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경기도 군포시 당정동, rd1=당정동(군포))] [include(틀:하남시의 법정동)] ||<-2> '''[[파일:하남시 CI.svg|height=15]] [[하남시|{{{#000000,#dddddd 하남시}}}]]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당정동}}}'''[br]堂亭洞 | Dangjung-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하남시 당정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하남시 || || '''행정표준코드''' || 4145010700 || || '''관할 행정동''' || 신장2동 || || '''면적''' || 1.68㎢ || [목차][clearfix] == 개요 == [[경기도]] [[하남시]]의 [[법정동]]. [[유령도시|주민이 거주하지 않는 곳이다.]] 행정동은 [[신장동(하남)|신장2동]]에 속해 있다. == 역사 == 당정동은 [[한강]]에 있는 당정섬과 주변 수역, 미사리조정경기장 근처의 약간의 둔치로 이루어져 있다. 옛날에는 광주군 동부면 당정리였고, 동부면이 [[하남시]]로 승격하면서 [[법정동]]인 당정동이 되었다. 그러나 [[1970년대]]에 마을 주민들이 퇴거당하고, [[1989년]]부터 한강종합개발사업의 일환으로 당정섬 일대의 골재 채취가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0080100289114001&edtNo=4&printCount=1&publishDate=1990-08-01&officeId=00028&pageNo=14&printNo=685&publishType=00010|이루어지기 시작했다]]. 그러나 학자들은 이곳에 유적지가 있을 가능성을 제기하여 골재 채취에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0081000289115001&edtNo=4&printCount=1&publishDate=1990-08-10&officeId=00028&pageNo=15&printNo=693&publishType=00010|반대하였고]], 시민들도 환경 파괴 우려 등을 이유로 당정섬을 보존해야 한다는 여론이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1121300289113015&edtNo=4&printCount=1&publishDate=1991-12-13&officeId=00028&pageNo=13&printNo=1106&publishType=00010|높았다]]. 결국 [[경기도]]에서는 [[1992년]] 당정섬의 보존계획을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2011500289113017&editNo=4&printCount=1&publishDate=1992-01-15&officeId=00028&pageNo=13&printNo=1132&publishType=00010|검토하였으나,]] 당시 이미 당정섬의 절반 가량이 깎여나간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2020200289114010&editNo=5&printCount=1&publishDate=1992-02-02&officeId=00028&pageNo=14&printNo=1148&publishType=00010|상태였고]], 결국 당정섬을 이루던 지층은 1994년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4090300289108002&editNo=5&printCount=1&publishDate=1994-09-03&officeId=00028&pageNo=8&printNo=2000&publishType=00010|사라지게 되었다]]. 그러나 사람에 의해 파괴된 당정섬은 이후 '''자연에 의해''' 복원되기 시작했다. 당정섬이 있던 곳에 퇴적 작용으로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7102700209143005&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7-10-27&officeId=00020&pageNo=43&printNo=23691&publishType=00010|모래톱이 형성되기 시작한 것이다]]. 더 이상 사람이 살지 않는 당정섬에는 대신 [[고니(조류)|고니]]들이 찾아오기 시작했고, [[2010년대]] 이후로는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6376423|한강의 최대 철새 도래지가 되었다]]. 이에 [[하남시]]에서는 [[2013년]]부터 이곳에서 고니 축제를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6658400|열고 있다]]. 현재는 육지와 연결되어 배를 타지 않아도 되며 때문에 지도상엔 섬이 없는 것처럼 보인다. == 주요 시설 == * 당정섬 == 교통 == [[하남 버스 3|하남 버스 3-1]] 등으로 미사리조정경기장에 도착한 뒤 걸어간다. 네이버 길찾기에서 도착지를 [[하남시]] 당정동으로 놓으면 [[남양주시]] [[와부읍]]으로 가는 전혀 엉뚱한 결과가 나오니 주의. ~~한강을 수영해서 건널 수도 없고~~ [[하남선]] [[하남풍산역]]이 가장 가까운 전철역이다. [[분류:하남시의 법정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