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충청북도의 하천]][[분류:한강수계]] [include(틀:수권 - 강)] [include(틀:한강의 지류)] ||<-2> {{{#fff '''{{{-1 국가하천}}} · {{{-1 충청북도 지방하천}}}[br]{{{+2 달천}}}'''[br]'''[[達|{{{#fff 達}}}]][[川|{{{#fff 川}}}]]''' | '''Dalcheon (Riv.)'''}}} || || '''위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대한민국]][br]└ [[충청북도]] {{{-2 ([[보은군|보은]] · [[청주시|청주]] · [[괴산군|괴산]] · [[충주시|충주]])}}} || || '''수계''' ||[[한강/수계|한강 수계]] || || '''길이''' ||126.96㎞ || || '''유역면적''' ||1,613.49㎢ || ||<-2> '''충청북도 지방하천 구간''' || || '''기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 || '''종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 '''유입''' ||'''지류'''[br]└흑천, 감천, 동진천 || || '''유출''' ||달천{{{-1 (국가하천)}}} || || '''하천코드''' ||1010870, 1020870 || ||<-2> '''국가하천 구간''' || || '''기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충청북도]] [[청주시]] [[미원면]]|| || '''종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충청북도]] [[충주시]] [[탄금대]]|| || '''유입''' ||'''지류'''[br]└신월천, 구룡천, 압항천, 화양천, 대전천, 흑석천, 쌍천, 안민천, 신항천, 음성천, 석문동천, 설운천, 요도천, 충주천 || || '''유출''' ||[[한강]] || || '''하천코드''' ||1000870 || [목차] [clearfix] == 개요 ==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 천왕봉에서 발원하여 [[청주시]], [[괴산군]]을 거쳐 [[충주시]] [[탄금대]]에서 [[남한강]]과 합류하는 [[하천]]이다. 유역면적 1,613.49㎢, 총연장 126.96㎞이다. [[한강]]의 지류 중 가장 남쪽에 있다. [[청주시]] [[미원면]]의 계원천 합류점부터 [[충주시]] [[탄금대]]까지 국가하천으로 지정되어 있다. == 역사 == 옛날에는 '달래강' 또는 '감천(甘川)'이라 불렸다. [[조선시대|조선 후기]]에 편찬된 [[지리서]]인 『[[택리지]]』에 따르면, [[임진왜란]] 때 [[명나라]]의 장수가 달천의 물을 마시고 [[중국]] [[여산]]의 [[약수]]보다도 달다고 극찬한데서 유래했다고 한다. 참고로 [[여산]]은 경관이 뛰어나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곳이다. 이외에도 하천 유역에 수달이 많이 살아서 '달강'이라고 불리던 것이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는 설도 있다. 또 다른 [[조선시대]] [[지리서]]인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덕천(德川)'이라는 이름으로도 소개되어 있다.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는데 여기에서도 달천의 물맛이 좋다는 점이 강조되어 있다. >달천 혹은 덕천(德川)이라 하며, 고을 서쪽으로 8리에 있다. [[보은군|보은현]] [[속리산]] 꼭대기에서 발원하여 물이 세 갈래로 나뉘었는데, 그 하나가 서쪽으로 흘러 달천이 되었다. 배를 띄우고 겨울에는 다리를 놓는다. 이행이 능히 물맛을 변별하였는데, 달천 물을 제일이라 하여 마시기를 좋아하였다. '덕천'이라는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설도 전해진다. >병이 있는 한 중년 남자가 '중생을 위해서는 적선을 하고 육신을 위해서는 고행을 해야 한다.'는 도승의 주문에 1년간 고생하여 돌로 달천에 다리를 놓았는데 급한 환자가 이 다리를 건너 생명을 구하였다. 이때 생명이 위급한 환자가 '참으로 '''덕'''을 입은 '''강'''이로다.'하였다 하여 덕천으로 부르게 되었다. 문헌 이외에 여러 고지도에서도 달천의 역사를 살펴볼 수 있는데, 일례로 『해동지도』에는 음성천과 합류하여 [[충주]]를 동서로 가로지르는 형태로 그려져 있으며, 나루터인 달천진(達川津)도 확인할 수 있다. 이외에도 『[[대동여지도]]』, 『[[조선팔도고금총람도]]』 등 여러 고지도에서 달천의 이름과 대략적인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 기타 == *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에 [[괴산댐]]이 있다. * [[충주시]]의 [[법정동]]이자 동명의 [[행정동]]인 [[충주시/행정#s-1.3|달천동]]의 지명이 여기에서 유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