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대구 버스 급행1)] [목차] == 개요 == [[대구 버스 급행1|급행1]]의 논란에 대해서 설명하는 문서이다. == 장점 == 선원로 거주지 구역과 시내를 가장 빠르게 이어주는 버스다. 현재 선원로를 50% 이상 경유하는 버스 중에 시내를 이어주는 버스로는 [[대구 버스 524|524]]와 [[대구 버스 급행1|급행1]]밖에 없다. 이로써 선원로에서의 수요는 무시를 할 수 없다. 또한 수요가 많은 국채보상로의 지하철 역할까지 해줌과 동시에, 동화사를 이어주는 버스 중 배차가 30분 이내인 유일한 버스다. 이로써 수요는 많다. 하지만… == 문제점 == 이제부터는 급행1번의 논란에 대해서 설명한다. === 정차 정류소 개수 문제 === 급행버스 치고는 정차 정류소가 제법 많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원래부터 정차하는 정류장 개수가 많은 노선은 아니었다. [[팔공산]] 구간과 [[서구(대구광역시)|서구]] 일대에서 이 노선을 받쳐주는 일반버스가 제 역할을 못하기 때문에, 민원에 의해 정차 정류장 수가 꾸준히 늘어났다. 팔공산 구간은 도학교[* 2021년 7월 31일 신설, 팔공1, 팔공3만 정차], 백안삼거리[* 급행 전환 초기에는 정차하였으나 얼마 못 가 공산초등학교 정차로 변경되었다.], 내동을 제외하고 모두 승하차가 가능하다. [[남양주 버스 330-1]][* [[남양주시]] 수동면 일대], [[부산 버스 203]][*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성동(금정산성)], [[포천 버스 138-5]][* [[포천시]] 일동면 및 이동면 일부 지역], [[인천 버스 790]][* 대부도 서부 및 선재도와 영흥도.]처럼 [[일반좌석버스|좌석버스]]가 병행하는 일반버스가 없거나 제 기능을 못해서 독점하는 구간이 제법 있다. 그 문제로는.. ==== 반론 ==== 팔공산 쪽은 동화사입구와 동화시설집단지구를 비롯한 주말에 등산객들이 주로 이용하는 정류장을 제외하면, 나머지 정류장[* 미대동, 구암동, 미곡동, 도학동, 대구학생수련관, 동화교 등 정류장]은 '''수요가 그리 많지 않다.''' 즉, 승하차하는 승객이 없어 무정차 통과할 때가 더 많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급행이 맞다. 비슷한 상황은 급행5번 [[안심역]]~[[경일대학교|경일대]] 구간을 들 수 있다. [[서구(대구광역시)|서구]] 구간도 산업단지이기 때문에, 출퇴근 시간을 제외하면 한산한 편이다. 하루에 승하차하는 사람도 별로 없는 경우는 급행이라면서 다 통과하는 것보다 하나라도 정차해서 수요를 잡는 것이 훨씬 이득이다. [[일본]]의 일부 급행 철도 노선이 이렇게 운행한다. 교외 지역에선 모든 역에 정차하고, 도심지역에서 급행운행을 하는 방식이다.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에는 이런 식으로 운행을 하는 급행버스들이 널렸다. 대표적으로 [[부산 버스 1002|1002번]]. [[수도권 전철 1호선]] [[신창역]] 구간의 급행열차도 똑같다. [[천안역]]까지만 급행이고 천안-신창 구간은 급행만 띄운 전역정차 열차다. 천안-신창 구간은[* 원칙상으로는 무궁화호 처럼 [[아산역]], [[온양온천역]]에만 정차후 종착역인 신창으로 가야했었다.] 워낙 배차간격이 길어서 1대라도 빠지면 간격이 너무나 길어져서 어쩔 수 없이 전역정차로 설정한 것. 1990년대 [[태백선]] [[새마을호]]의 경우도 강원도 구간은 배차간격이 너무 길고 선형이 좋지 않아 정차역을 줄이는 의미가 없어서 무궁화호와 정차역이 거의 같았다.[* 당시 오후 5시경 운행하던 새마을호 앞뒤로 [[무궁화호]], [[통일호]]가 배차간격이 2~3시간이었다. 이 새마을호가 없어지면 해질녘 황금시간대 열차가 아예 뻥 비어버린다. 