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낙동강의 교량]][[분류:대구광역시의 건축물]] [[분류:달성군]] [[파일:140821_대구_달성보_160.jpg]] [[https://blog.naver.com/morning1377/220098969223|출처]] ||<-5><#33CDFF><:> '''[[낙동강|{{{#white 낙동강}}}]]{{{#white 의}}} [[교량/목록|{{{#white 교량}}}]]''' || ||<:> 상류 방면 ||<|2><:>{{{+1 ← }}}||<:> 이름 ||<|2><:>{{{+1 → }}} ||<:> 하류 방면 || ||<:> [[성산대교(낙동강)|성산대교]] ||<:> '''달성보''' ||<:> [[박석진교]] || {{{+1 達城洑/Dalsung stank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상북도]] [[고령군]] 개진면과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에 있는 [[낙동강]]의 [[보(시설)|보]](洑)이자, 교량. [[4대강 정비 사업]]으로 인해 건설되어서 운영되고 있다. 주변일대 주민들의 상수도와 농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강정보]]와 함께 4대강 사업으로 대구시에 건설된 2개의 보 중의 하나이다. == 상세 == 2009년 12월 2일에 착공되어 2011년 11월 26일 준공되었으며 총 길이는 총 길이는 589m이다. 총사업비 4,738억원이 투입되었다. 보의 우안에는 2,800kw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소규모 수력발전시설을 갖추고 있다. [[자전거 동호인]]들에게는 국토종주 인증센터가 있는 [[자전거도로/국토종주길#s-1.3|장소]]로 알려져있다. 달성보통합관리센터타워가 보 옆에 위치해있다. 달성보 옆에는 해맞이 공원이 위치해있다. 녹조가 잘 쌓이기로 유명하다. 특히 여름철에 잘 쌓인다. 그래서 환경단체들이 달성보의 개방을 요구하며 농민들은 가뭄때 비축해 두어야 할 물이 부족하다며 반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