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2 '''대곡역'''}}} || ||<-3> [[수도권 전철 3호선|[[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31]]]]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파일:GJLine_icon.svg|width=31]]]] [[수도권 전철 서해선|[[파일:SeohaeLine_icon.svg|width=31]]]]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수도권 전철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대화역|{{{-1 {{{#585858,#a7a7a7 대화 방면}}}}}}]][br][[백석역|백 석]][br]← 2.5 ㎞ || [[수도권 전철 3호선|{{{-1 {{{#ffffff 3호선[br](314)}}}}}}]] || [[오금역|{{{-1 {{{#585858,#a7a7a7 오금 방면}}}}}}]][br][[화정역(고양)|화 정]][br]2.1 ㎞ → || || [[문산역|{{{-1 {{{#585858,#a7a7a7 문산 방면}}}}}}]][br][[곡산역|곡 산]][br]← 1.7 ㎞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ffffff {{{-1 경의·중앙선[br](K322)[br]}}}}}}]] || [[서울역|{{{-1 {{{#585858,#a7a7a7 서울}}}}}}]]{{{-1 {{{#585858,#a7a7a7 ·}}}}}}[[지평역|{{{-1 {{{#585858,#a7a7a7 지평}}}}}}]] {{{-1 {{{#585858,#a7a7a7 방면}}}}}}[br][[능곡역|능 곡]][br]1.8 ㎞ → || ||<|4> [[문산역|{{{-1 {{{#585858,#a7a7a7 문산 방면}}}}}}]][br][[일산역|{{{#!html
}}}]][[백마역|백 마]][br]← 3.3 ㎞ ||<|2>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1 {{{#ffffff 경의·중앙선}}}}}}]][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em" {{{#ffffff '''경의선 급행 A'''}}}}}} || [[서울역|{{{-1 {{{#585858,#a7a7a7 서울 방면}}}}}}]] || ||<|2> [[행신역|행 신]][br]3.3 ㎞ → || ||<|2>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1 {{{#ffffff 경의·중앙선}}}}}}]][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em" {{{#ffffff '''경의선 급행 B'''}}}}}} || || [[용문역(중앙선)|{{{-1 {{{#585858,#a7a7a7 용문 방면}}}}}}]] || || {{{-1 시종착}}}[br][* 2023년 8월 26일 [[일산역|일산]] 방면으로 [[곡산역]] 개통 예정.] || [[수도권 전철 서해선|{{{#ffffff {{{-1 서해선[br](S11)}}}}}}]] || [[원시역|{{{-1 {{{#585858,#a7a7a7 원시 방면}}}}}}]][br][[능곡역|능 곡]][br]1.8 ㎞ →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미개통 전철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3>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파일:GreatTraineXpress_A.svg|width=31]]]] || || [[운정역(GTX)|--{{{-1 {{{#585858,#a7a7a7 운정 방면}}}}}}--]][br][[킨텍스역|--킨텍스--]][br]← 6.9 ㎞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1 {{{#ffffff GTX-A}}}}}}]][br]{{{#ffffff (미개통)}}} || [[동탄역|--{{{-1 {{{#585858,#a7a7a7 동탄 방면}}}}}}--]][br][[창릉역|--창 릉--]][br] 6.2 ㎞ → ||}}}}}}}}} ||}}}}}}}}}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미개통 일반열차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html
시·종착}}} || [[무궁화호|{{{#ffffff {{{-1 교외선[br]무궁화호}}}}}}]][br]{{{#ffffff (미개통)}}} || --[[의정부역|{{{-1 {{{#585858,#a7a7a7 의정부 방면}}}}}}]][br][[원릉역|원 릉]][br]--4.2 ㎞ → ||}}}}}}}}}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미개통 고속열차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html
시·종착}}} || [[서해선 KTX|{{{#ffffff {{{-1 서해선[br]KTX}}}}}}]][br] || ---[[홍성역|{{{-1 {{{#585858,#a7a7a7 홍성}}}}}}]] {{{-1 {{{#585858,#a7a7a7 방면}}}}}}---[br]---[[김포공항역|김포공항]]---[br]9.3 ㎞ → ||}}}}}}}}} || ||<-3>{{{#!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고양시 덕양구 대곡역, 너비=100%, 높이=100%)]}}}||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Daegok || || [[한자]] ||<-2><|2> 大谷 || || [[간체자]] || || [[가나(문자)|가나]] ||<-2> [ruby(大谷, ruby=テゴク)] || ||<-3> '''주소''' || ||<-3>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대주로107번길 71-81 ([[대장동(덕양구)|대장동]] 420-1) || ||<-3> '''관리역 등급''' || ||<-3> [[관리역]] (2급) [br] ([[능곡역]] 운전취급[* 경의선만 취급. 일산선은 대화역과 삼송역에서만 운전취급을 한다.] /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 ||<-3> '''운영 기관'''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일산선]] ||<-2><|4> [[한국철도공사|[[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120]]]] || || [[경의선]] || || [[교외선]] || || [[서해선]] ||}}}}}}}}} || ||<-3> '''개업일'''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일산선]] ||<-2><|2> 1996년 1월 30일 || || [[경의선]] || || [[교외선]] ||<-2> 1996년 1월 30일[br]2023년 말(재개업) || || [[서해선]] ||<-2> 2023년 7월 1일 || || [[수도권 전철 3호선|{{{#ffffff 3호선}}}]] ||<-2> 1996년 1월 30일 || || [[수도권 전철 경의선|{{{#ffffff 경의선}}}]] ||<-2> 2009년 7월 1일 ||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ffffff 경의·중앙선}}}]] ||<-2> 2014년 12월 27일 || || [[수도권 전철 서해선|{{{#ffffff 서해선}}}]] ||<-2> 2023년 7월 1일 || || [[무궁화호|{{{#ffffff 무궁화호}}}]] ||<-2> 2024년 예정 ||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ffffff GTX-A}}}]]-- ||<-2> 2024년 하반기 예정 || || --[[KTX|[[파일:KTX BI_White, Red.svg|width=50px]]]]-- ||<-2> 2024년 6월 예정 ||}}}}}}}}} || ||<-3> '''역사 구조'''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일산선]] ||<-2> 지상 3층 || || [[경의선]] ||<|2><-2> 지상 1층 || || [[서해선]] ||}}}}}}}}} || ||<-3> '''승강장 구조'''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일산선]] ||<-2> [[복선]] [[상대식 승강장]] || || [[경의선]] ||<|2><-2> [[복선]] [[쌍섬식 승강장]] || || [[서해선]] ||}}}}}}}}} || ||<-3> '''철도거리표'''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지축역|{{{#!html
