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군대 관련 정보]] [include(틀:중대편제)] [목차] == 개요 == [[대한민국 육군]]에서 부사관이 어떠한 업무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맡고있는 보직을 말할 때 쓴다. 예를 든다면 급양을 관리하고 있다면 급양담당관, 군수쪽 업무를 맡고 있다면 군수담당관, 인사담당관, 교육담당관, 정보 부서에서 업무를 하고 있다면 보안담당관 등. 속한 부서명을 떼와 ~~담당관이라고 붙이면 된다. 보통 이러한 보직은 [[부사관]]이 맡고 있다. 이는 옛날에 부사관 권리상신 전의 보직명인 '~~계'라는 명칭에서 바뀌면서 비롯되었기 때문이다. 지금도 담당관 아래에 이러한 업무를 맡는 병사를 '~~계원'이라고 부르는 게 그 당시의 흔적. == 상세 == 옛날에 호칭하던 보직명과 현재의 보직명을 비교하다면 다음과 같다. * 인사계 → [[행정보급관]] (혹은 [[주임원사]]) * 인사선임하사 → [[인사담당관]][* 주로 [[상사]]가 맡는다. 이 직책을 거쳐서 [[행정보급관]]으로 올라가는 경우가 다수에 속한다.] * 작전선임하사 → 작전담당관 * 교육계 → 교육담당관 [* 물론 굳이 비교하자면 그렇다는거지 현재 작전, 교육, 정보는 장교만이 맡기 때문에 사문화된 명칭이다. 상사(진)급 부사관은 인사/군수담당관에 보직될 수있다.] [[장교]] 및 [[장성급 장교]]는 관리관이라고 부른다. 예) [[틀:군사관리관|군사관리관]] 반면, [[대한민국 공군]]의 경우 장교와 부사관 구분 없이 OO담당이 정식 명칭이다. 인사담당관처럼 가끔 상사 보직인데 하사, 중사 등이 담당하고 있으면 십중팔구 해당 담당관은 [[임기제부사관]]일 확률이 높다. 보통 용사 시절 담당하던 보직을 그대로 받는 경우가 대다수인데 원래 군수쪽에서 보급을 담당하던 군수계원이 임기제부사관으로 임관할 경우 군수담당관이라는 직책만 붙이고 사실상 용사 시절에 하던 업무를 그대로 받는 식. [[분류:병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