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마리오 카트 시리즈/코스]][[분류:마리오 카트 Wii]] [include(틀:마리오 카트 시리즈)] [include(틀:마리오 카트 시리즈/코스)] || {{{+1 '''단풍나무 로드'''}}}[br]'''メイプルツリーハウス''' | '''Maple Treeway'''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vol03_cup01_cover04.webp|width=100%]]}}}|| || [[마리오 카트 8 디럭스/부스터 코스 패스]]의 Wii 단풍나무 로드 || [목차] [clearfix] == 소개 == 붉은 빛 일색의 가을 숲과 커다란 단풍나무 위를 무대로 하는, [[마리오 카트 Wii]]의 레이스 코스. 4개의 작품에서 등장했다. 비주얼과 음악에서 가을의 정취가 물씬 베어나오는 것을 바로 느낄 수 있다. 심미적인 측면은 물론 트랙 디자인도 훌륭하여 [[마리오 카트 시리즈]]에서 인기가 매우 많은 코스이다. [[꽃충이]]가 이 코스의 마스코트 캐릭터 겸 장애물로 등장한다. 코스 곳곳에 쌓여 있는 낙엽 덤불을 흩트리면 확률적으로 아이템이 나온다.[* 단, 작품별로 모드나 규칙 설정에 따라 아이템이 나오지 않는 경우도 있다.] == [[마리오 카트 Wii/코스#단풍나무 로드|마리오 카트 Wii에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마리오 카트 Wii/코스, 앵커=단풍나무 로드)] 단풍나무 로드는 [[마리오 카트 Wii]] 스타 컵의 3번째 코스로 처음 등장했다. 후반 그물 다리 구간은 원본에만 존재한다. 자세한 내용은 안내 문서 참고. == [[마리오 카트 7/코스#Wii 단풍나무 로드|마리오 카트 7에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마리오 카트 7/코스, 앵커=Wii 단풍나무 로드)] [[마리오 카트 7]] 리프 컵의 4번째 코스로 재등장했다. 꽃충이의 크기가 작아지고, 후반의 하프 파이프와 그물 다리가 제거되었으며, 제거된 그물 다리 구간에는 활공 플레이트가 설치되었다. 난이도는 원본에 비해 쉬워졌다. 여담으로, 이 버전의 코스만 유일하게 하프파이프 구간이 존재하지 않는다. 자세한 내용은 안내 문서 참고. == [[마리오 카트 투어/코스/레트로 코스#Wii 단풍나무 로드|마리오 카트 투어에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마리오 카트 투어/코스/레트로 코스, 앵커=Wii 단풍나무 로드)] [[마리오 카트 투어]]에서는 2020년 10월 21일에 개최된 핼러윈 투어에서 처음 등장했다. 마카7의 글라이더 구간은 그대로이고, 180도 U턴 구간에 하프 파이프가 부활하였다. 시작 길 오른쪽으로 가면 풀밭을 지나고 대시 플레이트가 사라져 버섯이나 무적 상태가 아닌 이상 오히려 비효율적인 길이 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안내 문서 참고. == [[마리오 카트 8 디럭스/부스터 코스 패스/제3~4탄#Wii 단풍나무 로드|마리오 카트 8 디럭스 부스터 코스 패스에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마리오 카트 8 디럭스/부스터 코스 패스/제3~4탄, 앵커=Wii 단풍나무 로드)]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vol03_cup01_cover04.webp|width=100%]]}}}|| || [[마리오 카트 8 디럭스/부스터 코스 패스]]의 Wii 단풍나무 로드 || [[부스터 코스 패스]] 3탄 4코스로 재등장했다. 마리오 카트 투어의 모델링과 코스 구조를 그대로 사용하며, 하프 파이프도 건재하다. 투어의 모델링을 사용하지만, 그래픽이 많이 발전한 건 물론, 대시 플레이트 배치는 원작과 유사하여 속도감이 안 느껴진 투어 버전의 밋밋했던 느낌은 사라졌다. 낙엽 덤불에서는 대시버섯밖에 나오지 않으며, 아이템 스위치 사용 중에는 대시버섯이 아예 나오지 않게 된다. 자세한 내용은 안내 문서 참고. == 기타 == * [[꽃충이]]가 장애물로 등장하는 다른 코스로, 마리오 카트 투어의 DS 버섯 고개 X, 부스터 코스 패스의 [[DS 마리오 서킷]]이 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마리오 카트 Wii/코스, version=324, paragraph=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