지축 방면}}}]][[화정역(고양)|화 정]][br]← 2.1 ㎞ || '''[[일산선]]'''[br]대 곡 || [[대화역|{{{#!html
대화 방면}}}]][[백석역|백 석]][br]2.8 ㎞ → || || [[서울역|{{{-1 {{{#585858,#a7a7a7 서울 방면}}}}}}]][br][[능곡역|능 곡]][br]← 1.8 ㎞ || '''[[경의선]]'''[br]대 곡 || [[도라산역|{{{-1 {{{#585858,#a7a7a7 도라산 방면}}}}}}]][br][[곡산역|곡 산]][br]1.7 ㎞ → || || [[능곡역|{{{-1 {{{#585858,#a7a7a7 능곡 방면}}}}}}]][br][[능곡역|능 곡]][br]← 1.8 ㎞ || '''[[교외선]]'''[br]대 곡 || [[의정부역|{{{-1 {{{#585858,#a7a7a7 의정부 방면}}}}}}]][br] [[대정역|대 정]][br]1.3 ㎞ → || || [br]{{{#!wiki style="font-size: 13px;" {{{#!html
기점}}}}}}← 0.7 ㎞ || '''[[서해선]]'''[br]대 곡 || [[원시역|{{{#!html
원시 방면}}}]][[능곡역|능 곡]][br]1.8 ㎞ → ||}}}}}}}}} || ||<-3> '''유실물센터''' || ||<-3>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20]] (일산선) ☎ 031-965-8516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1132137192.jpg|width=100%]]}}} || || 대주로에서 찍은 사진 (역명판 변경 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대곡역 2022.jpg|width=100%]]}}} || || 중앙로에서 찍은 사진 (역명판 변경 후) || >'''일산선 개통과 함께 간이역으로 출발, 편리한 연계성의 환승 역사로 탈바꿈''' >대곡역은 1996년 일산선 개통과 동시에 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일산선과 경의선, 서울 교외선이 함께 하던 역사로 2004년 4월 서울 교외선이 영업을 중지하면서 철로가 이설되고 교외선 승강장은 철거되었으나 2009년 7월 수도권 전철 경의선이 개통되면서 오늘에 이르렀다. 서울지하철 3호선 등 편리한 교통 연계성을 지닌 환승 역사로 2018년 고양시에서는 대곡역의 역명을 고양중앙역으로 변경하는 제안을 하기도 하였다. 현재의 역명인 대곡역은 고양시 덕양구 대장동(大莊洞)과 내곡동(內谷洞)의 경계 지점에 있어 역명 결정 과정에 논란이 일자, 두 동명에서 한 글자씩 조합하여 ‘대곡’으로 역명이 결정되여 탄생하였다. >----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수도권 전철 3호선]] 314번[* 개정 전 5번(1996 ~ 2000) → 315번(2000~2014)],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K322번, [[수도권 전철 서해선]] S11번,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번--. 주소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대주로107번길 71-81 ([[대장동(덕양구)|대장동]] 420-1) 소재. 여러 노선이 교차하나 역무실은 하나이다. 현재 3개노선 환승역인데, 차후 추가 예정이다.[* 2024년 하반기에는 GTX-A선까지 개통된다면 경기도 최초로 4개노선 환승역이 되며, 만약 교외선이 수도권 전철에 편입된다면 5개 노선 환승역이 될 가능성도 있다.] 대곡이라는 지명이 따로 있는 게 아니고, 역 이름의 '대곡'은 '대'장동(大莊洞)과 내'곡'동(內谷洞)에서 한 글자씩 따서 붙인 것이다.[* 이는 '석'관동(石串洞)과 월'계'동(月溪洞)에서 한 글자씩 따서 붙인 [[석계역]]과 비슷하다.] 처음에는 대내역으로 개통할 예정이었다. [[수도권 전철]] [[환승역]] 중 2010년 전에 [[환승역]]이 된 마지막 [[서울특별시]] 바깥에서 환승하는 역이다. 최초는 [[금정역]]([[1994년]]), 두 번째는 [[모란역]](1996년), 세 번째는 [[부평역]]([[1999년]]), 네 번째는 [[계양역]](2007년)이고 다섯번째가 대곡역이다. 이게 중요한 이유는 2010년 전까지 수도권 전철 환승역 중 [[서울특별시]] 바깥에서 환승하는 역은 금정, 모란, 부평, 계양, 대곡 5개 뿐이었기 때문이다. 2010년이 되서야 [[병점역]](2010년), [[정자역]](2011년), [[원인재역]], [[부평구청역]], [[회룡역]](이상 2012년), [[기흥역]], [[수원역]](이상 2013년) 등 비서울 수도권 전철 환승역이 대거 추가되기 시작하였다. == 역 정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대곡역 안내도.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45deg, #77C4A3 50%, #8FC31F 50%)" '''{{{#ffffff 역 안내도 ([[https://drive.google.com/file/d/1khsl0jWAJZ-r5npRbt4UxeYAJ4mZ3_7E/view?usp=drive_link|{{{#ffffff 크게보기}}}]])}}}'''}}} || || 위 안내도는 2023년 7월 1일에 [[수도권 전철 서해선|서해선]]이 연장되기 전에 촬영되었지만 기본적인 역 구조는 서해선 연장 이후에도 동일하다. 서해선은 맞이방을 3호선, 경의중앙선과 공유하며 승강장도 기존의 경의중앙선 승강장 중 일부를 활용하기 때문인데 [[GTX A선]]이 개통되고 신 역사가 완공되어야 역 구조가 크게 바뀔 것으로 보인다. 다만 3호선 맞이방 운임구역에 화장실이 포함되도록 변경되었으나 위 안내도에서는 미반영되었으며 3호선 승강장 또한 반영되지 않았다. || [[수도권 전철 3호선]] 개통과 함께 일산선과 경의선, 교외선의 환승역으로서 개설된 역이다. 가칭 역명은 '대내(大內)'역이었으나 최종적으로 현재의 이름이 되었다. 경의선과 교외선 역사는 따로 없고 일산선 역사를 함께 쓰고 있다. 이 역은 서울본부 대곡관리역으로, 2급 관리역이다. 보통역으로 격하되기 전 관리역 때는 가장 많은 역을 관리하고 있는 [[관리역]]이었다. 대곡역 관할 역만 20개. 그러나 2021년 7월 30일 부로 대곡관리역이 [[문산역|문산관리역]]으로 합쳐지면서 대곡역이 관리하던 모든 역이 문산관리역으로 넘어갔다. 이로 인해 대곡역이 관리하던 [[일산선]] 역들이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고 있어 무리한 통합이라는 평이 나오고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인지 곧 대곡관리역을 부활시킨다는 얘기도 있었다. 대곡관리역이 부활한다면, 대곡역이 문산관리역으로 넘어감으로서 [[수색역|수색관리역]] 관할로 바뀐 [[행신역]]과 [[강매역]]이 원래대로 대곡관리역 관할로 바뀔지는 미지수이다. 결국 2022년 6월 30일 부로 다시 대곡역이 관리역으로 승격되었지만, 옛 소속역들을 다 가져오지는 못하고 [[일산선]]과 [[교외선]]만 가져왔다. 능곡역은 문산관리역 관할로, 행신역과 강매역은 수색관리역 관할로 존치되었다. === [[수도권 전철 3호선]] ([[일산선]]) === 일산선 대곡역은 본래는 '내곡역'과 '대장역'의 2개 역으로 건설하려는 계획을 수정해서 하나의 역으로 합친 것이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1031500209214001|「전철 일산선 착공」, 1991-03-15, 동아일보]]에 확인함.] 