이 경우는 최고급 열차라도 웬만한 역에는 다 세워야 한다.] [[대구광역시]] 버스정보운영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버스 목록 표로 표정속도를 계산해도 급행1번이 [[대구 버스 급행8|급행8번]], [[대구 버스 급행4|급행4번]]에 이어 3위에 있다.[* [[대구 버스 급행2|급행2번]]은 4위이다.] 급행1번 팔공산 구간을 비슷하게 운행하는 [[대구 버스 팔공1|팔공1번]]도 표정속도 순위 상위급에 있는 것을 보면, 팔공산 구간이 다른 구간보다 표정속도가 높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이 버스를 타고 팔공산 쪽으로 가 보면 대부분 차량이 이시아폴리스부터 고속으로 운행한다.] 급행버스로서의 메리트가 아예 사라진 것은 아니다. 확실히 다른 간선버스보다는 빠르다. 급행버스답게 빠를 때는 [[대구 버스 급행5|급행5번]] 못지않게 고속으로 운행하는 위엄을 보여준다. [[https://www.youtube.com/watch?v=_17SFFNTJP4|신당동에서 동대구역지하도까지 약 30분만에 주파한 적도 있다.]][* 물론 이는 신호대기 등이 일부 제외된 시간이므로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일반버스에 비해서는 확연히 차이가 나는 수치다.] === 백업 노선 문제 === 다른 급행 노선들은 일부 구간이나마 받쳐 주는 일반버스 노선들이 있다. [[대구 버스 급행2|급행2번]]은 [[대구 버스 304|304번]]과 [[대구 버스 706|706번]]이 받쳐 준다. [[대구 버스 급행3|급행3번]]은 [[대구 버스 234|234번]], [[대구 버스 527|527번]], [[대구 버스 724|724번]], [[대구, 경산 버스 814|814번]], [[대구 버스 수성1, 수성1-1|수성1(-1)번]]이 받쳐 준다. [[대구 도시철도 3호선|3호선]]도 도심 구간을 뺀 나머지 구간에서 [[대구 버스 급행3|급행3번]]을 보완해 주고 있다. [[대구 버스 급행4|급행4번]]은 [[대구 버스 600|600번]]과 [[대구 버스 655|655번]]이 받쳐 준다. [[대구 버스 급행5|급행5번]]은 [[대구 버스 425|425번]]과 [[대구 버스 518|518번]], 하양에서 안심역으로 연결해 주는 모든 노선들[* [[대구 버스 518-1|518-1번]], [[대구 버스 808|808번]], 814번, [[경산 버스 818|818번(경산)]], [[영천 버스 55, 555|55, 555번(영천)]]]이 받쳐준다. [[대구 버스 급행6|급행6번]]은 구간이 조금 다르지만, [[대구 버스 706|706번]]이 어느 정도 백업을 하고 있다. [[대구 버스 급행7|급행7번]]은 [[대구 버스 527|527번]] 완벽한 [[상위호환]] 노선이다. 급행7번 대곡~계명문화대 구간도 경로가 조금 다른 [[대구 버스 달서1|달서1번]]이 백업해 주고 있다.[* 급행7번의 금호지구 구간은 백업 노선이 전무하다. 이 때문에 2020년 6월부터 북구4번처럼 금호지구 내부를 완주하는 경로로 바뀌었다.] [[자동차전용도로]]인 [[테크노폴리스로]]를 제외하면, [[대구 버스 급행8|급행8번]]도 유천교~본리네거리 구간은 [[대구 버스 651|651번]]과 [[대구 버스 달서5|달서5번]]이, 본리초교~위생처리장 구간은 [[대구 버스 서구1, 서구1-1|서구1(-1)번]]이 보조해 준다. [[중앙로역(대구)|중앙네거리]] 동편 구간은 [[대구 버스 401|401번]]이 백안삼거리까지 받쳐 주지만, [[대구 버스 401|401번]]은 갓바위로 들어가므로, 동화사 구간을 커버하는데 한계가 있다. 서쪽 지역은 그나마 [[대구 버스 240|240번]], [[대구 버스 서구1, 서구1-1|서구1(-1)번]]이 서대구공단네거리를 경유하면서 급행1번을 보조한다.