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북구(울산)의 법정동)] ||<-2> '''[[북구(울산광역시)|{{{#000000,#dddddd 북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달천동}}}'''[br]達川洞 | Dalcheon-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북구 달천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울산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북구 || || '''행정표준코드''' || 3120010900 || || '''관할 행정동''' || 농소3동 || || '''면적''' || 7.98㎢ || [목차][clearfix] == 개요 == [[울산광역시]] [[북구(울산)|북구]]에 있는 [[동(행정구역)|동]]. 상안천이 만석골저수지에서 발원하여 중심에 흐르고 있다. 과거 철광석 산지로 오랜 역사를 지닌다. == 주요 시설 == === 주거 === * 달천아이파크 1/2차 아파트 * 그린카운티 1/2/3/4차 아파트 === 교육 === * [[달천고등학교]] * [[달천중학교]] * 농서초등학교 === 산업 === * 달천농공단지 * 달천광산 : 울산시 기념물 40호로, 1657년([[효종(조선)|효종]] 8년)부터 ~~조선의 철강왕~~ 이의립이 재개발하여 본격적으로 철을 캐낸 유서깊은 문화재이기도 하다. 이전까지는 노천의 토철을 캐내다가 이의립이 철광맥을 찾으면서 갱도를 파기 시작했다. 이후로도 삼미금속이 1993년까지 수직갱도를 통해 [[철광석]]을 채굴하여 전량 [[포스코|포항제철]]에 공급했으나, 경제성 문제로 철광석 채굴이 중단되었고, [[사문석]]은 계속해서 캐내다가 2002년에 전면 폐광 후 위에 복토를 하였다. 현재는 문화적 가치를 살려 쇠부리 문화공원을 조성하려고 했으나 지하수 및 토양에서 비소검출 및 토양에서 석면이 검출되었고 주변 주거지 때문에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다가 복토한 둔덕 위에 '달천철장유적공원'을 조성하여 지역 문화행사 장소로 활용하고 있다. 해당 광산주변 지역(산20번지 및 1-7번지)은 석면 농도가 1% 이상으로 정화대상지역이었으나 공원 조성을 하며 정화작업을 완료한 것으로 보인다. 다행히 석면이 공기중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http://www.iusm.co.kr/news/articleView.html?idxno=756661|기사]] === 문화,관광 === * 달천철장 : 삼한시대부터 토철을 캐내 제련하던 곳으로 달천아이파크 앞 동산에 위치한다. 2008년 유적의 일부가 발견되었고, 발굴조사가 끝난 현재는 달천철장유적공원을 조성하였다. 매년 고대 철 제련을 재현하는 쇠부리(쇠불이 : 풀무불을 불어 지피는 놀이)축제를 북구청에서 열어오다가 공원 조성 후 한켠에 풀무아궁이를 만들어 여기서 하고 있다. * 달천운동장 : 축구장, 족구장, 인라인스케이트장이 있다. * 편백산림욕장 : 천마산 자락 만석골저수지 일대에 조성된 편백나무숲 == 교통 == 달천교차로에서 옥동~농소 도로([[이예로]])와 [[농서로(울산)|농서로]]가 연결된다. === 버스 === ==== 일반 ==== [[울산 버스 432]] [[울산 버스 257]] [[울산 버스 422]] [[울산 버스 102]] [[울산 버스 132]] [[울산 버스 453]] [[울산 버스 207]] ==== 지선 ==== [[울산 버스 941]] [[울산 버스 942]] [[울산 버스 946]] ==== 급행 ==== [[울산 버스 5005]] [[분류:북구(울산)의 법정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