내곡역은 [[경의선]]과, 대장역은 [[교외선]]과 별개의 환승역으로 만들 계획이었던 듯. 경의선과 교외선을 넘는 고가 형태로 역이 건설되어 있고 역무시설은 승강장 아래에 위치해 있다. 안산선 역과 느낌이 비슷하다. 지금은 역명판이 파란색 바탕에 대곡역이라 쓰인 것으로 바뀌었다. 그런데 일산선 승강장 역명판은 안 바뀌었고 특이하게 지상역사인데 지하용 타원표지를 쓰고 있다. 인근 역세권은 허허벌판이며, 출구는 5개가 있다. 인근 마을과 주차장이 있는 5번 출구가 가장 이용률이 높다. 1~4번 출구는 2층 높이에 중앙로에 나 있고, 5번 출구는 1층 높이에 [[대장동(덕양구)|대장동]] 방면으로 나 있으며 주차장이 딸려 있다. 1~4번 출구와 연결된 중앙로 구간은 자동차 및 버스들이 상당히 고속으로 주행하니 버스 정류장으로 이동할 때와 탑승 대기 시 보행자의 주의가 필요하다.(특히 야간에 더욱 주의해야 한다.) [[고양 BRT]] 개설 전에는 [[일산IC]] 인근부터 고양경찰서까지 신호가 없어서 자동차 및 버스들의 과속이 현재보다 더욱 심했다. 고양 BRT 대곡역 정류장이 생기면서 횡단보도를 만듦에 따라 신호가 생겼지만 버튼을 눌러야 초록불이 되어 횡단할 수 있다. 중앙로 쪽 출구는 이용률이 너무 낮아서 201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언제나 어둑어둑하고 먼지가 수북히 쌓이는 등 관리가 제대로 안 되어 있었다. 경의·중앙선 개통 후 능곡 등 대곡역이 그나마 가까운 시가지에서 중앙로 쪽 출구를 이용하기 시작하면서 사람이 좀 늘었고, 언제부턴가 자전거 주차장도 생기고 출구 도색도 새로 하는 등 관리가 제대로 되기 시작했다.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경의선]]), [[교외선]], [[수도권 전철 서해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planar.co.kr/1281657717.jpg|width=100%]]}}} || || [[경의선]] 구 역사 승강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Korail_Seoul_Gyooe_Line_Daegok_Station.jpg|width=100%]]}}} || || [[교외선]] 승강장 터. 3호선 대화 방면 승강장에서 열차의 제일 후미 방향으로 가면 창문 밖으로 보인다. || [[능곡역]]에서 분기하여 나란히 오던 [[경의선]]과 [[교외선]]이 서로 갈라지는 지점이었고, 이에 따라 경의선과 교외선에도 일산선 개통과 동시에 대곡역을 추가하고 여객 취급을 시작했다. 대피선은 없고 임시승강장 같이 단선철도 옆에 보도블록으로 플랫폼만 깔아둔 형태였고, 역사는 3호선 대곡역 1층을 사용했다. 여기서 경의선 및 교외선 승차권을 발매하고, 대합실 및 화장실이 마련되어 있었다. 역사는 3호선의 것을 공유했다. [[파일:20190422_100924.jpg]] 수도권 전철 차내 노선도에도 대곡역에서 경의선 및 교외선 일반열차와 환승이 된다는 표시가 있었다. 저 노선도에서 역명의 로마자 표기는 2000년 변경 전의 표기법으로, 대곡역의 표기는 Taegok이 맞다. ㄱ 받침을 g로 표기한 것을 보아 1984년 개정 전의 문교부 표기법과 혼동한 것으로 보인다. 자세한 내용은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참조. 2009년 7월 1일에 [[수도권 전철 경의선]] 1단계 공사가 완료되어 [[수도권 전철 3호선]]과 환승할 수 있게 되었다. 이 때에도 역사는 따로 만들지 않고 3호선의 것을 그대로 사용한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 개통으로 공덕 ~ 용산 구간이 직결된 후 [[서울역]]으로 가는 지선 열차의 대부분은 대곡역 착발로 대거 변경되어 [[문산역]] 착발 열차가 상당수 축소되었으나, 현재는 평일에는 모든 열차가 [[문산역]]으로 연장되면서 대곡역 착발이 아예 없어졌고, 주말과 휴일에는 아침 시간과 야간을 제외하고는 모두 대곡역 착발이다. [[옥수역]]과 환승 노선을 공유하게 되는데, 시간대 면으로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이 시간을 덜 걸리고 정거장 개수도 이 쪽이 유리하다. 하지만 열차를 놓치면 배차 간격 때문에 거기서 거기이다. [[교외선]]이 지나가기도 하지만 2004년 4월 1일에 여객운행이 중단되어 [[교외선]] 승강장은 쓸 일이 없다. 2008년 3월 [[교외선]] 대곡역 ~ [[대정역]] 간 철로를 이설하면서 교외선 승강장이 철거되었다. 훗날 [[교외선]]의 복선 전철화를 대비해서인지 고상홈 승강장 터와 복선 노반은 마련해 놓은 상태이다. 교외선이 2023년 말 재개통하면 회차선 문제로 당분간 이 역이 시·종착역이 될 예정이다. 서해선은 이 역에서 [[김포공항역]]을 거쳐 [[소사역]]까지 가는 [[수도권 전철 서해선]] 열차가 운행되며, 2016년 착공하여 2023년 7월 1일에 개통 하였다. 착공이 결정되자 [[덕양구]] 주요 지역에 "[[김포국제공항]] 20분, 강남 1시간" 이라는 현수막이 걸렸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8004_16014_320.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106773176_9fcdea24_20151222_143327.jpg|width=100%]]}}} || || 대곡소사선 기공식 || 2015년 12월 22일, 대곡역 5번 출구에서 [[대곡소사선]]의 기공식이 거행되었다. 2018년 9월부터 2019년 2월까지 대곡소사선 공사에 따른 대곡역 선로 이설 공사가 있었다. 이 때문에 [[곡산역]]과 대곡역 사이의 선로에 전류 공급을 차단하여 일시적인 [[절연구간]]이 생성되었다. 경의선 급행 안내방송의 경우 [[얼씨구야]]와 함께 3호선, 서해선과의 환승 안내방송이 송출된다. 특히 서해선 노선 공용 구간의 경우, [[능곡역]]에는 경의선 급행이 정차하지 않으므로 가장 가까운 환승역인 대곡역에서 송출되는 듯 하다. 추후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과 [[수도권 전철 서해선|서해선]] 공용구간[* 일산-능곡 구간]에서 하행[* 용문/서울역/원시 방면] 열차를 잘못 탔을 경우 이 역이 환승 가능한 사실상 마지막 역이 될 수 있다. 다음역인 [[능곡역]]에서 환승할경우 계단을 이용하기 때문에 이 역이 사실상 환승 가능한 마지막역이다. 다음역인 능곡역을 마지막으로 서울역/용문방향은 [[행신역]]으로, 원시방향은 [[김포공항역]]으로 갈라져 나가며 두 노선 모두 해당 구간에서의 배차간격이 다소 비슷하기 때문에 이 역에서마저 환승하지 못했을 경우 곤란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운영기관 측에서도 인지하고 있는지 기관사도 도착 전 해당 내용을 언급 할 예정이다.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TX_A_Line_DaegokSTN_1.jpg|width=100%]]}}}|| || {{{#ffffff GTX-A 대곡역 투시도}}} || GTX-A도 대곡역을 거쳐가기로 했다. [[킨텍스역]]-대곡역-[[연신내역]]-[[서울역]]-[[삼성역(GTX)|삼성역]]-[[수서역]]-[[성남역]]-[[용인역(GTX)|용인역]]-[[동탄역]]을 잇게 될 예정이다. GTX가 완공된다면, [[수도권 전철 3호선]]과 [[경의선]] 승객이 [[강남구]]로 갈 때 이곳에서 갈아타고 갈 수 있다. [[일산선]] 대화방향 승강장 쪽에 GTX 역이 생길 것으로 보인다. GTX 승강장은 지하 8층에 위치할 예정. === 환승 === 수도권 북서부의 유일한 [[환승역]]이지만, [[개념환승]]이 될 수 있었던 이 역의 [[수도권 전철 3호선|3호선]]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수도권 전철 서해선|서해선]] 환승을 [[막장환승]]으로 만들어 놨다고 [[철도 동호인]]들에게 대차게 까이고 있다. 하지만 [[개념환승]]을 했다가는 들어갈 천문학적인 예산과 더불어, [[고양시]] 교통의 중심 축인 [[중앙로(고양)|중앙로]]를 이설해야하는 큰 문제가 생긴다. 더 나아가서 다른 방안을 고려하자니 대피선에 전차선까지 설치하는 바람에, 결국 [[답이 없다]]. 