[* 2015년 8월 1일까지는 [[대구 버스 400, 400-1|400(-1)번]]이 급행1번 보조 기능을 담당했다.] 성서 쪽에서는 여전히 받쳐 주는 노선이 없는 실정이다. [[동화사]] 일대도 이 중 하나다. '''[[대구 버스 팔공1|팔공1번]]은 동화사에 1일 10회밖에 안 들어온다.''' 또한 [[대구 버스 팔공3|팔공3]]은 배차는 52분이지만, 방향이 애초에 갓바위/칠곡 방면이다. 그렇다고 갓바위 쪽으로 [[대구 버스 401|401]]을 타고 팔공3으로 환승하는 일은 없기 때문이다. 이정도의 문제라면 401번을 동화사행, 갓바위행으로 나누거나 버스를 신설하는등의 조치가 필요하다. 심지어 축제기간에는 급행1은 지원운행을 하는 노선이다. [[대구 버스 팔공1|동화사 백업 버스]]의 배차가 너무 긴 문제, 그리고 동대구역을 경유하지 않는 문제 등이 있으므로, 배차를 최소 40분대까지라도 줄이고, 동시에 [[동대구역|동대구역 지하도]]를 경유한다면 급행1의 진정한 백업 노선이 생기면서 수요 분산이 가능하다. ==== 개편 이후의 백업 노선 ==== [[201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 이후 같은 급행버스인 [[대구 버스 급행5|급행5번]]과 [[대구 버스 급행6|급행6번]]이 급행1번 백업을 조금이나마 하지만, 이들은 일반버스가 아니라는 태생적인 한계가 있고, 둘 다 급행1번과 완벽하게 겹치지도 않는다. [[대구 버스 급행5|급행5번]]은 계대동문로, 대구의료원으로 가고 [[대구 버스 급행6|급행6번]]은 [[경북대학교|경북대]]와 [[이시아폴리스]] 진입도로(금호강변로)를 경유하는데다 파군재삼거리에서 연경지구로 가기 때문이다. 다행히 급행1번의 백업과 관련한 문제의 [[대구 버스 202, 202-1|202(-1)번]]이 폐선되고 가르뱅이를 경유하는 [[대구 버스 서구1, 서구1-1|서구1(-1)번]]이 생기면서, 백업 노선이 생김과 동시에, [[대구 버스 240|240번]]이 신설되면서 국채보상로에서 급행1번을 [[가축수송(교통)|뭉탱이로 타는 일]]은 없어졌다. === 버스 증차 문제 === 세진교통과 우진교통이 관리하는 특성상 성서 급행버스인 급행5, 급행7과 회사가 겹치게 되는데, 문제가 있다. * 2006년 개편 이후 급행1은 증차가 된 적이 한번도 없다. 특히, 선원로와 국채보상로 주민들을 시내, 동대구역, 공항으로 이어주는 역할을 해서, 수요에 비해 증차가 안되고 있다. * 2019년 4월 20일 개편 때 우진교통에서 1대가 빠졌고, 세진교통에서 1대를 추가했다. 기존 좌석예비 1대를 급행1번 정규차량으로 승격하였다.[* 세진교통은 몇 달뒤에 입석 차량을 좌석 신차로 대차함으로써, 좌석 예비차 수를 유지했다.] * 2021년 7월 31일에 [[우진교통(대구)|우진교통]] 차량 1대가 급행7번으로 이동했다. 그 빈 자리는 [[세진교통]]에서 순증차 차량으로 1대 증차하여 운행한다.[* 2019년 4월 20일 개편 당시랑 똑같은 방법으로 증차했다.] 인가대수는 동일하다. * 이렇게 계속 우진교통의 급행7로 버스가 이동하면서, 남은 좌석버스를 계속 가져오느라 생긴 문제이다. == 이용객에 영향을 준 다른 버스/영향을 준 버스/영항을 받은 버스 == === [[대구 버스 달서3|달서3]] === * 급행1번의 다사 방면 변경은 이용객 영향이 컸는데, 선원로 구간-성서산업단지 수요가 달서3으로 넘아가면서 생긴 문제다. 이게 끝이 아니다. 옛날엔 서구 거주 평일 근로자들이, 퇴근길에 급행1을 타고, 바로 퇴근이 가능했다면, 지금은 달서3이나 503을 타고 환승을 해야 하는데, 503의 수요가 [[대구 버스 달서2|달서2]]에 의해 늘면서, 달서3으로 수요가 쏠려서, 이용객이 크게 증가했다. 