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사회학]] [[분류:사회]] [목차] == 정의 == '''담화'''란 생각을 표현하는 구체적인 문장들이 모여서 이루어진 언어 단위이다. == 구성 요소 == 담화의 구성 요소에는 '''말하는 이'''(글쓴이)와 '''듣는 이'''(읽는 이), '''맥락'''(상황 맥락, 사회/문화적 맥락),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이 있다. === 담화 참여자 === 말하는 이(글쓴이), 듣는이(읽는 이)를 가르키며 듣는이와 읽는이의 의도, 처지, 관계 등에 따라 담화의 뜻이 달라지기도 한다. === 맥락 === 담화를 원활히 진행하려면 맥락 파악을 잘해야 된다. 맥락에는 상황 맥락, 사회문화적 맥락이 있으며 상황맥락은 담화가 이뤄지는 시간과 공간, 사회 문화적 맥락은 담화에 영향을 주는 사회, 문화, 역사적 상황 및 언어공동체의 의식이나 가치 등이고 지역, 세대, 성별, 국가, 역사적 상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 전달하려는 내용 === 말하는 이(글쓴이)와 듣는 이(읽는 이)가 주고 받는 정보를 말한다. == 특성 == 담화는 내용이 하나의 주제로 일관되게 모아지는 '''통일성'''과 문장들이 적절한 접속어나 지시어 등으로 긴밀하게 연결되는 '''응집성'''을 갖추어야 한다. 이러한 담화의 특성을 고려할 때, 담화의 의미를 분명하게 전달하고, 그 짜임새를 높일 수 있다. == 출처 == 중학교 2학년 1학기 <국어>, 노미숙.[* [[천재교육]] 교과서이다.] 중학교 2-1 한끝 교과서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