그래서 지금처럼 [[수도권 전철 3호선|3호선]]에서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수도권 전철 서해선|서해선]]까지 오고 가는 데 2회전 하게끔 만들었다. 정말 빨리 뛰면 2~3분 만에 이동이 가능하지만, 그냥 걸어간다면 최소 5분 이상 걸리는 환승통로다. 심지어 3호선 승강장에서 환승통로까지 내려가는 길이 에스컬레이터 뿐이라서 경의선 급행 시간쯤에 도착시 초조해하며 에스컬레이터로 내려간 뒤 전력질주하게 되는 역이기도 하다. 그리하여 주로 [[고양시]](일산)나 [[파주시]] 시민이 [[서울역]]이나 [[파주시]] 혹은 일산 지역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수도권 전철 서해선|서해선]] 역세권으로 가기 위해 대곡역에서 환승한다. 이 환승객이 대폭 증가하고 있는 2010년 하반기부터 [[한국철도공사]]에 대한 비난 민원이 올라오고 있다. 특히 파주 주민들이 [[수도권 전철 3호선|3호선]]에서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수도권 전철 서해선|서해선]]으로 넘어가고 싶어도 도저히 배차 시간을 맞출 수가 없다. 그래도 혼잡도가 160%대에 이르는 것을 보면 수요가 없는 것은 아니다. 배차간격이 문제일 뿐. 다만 이는 미래를 생각하면 오히려 의도치 않은 선견지명일 수 있다. 일단 위의 설명대로 [[고양시]] 교통의 중심 축인 [[중앙로(고양)|중앙로]]를 이설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았다는 것이 근시일 내의 장점. 또한 언급된 바와 같이 이곳을 지나기로 계획되어 있는 GTX, 대곡소사선에 교외선까지 모조리 복선 전철화된다면 이 역의 환승객 수는 상상을 초월할 지 모르므로, 이쯤 되면 [[군자역]]처럼 환승객이 지나치게 많아질 것을 대비하여 환승 거리를 늘리고 동선을 분리하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다. [[수도권 전철 3호선]]에서 내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수도권 전철 서해선]]으로 가는 환승통로를 따라서 가면 경의·중앙선/서해선 내려가는 쪽에 의자가 있어 추운 날씨에는 여기서 경의·중앙선/서해선의 막장 배차간격을 견딜 수 있다. === 신 역사 계획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TX_A_Line_DaegokSTN_2.jpg|width=100%]]}}} || || 신 역사 조감도 || [[대곡소사선]] 계획에 따라 신 역사 착공이 예정되어 있다. 기존 [[수도권 전철 3호선|3호선]] 역사를 헐고 새 통합 역사로 건축할 예정이다. 조감도에는 기존 3호선 역사가 보이며, GTX 역사를 신축하는 자리도 기존 역사 바로 옆이다. 역사 바로 위에 3호선 승강장이 있어 기존 역사와 신 역사를 연결만 해 둘 수도 있다. 승강장은 그대로 유지하지만 지금 있는 역사를 헐어버리기 때문에, 환승통로가 바뀔 예정이다. 보면 최소한 신 대곡역은 [[수도권 전철 3호선|3호선]] 승강장보다도 높이 올라간 [[선상역사]]인 6층 이상으로 올라가는 모양이다. === 미래 구상 === [[난지도]] 쪽으로 이어지는 [[홍대입구-통일전망대선]] 계획도 있다. 홍대입구-통일전망대선은 이 역에서 [[경의선]] 본선과 합류한 뒤 [[일산역]]까지는 경의선과 선로를 공유하며, 일산역에서 분기하여 [[오두산통일전망대]] 방면으로 가게 된다. 이렇게 예정노선까지 모두 개통되면 [[수도권 전철 3호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수도권 전철 서해선]],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GTX]], [[교외선]]([[수도권 전철]] 체계 포함시), [[홍대입구-통일전망대선]]까지 총 6개 노선 [[환승역]]이 된다. === 역명 변경? === 2018년 [[고양시]]에서 '고양중앙역'으로 역명 변경 추진을 했다.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 서북 방면의 환승 중심역이 될 가능성이 높아 사전에 역명을 변경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9/27/0200000000AKR20180927126800060.HTML|기사]] 다만 그 후 역명 변경에 대해서는 소식이 없다. 2021년 8월 [[고양시]]가 고양대곡역으로의 역명 변경을 추진 중이다. 시민 의견을 수렴한다고 하는데, 그동안 [[고양시]]의 행정력 수준을 보면... [[고양시]]에서 대곡역을 고양역으로 역명 변경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며, 2023년 1월 17일부터 1월 27일까지 시민 의견을 수렴한다. [[https://m.dcinside.com/board/monorail/353028|#]] == 역 주변 정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b0126584_51f8b17a384b3.jpg|width=100%]]}}} || || 대곡역에서 내려다본 근처 벌판의 모습 || 역 주변에 있는 건 논과 밭이 끝. 그래도 출구는 5개나 있다. * 1번 출구 - 대림아파트, 양우아파트 이 두 아파트가 대곡역 승하차 수요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1번 출구 근처에 있는 샛길을 따라 걷다 보면 아파트가 나온다. 비발디, 풍림 등 나머지 토당동 아파트들은 [[능곡역]]이 더 가깝다. * 2번 출구 - 버스정류장(화정방면) 3번 출구로 나오면 길을 건널 수 없으므로 화정방면 BRT를 이용하려면 반드시 2번 출구로 나와야 한다. 인천국제공항가는 고양시 공항버스 3300번 대곡기차역에 무정차 통과 했었는데 일산IC 직통운행으로 인해 고양시 공항버스 3300번 대곡기차역에 지나가지 않고 백석전철역 (요진와이시티)에서 정류소 변경되었다. * 3번 출구 - [[중앙로(고양)|중앙로]] 가장 쓸모 없는 출구. 그나마 출구 앞에 있는 엘레베이터를 이용하면 주차장으로 갈 수 있기는 한데 5번 출구로 놔두고 굳이 이곳을 이용할 이유가 없다. * 4번 출구 - 버스정류장(일산방면) 1번 출구로 나오면 길을 건널 수 없으므로 일산방면 BRT를 이용하려면 반드시 4번 출구로 나와야 한다. 그런데 지하철이나 버스나 대곡역 다음 역/정류장은 [[백석역]]이라 여기서 버스로 갈아탈 이유가 없긴 하다. 또한 출구를 나와 쭉 걷다 보면 아직 개통되지 않은 진출입로가 있는데 [[39번 국도]]의 국도대체우회도로 사업(토당~원당~관산, [[신호국로]])에 따라 건설중인 교각이다. [[2011년]]까지 공사를 어느정도 하다가 [[고양시]]에서 국대도 용지매수 보상 예산을 주지 않아(국도대체우회도로 사업은 국비 50% + 지방비 50%를 내야 한다.) 공사가 멈췄다. 이 구간은 [[경남기업]]이 건설하다가 [[성완종]]의 [[자살]]로 회사가 망했는데, 경남기업을 [[SM그룹]]에서 인수하고 공사를 재개한 상태. 그러나 고양시에서 여전히 국대도 사업에 대해 예산을 지급하지 않아 공사가 매우 느리다. 원래 [[2004년]] 개통 예정인 도로였는데 17년이나 지난 [[2021년]] [[12월 31일]]이 되어서야 개통하였다. * 5번 출구 - 한국농어촌공사, 버스정류장(072번) 5번 출구 앞 버스정류장에는 마을버스 [[고양 버스 072|072번]] 딱 한 대만 선다. 또한 왼쪽 작은 길을 따라 10분 정도 걸으면 대장동 마을이 있고, 마을 뒤쪽으로 [[군부대]]가 3개 정도 모여 있다. 길 따라 가다가 곧바로 군부대 [[위병소]]를 맞닥뜨리게 되니, 이쪽이 자대인 군인이 아니라면 생각 없이 걷지 말 것. 멀리 있긴 하나 [[한국수자원공사]] 경기서북권지사도 있다. 5번 출구에도 쓰여있는 목적지이기는 하고 출퇴근시간에는 여기서 수자원공사의 통근버스가 운행하지만 걸어가기에는 매우 멀기 때문에 걸어갈 생각이라면 조금 더 가까운 곡산역을 추천한다. 군부대와 한국수자원공사 사이에 있는 땅은 [[네이버 지도]]와 [[카카오맵]]에서 블러 처리돼 있고 대신 [[구글 지도]]와 [[구글 어스]]에서는 표시되는 곳이 있는데, [[국가정보원]] 산하 [[대북방송]] 송출 지점이다. [[고봉산]] 꼭대기에 있는 철탑은 [[북한]]에서 보내는 대남방송에 대한 [[방해전파]]를 쏘는 곳이고, 대곡역 근처에 있는 [[국가정보원]] 방송 거점은 [[난수방송/대한민국]]을 송출하는 곳으로도 알려져 있다. 