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지존무상록 인물]] [목차] == 개요 == >"이런 녀석을 데려다가 이만큼 가르친 걸 장하다고 칭찬을 해야 하나, 이런 녀석을 겁도 없이 잘도 제자 삼았다고 쥐어 패야 하나, 어떻게 생각하나? 음산 꼬마의 수제자인 자네 생각은 어떤가?" >"직접 뵌 적도 없는 분입니다. 그저 막연히 소문만 들었는데, 그런 것을 감히 입에 담겠습니까? 그저 여기 그 고제(高弟)라 할 수 있는 주형을 보고 판단한다면, 대담하고 대단하신 분이라고 생각합니다. 황하일맥을 크게 번창하게 하시겠지요." >"번창하겠냐? 이걸 번창이라고 해야 하나······." >"곽형, 저분 도대체 누구십니까?" >"내가-! 누구- 게!" >,,- 『지존록』에서 담대륜, 곽자우, 주형인의 대화 중 발췌.,, [[풍종호]]의 무협소설 『[[지존록]](至尊錄)』에 등장하는 [[승천곡]](昇天谷)의 고수로, 별호는 '''조룡수(釣龍手)'''이며, 황하역사(黃河力士) 주형인의 사부의 사부의 사부이다. 그로부터 시작된 황하일맥을 순서대로 정리하자면 조룡수 담대륜 → 황하신룡(黃河神龍) → 황하신곤(黃河神鯤) → 황하역사(黃河力士) 주형인 순이다. 황하신곤이 당대 황하수상련(黃河水上聯)의[* 이 황하수상련(黃河水上聯)은 [[녹림대제전]]에서 [[녹림삼가]]와 연관있다고 잠깐 언급되며 [[검신무]] 시점까지 남아서 잠깐 등장한다. 황하일맥이 황하신룡문인지는 불명이며 담씨가 몇몇등장하는데 후손인지도 불명이다.] 주인인 만큼 황하에서 가장 강력한 위세를 지닌 일문(一門)이라고 할 수 있다. 승천곡에 머물다 세상에 나오자마자 자신의 제자의 제자의 제자인 주형인을 금룡신간(金龍神竿)으로 목을 감아서 주루에서 강제로 끌어낸다. 자신의 신물인 금룡신간은 물론 성명절기인 신룡나(神龍拏)까지 보여줬는데도 그의 정체를 모르는 주형인의 어리숙함에 일순간 화가 나 두들겨 패서 기절시킨다. 그리고 음수(陰手) 곽자우에게 승천곡에 대해 말해준 뒤 주형인과 같이 데려간다.[* 지존부를 막는 것이 현 승천곡의 목적이다. 이를 이루기 위한 사람 수가 너무 없어서 쓸만한 인재를 포섭하려고 그가 세상 밖으로 나왔다가 사손인 주형인만 데려가면 다른 늙은이들에게 눈치 보일까 봐 마침 같이 있던 곽자우까지 데려간다.] == 무공 == * '''신룡나(神龍拏)''': 용을 낚을 수 있는 손을 가졌다는 별호를 갖게 한 대표절기이다. 직접 고안한 금나수로, 그가 주형인을 바닥에 패대기칠 때 사용한다. * '''대우비전(大禹秘傳)''': 그가 승천곡에 들게 된 계기인 황하에서 오랫동안 실전되어 전설로만 전해 온 절기라고 한다.[* 여기서 '대우'란 황하의 물을 잘 다스려 [[순(삼황오제)|순]](舜) 임금에게 선양을 받아 고대의 하(夏)나라를 개국한 [[우(하나라)|우]] 임금의 이름이다. 부가적인 내용은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66297&cid=56777&categoryId=56777|〔출처: 네이버 인물사전〕]]이나 앞의 링크를 참고하자. 아무튼, 전설의 이름이 붙은 만큼 어떠한 내력을 가졌을지 자뭇 궁금한데··· 알 수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