''' || [[중난]] || ||<-2> '''{{{#ffff00 면적}}}''' || 3,394km² || ||<-2> '''{{{#ffff00 하위 행정구역}}}'''[* 중국본토에서 현급행정체제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몇몇 도시중 하나다.예)광둥성 둥관시 및 중산시, 간쑤성 자위관시] || 1가도 16진 || ||<-2> '''{{{#ffff00 시간대}}}''' || UTC+8 || ||<-3> '''{{{#ffff00 인문 환경}}}'''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2> '''{{{#ffff00 인구}}}''' || 954,259명 ^^(2020)^^ || ||<-2> '''{{{#ffff00 인구밀도}}}''' || 281명/km² || ||<-2> '''{{{#ffff00 서기}}}''' || 양샤오허(杨晓和) || ||<-2> '''{{{#ffff00 시장}}}''' || 저우광(邹广) || ||<|2> '''{{{#ffff00 GRDP}}}''' || '''{{{#ffff00 전체}}}''' || $71억 1,700만 ^^(2015)^^ || || '''{{{#ffff00 1인당}}}''' || $7,309 ^^(2015)^^ || ||<|2> '''{{{#ffff00 상징}}}''' || '''{{{#ffff00 시화}}}''' || 없음 || || '''{{{#ffff00 시목}}}''' || [[무화과|무화과나무]] || ||<-2> '''{{{#ffff00 차량번호}}}''' || '''琼F''' || ||<-2> '''{{{#ffff00 행정구역 약칭}}}''' || '''儋''' || ||<-2> '''{{{#ffff00 행정구역코드}}}''' || '''46'''0'''4'''00 || ||<-2> '''{{{#ffff00 지역전화번호}}}''' || '''0898''' || ||<-2> '''{{{#ffff00 우편번호}}}''' || '''5717'''00 || ||<-2> '''[[ISO 3166-2|{{{#ffff00 ISO 3166-2}}}]]''' || '''CN-HI-04''' ||}}}}}}}}} || ||<-3> [[http://www.danzhou.gov.cn/|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하이난성]]의 지급시. 하이난성 내에서 유일하게 현급행정구가 없는 지급시이다. 중국은 [[단일국가]]이지만 지방 인민대표대회가 존재하고 이들이 자체적인 조례를 제정하는 등, 최소한의 자치권은 부여하는 나라이다. 그러나, 단저우시의 경우 지방인대가 있기는 하나 일반 지급행정구가 보유한 수준의 조례 입법권을 보유하지 않아 실제 권한은 타 지급행정구보다 낮다. == 역사 == [[한나라]] [[무제(전한)|무제]]대에 중국사에 편입된다. 당시 중국은 현 단저우 지역에 담이군(儋耳郡)을 설치하였으며, 이 명칭에서 단저우라는 명칭이 나온다. 다만 단저우 자체가 인구가 너무 적고 통치가 어려워 [[소제(전한)|소제]]대에 담이군이 폐지되고 [[양(남조)|양나라]]대에 의론현(义论县)이 설치되면서 다시 독자 행정구역이 생겨난다. [[당나라]] 대에 담주(儋州)를 설치하면서 단저우라는 이름이 본격적으로 등장하며, 의론현은 담주 산하의 현으로 편제된다. 의론현은 후에 [[송나라]] 대에 의론현(宜伦县)으로 명칭이 변경된다. [[중화민국]]시대에 단현(儋县)으로 개칭되고 충야도(琼崖道) 소속으로 편제되었으며, [[1948년]] 하이난특별행정구(海南特别行政区) 산하로 편제되었다가 [[중화인민공화국]] 시대에 하이난행정구(海南行政区)를 거쳐서 [[1988년]]에 [[하이난성]] 산하로 편제된다. 이후 [[2015년]]에 [[지급시]]로 승격된다. == 교통 == [[하이난 일주고속철도]](海南环岛高速铁路)가 관내의 인탄역(银滩站), 바이마징역(白马井站), 하이터우역(海头站)을 지난다. 단저우역(儋州站)도 있는데, 이는 하이난 서환철도(海南西环铁路)가 지나가며, 해당 노선은 일반철도 노선이다. == 여담 == [[파일:9c8e9c142f76422db9dd8761ad334122.jpg|width=450]] 단저우시 안에는 하이화다오 섬(海花岛)이라는 대규모 인공섬이 있는데, 이 섬의 건설사가 바로 [[헝다그룹]]으로, 한 때는 단저우시의 경제를 크게 성장시킬 주역으로 각광받았지만 [[헝다 파산위기]]와 함께 공사가 중단되어 [[두바이 워터프런트]] 중국판이 될 뻔 하였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일단 완공된 곳은 개방되어 관광지로 사용중이라 그럭저럭 굴러가고는 있다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