그 외에도 좀 떨어져 있는 백석역이나 [[곡산역]] 쪽으로 가는 중간에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일산IC]], 내곡동 소재의 (송출이 중단된) [[SBS 러브FM]]의 일산[[중파방송|AM]]송신소가 있다. 향후 [[백석-신사간 도로]]의 3단계 구간(백석-화정)이 이 역을 지나갈 예정이고, 실제로 경의·중앙선 전철화 당시 지하차도도 만들었으나, 이해관계와 보상 문제가 얽히는 바람에 여태껏 착공을 못 한 상태. 향후 역세권 사업이 본격 추진되거나 할 때에야 착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대곡역세권 개발 사업 === 오랫동안 거론되던 사업이지만 단 한번도 삽을 뜬 적이 없다. 왜 삽을 안뜨는지, 기업 유치는 왜 안하는지, 시청은 왜 유치를 안하는지 [[어른의 사정|아무도 모른다.]] 근본적인 문제는 '너무 뻔히 보이는 개발호재 지역'이라는 것이 아닐까 싶을 정도. 고양시 관내 최초 환승역이라는 타이틀과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중앙로(고양)]]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GTX-A선]] + [[수도권 전철 3호선|3호선]]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 + [[수도권 전철 서해선|서해선]] + [[서울 경전철 서부선|서부선]] + [[교외선]]이라는 누가 들어도 입을 딱 벌릴 교통편을 갖추고 있다. 도로와 철도망을 이용해 서울, 인천을 포함한 경기 서부지역 어디든 갈 수 있는 사통팔달의 입지를 가졌다. 이 노선이 전부 개통하면 [[한양도성]]([[서울역]], 광화문), [[서울특별시/강남|강남]]([[센트럴시티]], [[코엑스]] 등), [[여의도]], [[일산신도시]], [[김포국제공항]], [[의정부시]], [[부천시]], [[안산시]], [[홍대거리]], [[신촌]], [[용산역]], [[청량리역]], [[상봉역]], [[수서역]]을 모두 전철 1번에 갈 수 있다. 특히 특히 개통됐거나 될 예정인 3호선, 경의중앙선, 서해선, GTX A선만 해도 벌써... 서울 3도심 중 2개인 한양도성과 강남, 서울의 5대 관문 철도역 중 [[영등포역]]을 제외한 4개, 시외버스의 중심인 센트럴시티, 최대의 업무/상업 구역인 광화문, 홍대, 신촌, 테헤란로, 영동대로(코엑스), 국내선 전용 공항인 김포국제공항 등으로 1번에 꽂아준다. 한국 내에서 서울특별시 밖에서 이 정도의 교통 입지를 한 손에 꼽을 정도로 적다고 봐도 무방하다. 비교할 만한 대상은 [[수원역]], 계획 상으로 따지면 [[판교역(성남)|판교역]]-[[성남역]], [[인덕원역]], [[부평역]], [[금정역]], [[초지역]], [[하남시청역]] 정도 뿐이다. 특히 대곡역처럼 시골인 곳이 이렇게 어마어마한 교통망을 가진 사례는 전세계적으로도 많지 않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b0126584_51f8b126f1adb.jpg|width=100%]]}}} || || 대곡역 역세권 개발 계획도 || 꿈은 거창하지만, 아직은 불투명하다. 대곡역복합환승센터 + [[역세권개발사업]]을 반영한 [[조감도]]. [[고양시]]와 [[국토교통부]]에서 추진을 시도하지만, [[대곡소사선]] 착공이 계속 밀려 그나마 2016년 초에 착공 소식이 들리고, [[대한민국]] [[부동산]] 경기가 한참 전부터 영 좋지 않은 데다 [[그린벨트]] 해제부터 난관에 부딪혀서 진전이 없다. [[2015년]] 기준 [[그린벨트]] 해제가 안 됐고, 그냥 그린벨트 내에 소규모 취락을 지을 수 있게끔 그린벨트 관련 법령이 바뀌어서 몇몇 소규모 촌락이 형성되고 있다. 다만 계속해서 이 동네가 대규모 [[떡밥]] 부지다 보니 여기에 뭘 어떻게 해 볼 사람이 없어서 개발이 안 될 뿐. 그린벨트의 경우 10년 이상 토지거래 허가 구역으로 묶여 거래가 쉽지 않다. 그린벨트의 경우 3.3m^2 에 100이하도 흔히 보이며 수도권 역세권 치고는 가격이 낮다. 다만 [[곡산역]] ~ 대곡역 ~ [[대정역]] 구간에 [[부동산]] 업자들은 드글드글하다. 이 근방에 있는 건물들은 죄다 1층이 부동산 업자들 사무실이다. 물밑에서 기존 땅주인들과 짜고 부지매입 같은 걸 미리 하는 모양이다. 심각한 건 주변 그린벨트 해제시 3호선 역세권이며, 서울과 일산 양쪽으로 접근이 쉽다는 메리트로 큰 이익을 볼 수 있다는 생각 하나만 가지고 한때 평당 800을 호가하는 토지도 생겨 났었다. 허나 이 값이 대곡의 지대를 대표한다고 볼 수 없다. 국가에서 개발을 하는 토지 보상가는 강제 수용보상이라 높은 가격을 받기 어려워 일반적인 가격이라 볼 수 없다. GTX 개통을 앞두고 개발이 지연되고 있는데 이런 관점에서 지대가 높아서 개발 할 수 없다고 볼 수는 없으며 정치적인 이해관계로 방치 중인듯하다. 이리된 이유는 당시 역이 생기고 경의선 환승 개발 소식이 나오기 까지 여러 가지 찌라시가 돌고 따라서 떳다방이나 주변 투기식 땅 매입이 집중되었기 때문이다. 물론 그것도 2008년까지. 더 심각한 건 주변 그린벨트 해제시 3호선 역세권이며, 서울과 일산 양쪽으로 접근이 쉽다는 메리트로 큰 이익을 볼 수 있다는 생각 하나만 가지고 평당 800을 호가하는 토지도 생겼다. 하지만 부동산 위기 후 개발 소식은 쏙 들어갔으며 국가에서 개발을 하기에는 이미 토지 보상가가 미친듯이 올라 낮은 가격은커녕 땅 주인도 안 파는 사태가 발생하였다. 최후에 매도했던 사람만 노났고 매입했던 사람은 지금까지 지옥 구경 중. 일단 사업 예정서에는 [[2018년]] 착공, [[2023년]] 완공 예정이지만, 이루어질지는 미지수. 물론 [[2023년]] 현재 아무런 진척도 없다. 사실 대곡역 일대 지역은 개발이 불가능하다.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 + 대곡역 근처 [[군부대]]로 인한 [[군사보호구역]] + 지속적인 [[철도]]계획으로 인한 [[철도보호지구]] 지정 + [[행주대교]] 밑에 있는 신평 [[한강]] 수중보로 인한 [[상수원보호구역]][* 신평동 수중보는 [[고양시]]와 [[파주시]]의 공업용수와 농업용수를 책임지고 있다. 고양시, 파주시의 주거용 일반 상수도는 서울처럼 [[팔당댐]]에서 끌어 온다.] + [[국가정보원]] 운영 [[대북방송]] 송출 시설로 인한 국가정보원 규제까지 5중 규제가 걸려 있다. 이런 곳에 역세권개발사업을 한다는 것 자체가 애드벌룬 식 [[사기]]에 가깝다. == 일 평균 이용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수도권 전철 3호선|[[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25]]]]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파일:GJLine_icon.svg|width=20]]]] || {{{#ffffff '''비고'''}}} || ||<^|1><-3>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1996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1996년 || 1,147명 || || || 1997년 || 1,042명 || || || 1998년 || 1,088명 || || || 1999년 || 1,144명 || || || 2000년 || {{{#!wiki style="margin: -0px -10px" 자료없음}}} || {{{#fff,#1f2023 비고}}} || || 2001년 || 1,436명 || || || 2002년 || 1,629명 || || || 2003년 || 1,895명 || || || 2004년 || 1,477명 || [* 여기까지는 [[http://info.korail.com/mbs/www/jsp/board/list.jsp?boardId=9863289&id=www_060700000000|철도통계연보]]의 자료를 반영하였다.] || || 2005년 || 1,584명 || || || 2006년 || 1,595명 || || || 2007년 || 1,575명 || || || 2008년 || 1,602명 || || || 2009년 || 1,689명 || ||}}}}}}}}} || || 2010년 || 1,490명 || || || 2011년 || 1,663명 || || || 2012년 || 1,803명 || || || 2013년 || 2,116명 || || || 2014년 || 2,316명 || || || 2015년 || 2,539명 || || || 2016년 || 2,706명 || || || 2017년 || 2,869명 || || || 2018년 || 2,999명 || || || 2019년 || 3,176명 || || || 2020년 || 2,587명 || || || 2021년 || 2,772명 || || || 2022년 || {{{#ef7c1c 3,431명}}} || || ||<-3> {{{#ffffff '''출처'''}}} || ||<-3> [[https://info.korail.com/info/selectBbsNttList.do?bbsNo=425&key=867|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br]수송통계 자료실]] || }}} * [[일산선]] 구간뿐만 아니라 [[수도권 전철 3호선]] 구간 전체에서 승객이 가장 적은 역이다. [[일산선]], 더 나아가 고양시 내의 유일한 환승역임에도 불구하고 승객이 가장 적다. 