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0047a0 {{{+1 '''달서 나들목'''}}}[br]{{{-2 '''達西 나들목'''}}}[br]{{{-2 '''Dalseo Interchange'''}}}}}} || || {{{#!html시점}}} ||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파일:Expressway_kor_700.svg|height=23]]{{{#!html
대구외곽순환선}}}]]'''{{{#fff {{{+1 1}}}}}}'''[br]{{{#!html}}} || [[율암TG|{{{#!html상매 방면}}}]][br][[다사IC]][br] 3.3 km → || ||<-3> [include(틀:지도, 장소= 35.830140 128.491904, 너비=100%, 높이=225px)] || ||<-3> {{{#fff '''주소'''}}} || ||<-3>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천동(대구)|대천동]] 857-2 || ||<-3> {{{#fff '''관리기관'''}}} || ||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fff 대구외곽순환선}}}]] ||<-2> [[한국도로공사]] 대구경북본부 대구지사 || ||<-3> {{{#fff '''개통'''}}} || ||<-3> [[2022년]] [[3월 31일]] || ||<-3> {{{#fff '''접속도로'''}}} || ||<-3> [[파일:Cityroad_kor_10.svg|height=20]][[파일:Cityroad_kor_17.svg|height=20]][[달서대로]], 성서공단남로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천동에 위치한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의 [[나들목]]. 공사 중일때는 구라IC라고 불렸으나 달서IC로 확정되었다. == 구조 == 원래는 월성교 부근에서 대명유수지 위를 성토하여 길을 닦는 방식의 완만한 곡선으로 노선이 설계되고 있었으나 대명유수지가 [[맹꽁이]]들의 주된 번식·산란 장소임이 드러나자[* 대한민국 최대 산란지이다.] 환경 단체에서 시공안을 극구 반대하여 해당 계획이 철회되었고 북쪽으로 1.1km 떨어진 개상듬네거리에서 고가도로를 통해 연결하는 것으로 재설계되었다. 환경단체가 주장한 대안에서는 아예 [[금호강]] 생태계에 유해하다며 달서IC~북다사IC 구간을 통째로 날리고 [[달서대로]]로 대체하자는 주장이 있기도 했으나 현재와 같이 타협되었다. 만약 달서IC~북다사IC 구간이 날아갔다면 달구벌대로의 연결이 불편해 졌을 것이다. 한국도로공사는 이 과정에서 개통이 1년 지연되었다고 주장했다. 해당 부근은 4차 순환도로의 일부인 달서대로와 대구외곽순환도로가 직접 연결되는 부분으로 도로의 고속화가 일부 훼손되었다는 비판이 있었다. 월성교에서 달서나들목까지 횡단보도와 신호등이 다수 있기 때문이다. 대구광역시는 이 점을 보완하기위해 [[달서대로]]를 입체화하는 계획을 추진 중이다. === [[율암TG|상매]] 방향 === * 진입 가능: 달서대로 양방향 (직결), 성서공단남로 === 달서 방향 === * 진출 가능: 달서대로 양방향(직결), 성서공단남로 == 역사 == * [[2022년]] [[3월 31일]]: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전 구간 개통과 함께 나들목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88/0000749320|대구4차순환도로 착공 14년 만에 31일 완전 개통]], 2022-03-15, 매일신문] == 둘러보기 틀 == [include(틀: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의 구간)] [[분류: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분류:대한민국의 고속도로 나들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