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B8E23>'''[[전주 이씨|[[파일:전주 이씨 종문.svg|width=30]]]] [[계동궁|{{{#FAFAD2 계동궁}}}]]{{{#FAFAD2 의 역대 종주}}}''' || ||<:> 2대[br] [[낙천군|낙천군 이온]] ||<:> {{{+1 ←}}} ||||<#6B8E23><:>--'''{{{#FAFAD2 2.5대[br] 달선군 이영[* 본문 참조.]}}}'''-- || {{{+1 →}}} ||<:> 3대[br] [[남연군|남연군 이구]][* 계보 상으로는 은신군이 3대 종주여야 하나, 죽은 후 연령군가에 양자로 입적된 것이기 때문에 생전에는 계동궁의 종주가 아니었다.]|| ---- [목차] == 개요 == (廢) 達善君 李泳. 생몰 기간 : 1731년 1월 22일 ~ 1748년 11월 28일.[* 이하 날짜 표기는 전부 음력.] [[조선]] 후기의 왕족. 이름은 이영(李泳). 초명은 이철해(李喆楷)이다. [[숙종(조선)|숙종]]의 막내 아들 [[연령군]]의 양자인 [[낙천군]]의 양자였으나 파양당했다. == 생애 == 조선의 왕족 출신 문신으로 [[덕흥대원군]]의 제사를 받드는 종가인 [[도정궁]]의 제8대 사손(嗣孫)[* 제사를 받드는 후손이란 뜻이다.] [[이형종|이형종(李亨宗)]]과 그의 첫 부인 은진 송씨 사이에서 차남으로 태어났다. 1747년 9월에 낙천군의 양자로 봉해져 이름도 '철해(喆楷)'에서 '영(泳)'으로 바꾸고 '달선군(達善君)'에 봉작받아 정식 왕족이 되었다.[* [[http://sillok.history.go.kr/id/kua_12309004_004|출처 : <조선왕조실록> - 영조 실록 66권, 1747년(영조 23년) 9월 4일 신묘 4번째 기사]].][* 봉호는 [[대구광역시]]의 별칭 달성(達城)에서 유래했다.] 그러나 낙천군 부인이자 달선군의 양어머니였던 서씨 부인이 성격이 좀 못되었던 것 같다. 걸핏하면 달선군과 달선군의 부인 신씨를 굉장히 많이 괴롭혀 결국 이를 견디지 못하고 불과 1년 뒤인 1748년 약을 먹고 자살하고 말았다. 이 때 나이 겨우 18세였다.[* 만 17세.] == 사후 == 서씨 부인은 양자가 자살했어도 애도하기는커녕 오히려 영조에게 파양을 청하였고, [[영조]]가 이 부탁을 들어주어 달선군은 사망 2년 뒤인 1750년(영조 26년) 2월에 사후 파양당했다.[* [[http://sillok.history.go.kr/id/kua_12602007_001|출처]].] 그 뒤 [[정조(조선)|정조]]가 즉위한 후 유배지에서 죽은 이복 동생 [[은신군]]을 [[연령군]]의 사후 양손자 형식으로 보내었고, 은신군 또한 [[인평대군]]의 후손 [[남연군]]을 입양하였다. 남연군의 자손은 번창하여 현재 연령군 - 낙천군의 대를 잇고 있다. 참고로 이 가문에서 조선 마지막 왕통인 [[고종(대한제국)|고종]], [[순종(대한제국)|순종]]이 나왔다. 이후 달선군 본인의 후사는 달선군의 친형이자 도정궁 9대 사손인 [[이풍(1727)|이풍]]의 차남 이민식이 양자로 들어와 이었다. [[분류:조선의 왕자군]][[분류:1731년 출생]][[분류:1748년 사망]][[분류:전주 이씨 덕흥대원군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