한동안 [[지축역]]보다는 이용객 수가 많았으나, 지축역이 주거지 개발로 인해 코로나19에도 불구하고 2020년에 승객이 2배 가까이 증가하면서 지축역에 밀렸다. * [[수도권 전철 경의선|경의선]]이 [[공덕역]]으로 연장된 [[2012년]]부터 이용객이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그래 봤자 1,500명대에서 2,000명대이지만, 상승률만 보면 거의 두 배에 가깝다. 실제로 꾸준히 한 해마다 200~300명씩 늘어나면서 2017년 기준으로는 3,000명을 코앞에 두고 있다. * 승하차량은 [[대장동(덕양구)|대장동]], 내곡동 주민들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정작 이 지역에서 연결되는 버스는 [[화정역(고양)|화정역]], [[능곡역]]으로 갔으나, [[고양 버스 073|073번]]이 대곡역으로 회차점을 변경하여 버스로 이들 마을에 갈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대부분은 차를 타고 대곡역에 와서 주차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 실질적으로 대곡역은 자체 수요보다 경의선과 3호선 간 환승 역할이 제일 크다. 3호선 연선에서 환승해서 경의선으로 넘어가는 역할을 주로 한다. 한국철도공사 자료에 의하면, 2018년 기준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train&no=1091619|61,494명]]이 환승한다. 대곡역 승하차객도 버스 등의 다른 교통수단으로 환승하는 수요가 대부분이다. == 승강장 == === [[수도권 전철 3호선]] ([[일산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aegok-pf(KORAIL3).jpg|width=100%]]}}} || || [[수도권 전철 3호선]] 승강장 || 일산선 승무사원의 교대를 위해 12량 대응으로 되어 있다. ||<-4> [[백석역|백석]] || || {{{#ffffff 2}}} || ↓ || ↑ || {{{#ffffff 1}}} || ||<-4> [[화정역(고양)|화정]] || || {{{#ffffff 1}}} ||<|2>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3호선]] || [[백석역|백석]]·[[정발산역|정발산]]·[[주엽역|주엽]]·[[대화역|대화]] 방면 || || {{{#ffffff 2}}} || [[불광역|불광]]·[[종로3가역|종로3가]]·[[교대역(서울)|교대]]·[[오금역|오금]] 방면 || 2023년 현재, 승강장은 굉장히 어둡고 침침한 분위기이지만 2012년까지는 굉장히 밝고 채광이 잘 되는 역이었다. 그런데 겨울에는 열 손실이 크고 여름에는 채광으로 역사 내 온도가 높아져 2012년 말에 선로 윗 부분 유리에 채광이 안 되도록 철판을 깔아 놓았다. 2012년 전 사진만 봐도 유리에 반사되는 열차 모습이 예쁘게 보였을 정도였다. 2017년까지 [[수도권 전철 3호선]] 역들 중에서 스크린도어가 없었던 역이었다가 2017년 8월 말부터 공사를 시작하여 2018년 2월까지 공사를 완료하여, 일산선 및 수도권 전철 3호선 구간 중 가장 마지막으로 스크린도어가 완공되어 작동 중에 있다. 백석 ~ 대곡 ~ 화정 사이가 넓은 평지라서 자살 사건이 종종 일어나고 열차 사망 사고도 일어난 바 있다. [[수도권 전철 3호선]] 역들 중 유일하게 2분할 스크린도어(유리창이 상부, 하부로 나뉘어져 있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역이다. [[대방역]]에서 폭염으로 스크린도어가 파손된 사고 후 코레일 역사에 설치되는 스크린도어는 모두 2분할로 설치되고 있다. 실제로 일체형 스크린도어는 2분할 스크린도어에 비해서 폭염과 한파에 매우 약하다. [[수도권 전철 3호선]]에서 운행하는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한국철도공사 소속 열차]]의 승무 교대는 이 역에서 이뤄진다. 일산선을 운행하는 열차의 기관사들은 이 역에 있는 일산승무사업소 소속이기 때문이다.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수도권 전철 서해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img_19_171_6.jpg|width=100%]]}}} ||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승강장. 스크린도어 설치 전 사진으로, 현재 내선 쪽 승강장은 서해선 승강장으로 사용 중이다. || ||<-8> [[곡산역|곡산]] || || ↑ || {{{#ffffff 4}}} || {{{#ffffff 3}}} || ↑ || ↓ || {{{#ffffff 2}}} || {{{#ffffff 1}}} || ↓ || ||<-8> [[능곡역|능곡]] || || {{{#ffffff 1}}} || [[파일:GJ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완행·{{{#red 급행}}} || [[행신역|행신]]·[[용산역|용산]]·[[서울역]]·[[지평역|지평]] 방면 || || {{{#ffffff 2}}} ||<|2> [[파일:Seohae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서해선]] ||<|2> 완행 || [[능곡역|능곡]]·[[김포공항역|김포공항]]·[[소사역|소사]]·[[원시역|원시]] 방면 || || {{{#ffffff 3}}} || 당역종착·--[[곡산역|곡산]]·[[백마역|백마]]·[[풍산역|풍산]]·[[일산역|일산]] 방면-- || || {{{#ffffff 4}}} || [[파일:GJ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완행·{{{#red 급행}}} || 당역종착·[[탄현역|탄현]]·[[운정역|운정]]·[[금촌역|금촌]]·[[문산역|문산]] 방면 || 2017년 중반에 [[스크린도어]] 공사가 끝나 가동되고 있다. 2021년 중반까지 경의·중앙선은 타는 곳 2, 3번을 주로 사용했지만 2023년 7월에 [[수도권 전철 서해선]]이 연장 개통되어 기존 경의·중앙선은 1·4번 승강장을 사용하고 2·3번 승강장은 서해선이 사용한다. 2021년 11월 23일에 경의·중앙선 상행은 4번으로 변경되었고, 12월 9일에 하행도 1번으로 변경되었다. [[https://m.dcinside.com/board/monorail/308291|참조]] 서해선이 개통하는 2023년 7월 1일부터 8월 일산 연장 전까지 임시 시종착역으로 기능한다. 수도권 전철 서해선 건설로 인해 대곡역의 회차선을 서해선 전용으로 넘겨주게 되면서, 2022년 들어서는 경의선 [[서울역]] ~ 대곡 셔틀 열차를 [[백마역]] X자 건넘선 및 회차선을 통해 회차하고 있다. 이로써 2010년 이후 12년 만에 백마역 회차가 등장했다. 즉 대곡 ~ 백마 구간을 [[공차회송]]한다. 2023 수도권 전철 서해선 개통 후 [[서울역]] ~ 대곡 셔틀이 계속 존치될 지는 의문이다.[* 백마역까지 공차회송할 바에야 [[서울역]] ~ [[임진강역]]까지 굴리는 것이 이득이다. 운영 비용 문제 때문이라면 하다못해 [[일산역]]에 가면 본선에 지장을 주지 않고 회차할 수 있는 선로가 있으며 평일과 같이 일산/문산행으로 행선지를 통일할 수 있다. 