이런 이유로 계명대학교 쪽으로 성서우방타운 쪽에 내려서, 외식을 하고 급행1을 타고 서구(국채보상로 일대)로 퇴근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렇다고 해도 달서3의 혼잡은 급행1 다사 방면 변경+[[대구 버스 202, 202-1|202(-1)]]의 폐지, 655의 경로 변경이 합쳐져서 그야말로 지옥이 되었다. === [[대구 버스 서구1, 서구1-1|서구1(-1)]] === * 서대구공단 근로자를 위해 생긴 버스가 목적이지만, 급행1의 수요를 잡아먹었다. 정작 핵심 수요인 선원로, 국채보상로 구간은 백업하지 못 할 망정, 수요가 출퇴근 시간 외에 적은 서구1이 다 뺏어먹어버렸다. [[대구 버스 서구1, 서구1-1/논란|언제나 민폐]] 버스라고 불리는 이유가 있다. === [[대구 버스 240|240]] === 급행1번에 칭찬받을 버스면서도 혼날 버스다. 이유는 배차간격이 너무 길기 때문이다. 국채보상로 구간 주민들이, 시내에서 옷을 사거나, 서문시장에서 장을 보거나, 포항으로 가기 위해 동대구역으로 가는 등 수요가 많은데, 240이라는 민폐 하나 때문에 수요가 줄었으면서도, 급행 역할을 못 하면서, 이도저고 못하고 있다. --240을 폐지하고 202를 다시 신설하면 된다.-- === [[대구 버스 323, 323-1|323(-1)]] === 수요의 문제가 아닌, '''환승의 문제'''다. 323(-1)은 동구청~아양교, 서구청에서 환승이 가능하고, 홈플러스(내당점)에서 장을 보거나, 동구청에서 엑스코를 가거나, 동구와 수성구에서 아양교역을 와 동화사로 다는 등 수요가 있는데, 문제는 시내 구간이다. 323-1의 경우, 급행1은 곽병원건너, 2.28기념중앙공원건너를 경유하는데, 323-1은 만경관건너, CGV대구한일앞을 경유한다. 323은 더 심각한데. 급행1은 2.28기념중앙공원건너1, 곽병원앞2, 섬유회관건너1을 경유하는 반면, 323은 CGV대구한일건너, 만경관앞, 섬유회관건너2을 경유한다… 무조건 환승 시 걸어야 한다… === [[대구 버스 401|401]] === 아양교역-이사아폴리스 구간의 수요 폭발을 방지해주는 장점이 있지만, 정작 백안삼거리에서 직진해버린다… 동화사까지 가야 진정한 백업 노선인데, 갓바위로 가버리는 다른 의미로 민폐 버스다. 심지어 약령시-대구역-칠성시장이므로, 경로도 약간 다르다. === [[대구 버스 425|425]] === '''이 버스가 왜 이용객이 영향을 주었지?'''라고 생각한다면 반드시 끝까지 봐야 한다. 원인은 2019년 4월 20일이다. 세천으로 향하게 되면서 다사와 시내를 이어주는 대체 노선이라는 느낌이 사라졌다. 동시에 승차객은 적어도, [[강창역|하차객은 많은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게 되면서, 수요가 급증하게 되었다. 추가로 계명대학교 정문, 강창역 등 핵심지를 피하고 오히려 세천을 가게 되며 수요 자체도 2019년에는 줄었다. === [[대구 버스 524|524]] === 240과 더불어 급행1의 라이벌 버스라고 불리는 데는 이유가 있다. 바로 서구 일대를 너무 많이 두른다. 선원로를 빠르게 합류하고 서대구역을 이어주는 장점이 있지만, 시내로 가는 수요를 잃어버렸다. 이 구간을 대체할 지선이 생긴다면, 524는 국채보상로 직통으로 만들어 급행1의 친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캐리어 적재함과 좌석 문제 == 캐리어 적재함이 설치되어 공항이나 시장으로 가는 승객 입장에서는 편해졌지만, 그렇게 좋다고는 절대 할 수 없다. 동화사만 해도 주말이나 공휴일에는 이용객이 많은데, 무려 계단까지 사람이 찰 정도로 이용객이 많은데, 뒷좌석 1인석에 캐리어 적재함이 설치되어 문제가 된 것. 이후 세진교통 소속 차량 일부가 급행5번으로 트레이드를 하게 되면서 빗자루질을 하는 급행5번에 캐리어 버스가 생겨 큰 영향을 끼쳤다. [[분류: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분류:대한민국 버스 노선의 비판과 논란]][[분류:나무위키 버스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