운행소요시간 증가 문제는 크지 않고 정 수틀리면 급행으로 운행해서 구간 연장에 따른 운행시간을 상쇄시키면 된다. 개통 초기 평일의 대곡행 열차는 이런 식으로 [[문산역]]까지 늘어났다. 정확히는 개통초기 평일 문산차량기지에서 대곡역까지 공차회송하던 첫막차들에 한해 문산행/문산 출발로 연장되더니 2018년 즈음 나머지 대곡 착발 완행열차들이 일산 착발 급행열차로 전환되었고, 2019년쯤 문산 착발 급행열차로 연장되었다.] 그러나 서울역 ~ 대곡 셔틀이 계속 존치된다면 대곡역의 회차선을 경의선이 사용할 수 없으므로 백마역 또는 일산역에서 회차할 것이다. 이 역에서부터 다음역인 능곡역까지는 선로가 복복선으로 되어 있어 서해선과 경의중앙선은 선로와 승강장을 서로 공유하지 않는다. 대곡역 이북 구간은 일산역까지 서해선과 경의중앙선이 [[안산선]]/[[수인선]] [[오이도역]]~[[한대앞역]] 구간처럼 서로 선로 및 승강장을 공유할 예정이다.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TX_A_Line_DaegokSTN_3.jpg|width=100%]]}}}|| || {{{#ffffff 대합실 예상도}}} || ||<-4> ↑ [[킨텍스역|킨텍스]] || || {{{#ffffff 2}}} || ㅣ || ㅣ || {{{#ffffff 1}}} || ||<-4> [[창릉역|창릉]] ↓ || || {{{#ffffff 1}}}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 [[서울역]]·[[수서역|수서]]·[[용인역(GTX)|용인]]·[[동탄역|동탄]] 방면 || || {{{#ffffff 2}}}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 [[킨텍스역|킨텍스]]·[[운정역(GTX)|운정]] 방면 || === [[교외선]] === 교외선은 승강장이 존재하지 않고 승강장 터만 존재한다. 원래는 있었는데 2004년 4월 1일부터 여객 열차의 영업이 중지된 후 없애버렸다. 따라서 현재 대곡역사에서 교외선 승강장으로 내려가는 통로 역시 사라진 상태이며, 5번 출구로 나가면 바로 옆에서 쳐다볼 수는 있다. 또한 길을 따라 걸으면 대정역을 조금 지나서까지는 거의 철길과 딱 붙어서 걸어볼 수도 있다. 교외선 위를 걸어가면 철도보안법으로 처벌받을 수 있다. [[대곡소사선]]의 최초 계획은 [[경의선]]이 아닌 [[교외선]]과 직결하여 [[의정부역]]까지 연장하는 것이었다. 이 계획을 반영하여 대곡소사선 계획에도 [[능곡역]] 선로를 재배치하고 지하 구조물을 미리 건설해 두어 교외선 대곡역과 연결하는 선시공부를 조성한다. [[파일:교외선연결부.png]] 기본 설계에 반영된 대곡소사선 - 교외선 연결부. 잘 보면 알겠지만 교외선을 사용하면 능곡역을 무정차 통과한다. 현재 교외선 대곡역 승강장은 [[2009년]] 철거 후 승강장 터만 보존하고 있는데, 곡선 승강장이기 때문이다. 만약 교외선 - 대곡소사선 직결 시에는 교외선 쪽에 [[복선]] 승강장을 직선화하여 설치할 예정이다. 2023~2024년 중으로 교외선 재개통이 확정되면서 대곡역이 교외선의 종착역으로 결정되었다. 노선상 종착역이자 다음역인 [[능곡역]]은 회차선으로만 쓰인다고 한다. == 연계 버스 == * 전철역에서 중앙로를 달리는 버스로 환승시에는 출입구를 확인하자, 일산방면 출입구와 덕양방면 출입구가 따로 있으니 주의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1 {{{#373a3c,#dddddd '''대곡역(중)(19007)'''}}}}}} {{{#!wiki style="text-align: left" * 고양경찰서.토당청소년수련관 방면으로 운행하는 시내버스가 정차한다. }}} ||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버스 목록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 고양경찰서.토당청소년수련관 방면 || || [[간선버스(서울)|{{{#fff 간선}}}]]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00|{{{#fff 700(숭례문)}}}]]}}}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73|{{{#fff 773(불광역)}}}]]}}} || || [[지선버스(서울)|{{{#fff 지선}}}]]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727|{{{#fff 7727(신촌)}}}]]}}} || ||<#3c9> [[시내버스|{{{#ffffff 일반시내}}}]]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c9; font-size: .95em" [[파주 버스 56|{{{#ffffff 56(김포공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c9; font-size: .95em" [[고양 버스 66|{{{#ffffff 66(모래내시장.가좌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c9; font-size: .95em" [[고양 버스 72|{{{#ffffff 72(현대백화점)}}}]]}}}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c9; font-size: .95em" [[고양 버스 75|{{{#ffffff 75(현대백화점)}}}]]}}} [br]{{{+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c9; font-size: .95em" [[고양 버스 95|{{{#ffffff 95(이케아 고양점)}}}]]}}}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c9; font-size: .95em" [[고양 버스 97|{{{#ffffff 97(김포대학)}}}]]}}}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c9; font-size: .95em" [[김포 버스 2000|{{{#ffffff 2000(구래리차고지)}}}]]}}} || ||<#0075c8> [[좌석버스|{{{#ffffff 일반좌석}}}]]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75c8; font-size: .95em" [[고양 버스 871|{{{#ffffff 871(여의도 환승센터)}}}]]}}}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75c8; font-size: .95em" [[고양 버스 921|{{{#ffffff 921(신촌전철역)}}}]]}}} || || [[광역버스(서울)|{{{#fff 광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72f08; font-size: .95em" [[서울 버스 9701|{{{#fff 9701(롯데백화점)}}}]]}}} || || [[직행좌석버스(경기도)|{{{#fff 경기직행좌석}}}]]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00; font-size: .95em" [[고양 버스 9700|{{{#fff 9700(양재역)}}}]]}}}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1 {{{#373a3c,#dddddd '''대곡역(중)(19007)'''}}}}}} {{{#!wiki style="text-align: left" * 백석역.요진와이시티 방면으로 운행하는 시내버스가 정차한다. }}} ||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버스 목록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 백석동.요진와이시티 방면 || || [[간선버스(서울)|{{{#fff 간선}}}]]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00|{{{#fff 700(대화동)}}}]]}}}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73|{{{#fff 773(교하)}}}]]}}} || || [[지선버스(서울)|{{{#fff 지선}}}]]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727|{{{#fff 7727(설문동)}}}]]}}} || ||<#3c9> [[시내버스|{{{#ffffff 일반시내}}}]]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c9; font-size: .95em" [[파주 버스 56|{{{#ffffff 56(대화동)}}}]]}}}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c9; font-size: .95em" [[고양 버스 66|{{{#ffffff 66(대화동)}}}]]}}}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c9; font-size: .95em" [[고양 버스 72|{{{#ffffff 72(대화동)}}}]]}}}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c9; font-size: .95em" [[고양 버스 75|{{{#ffffff 75(대화동)}}}]]}}} [br]{{{+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c9; font-size: .95em" [[고양 버스 95|{{{#ffffff 95(대화동)}}}]]}}}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c9; font-size: .95em" [[고양 버스 97|{{{#ffffff 97(대화동)}}}]]}}}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c9; font-size: .95em" [[김포 버스 2000|{{{#ffffff 2000(이대후문)}}}]]}}} || ||<#0075c8> [[좌석버스|{{{#ffffff 일반좌석}}}]]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75c8; font-size: .95em" [[고양 버스 871|{{{#ffffff 871(성석동(중산))}}}]]}}}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75c8; font-size: .95em" [[고양 버스 921|{{{#ffffff 921(성석동(중산))}}}]]}}} || || [[광역버스(서울)|{{{#fff 광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72f08; font-size: .95em" [[서울 버스 9701|{{{#fff 9701(대화동)}}}]]}}} || || [[직행좌석버스(경기도)|{{{#fff 경기직행좌석}}}]]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00; font-size: .95em" [[고양 버스 9700|{{{#fff 9700(대화역)}}}]]}}}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1 {{{#373a3c,#dddddd '''대곡역(57461)'''}}}}}} {{{#!wiki style="text-align: left" * 대장17통마을회관 방면으로 운행하는 마을버스가 정차한다. }}} ||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버스 목록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 대장17통마을회관 방면 || ||<#FFBC00> [[마을버스|{{{#ffffff 마을}}}]]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BC00; font-size: .95em" [[고양 버스 072|{{{#ffffff 072(산황동입구)}}}]]}}} || ||<-2> 중대장동입구 방면 || || [[마을버스|{{{#ffffff 마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BC00; font-size: .95em" [[고양 버스 072|{{{#ffffff 072(능곡역)}}}]]}}} ||}}}}}}}}} ||}}} == 사건·사고 == * 2011년 11월 운행 도중 대곡역에서 제어기의 과부하로 폭음이 울리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5/0000215748|기사]] * 2016년 10월 16일 오후 8시 18분쯤 경기도 고양시 지하철 3호선 대곡역 부근에서 70대 남성이 대화역 방향으로 가던 전동차에 치여 사망했다. * 2017년 3월 1일 오후 11시 35분쯤 지하철 3호선 고양시 대화역 방향 대곡역에서 50대로 추정되는 여성 1명이 열차에 치여 사망했다. * 2017년 6월 28일 오전 8시 5분쯤 경의선 선로에 차량이 돌진하는 사고가 있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2/0001027408|기사]] * 2017년 9월 8일 대화행 전동열차 안에서 어떤 사람이 비상개폐장치를 가동하여, 확인 차원에서 몇 분간 정차되었다. * 2018년 10월 2일 오전 4시 30분경, 야간 공사 차량이 대곡역 근처의 3호선 선로에서 멈춰 서(...) 대화역부터 [[삼송역]]까지의 운행이 중단되었다. 이에 오전 중 통근하려던 사람들에게 큰 불편이 있었다. 셔틀버스를 운행하긴 하지만 1대 뿐이라 버스 정류장마다 사람들이 평소의 몇 배씩 줄을 설 정도. * 2021년 3월 25일 오후 8시 15분경, 지하철 경의·중앙선 문산역 방향 대곡역에서 70대로 추정되는 여성 1명이 열차에 치어 사망했다. 원인은 선로 무단횡단으로 추정된다. 이로 인해 경의·중앙선 열차가 1시간 반 동안 무려 40~50분 정도 지연됐다. == 기타 == [[파일:초록물고기 대곡역1.jpg|width=700]] [[파일:초록물고기 대곡역2.jpg|width=700]] * 영화 [[초록물고기]] 초반에 대곡역이 등장한다. 개통 초기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주변의 마을 또한 주인공의 고향마을로 등장한다. * 경의선에서 내려서 화장실을 간다면 엄청나게 걸어야 한다. 차라리 다음 역까지 가서 거기서 일을 보는 게 더 빠르다. 경의선을 타다가 화장실이 급하면 여기서 내리지 말고 한 정거장 더 가서 [[곡산역]]이나 [[능곡역]]에서 일을 보도록 하자. 그래도 화장실이 개찰구 안쪽에 있다는 것은 다행인 듯하다. * [[교외선]]의 [[일영역]]과 [[장흥역(교외선)|장흥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가 비치되어 있다. 심지어 [[대한민국 철도청]] 시절이다. 본래 장흥역의 스탬프는 교외선 증기기관차 운행 종료 전까지 본 역에 비치되어 있었으나, 증기기관차 운행이 종료되고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자 [[일영역]]으로 이관되었다. 허나 2013년 12월에 일영역이 임시로 영업을 중지하면서 두 스탬프 모두 대곡역에 이관되어 있다. * 야구선수 [[오타니 쇼헤이]]의 성인 ‘오타니’가 대곡역의 ‘대곡’의 한자와 같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수도권 전철 3호선의 역 목록)] [include(틀: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역 목록)] [include(틀:수도권 전철 서해선의 역 목록)] [include(틀:경의선의 역 목록)] [include(틀:서해선의 역 목록)] [include(틀:일산선의 역 목록)] [include(틀:교외선의 역 목록)] [include(틀:고양시의 교통)] [[분류:1996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대한민국의 건설 중인 철도역]][[분류:덕양구의 도시철도역]][[분류:분기역]][[분류:경의선의 도시철도역]][[분류:교외선의 철도역]][[분류:교외선의 도시철도역]][[분류:일산선의 도시철도역]][[분류:대곡소사선]][[분류: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분류:수도권 전철 3호선]][[분류:수도권 전철 서해선]][[분류: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분류:서해선의 도시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