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구광역시 급행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세진2084.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우진2839(급행1).jpg|width=100%]]}}} || || [[세진교통]] 차량 || [[우진교통(대구)|우진교통]] 차량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대구광역시 급행버스 급행1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대구 급행1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대구광역시 동구 용수동([[동화사|동화시설집단지구]]) ||<-2> 종점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매곡리공영차고지]]) || ||<|2> 종점행 || 첫차 || 05:35 ||<|2> 기점행 || 첫차 || 05:30 || || 막차 || 22:25 || 막차 || 22:30 || ||<-2> 배차 ||<-4> 13분 || ||<-2> 운수사명 || [[세진교통]], [[우진교통(대구)|우진교통]] ||<-2> 인가대수 || 20대[* 세진교통 12대 / 우진교통 8대] || ||<-2> 노선 ||<-4> [[동화사|동화시설집단지구]] - 공산초교 - [[이시아폴리스]] - 불로전통시장 - [[대구국제공항]] - [[동구청(대구)|동구청]] - [[동대구역]]지하도 - [[칠성시장]] - [[2.28기념중앙공원]] - [[서문시장(대구)|큰장네거리]] - [[서구청(대구)|서구청]] - 서대구공단네거리 - [[용산동(대구)|용산2동]] 행정복지센터 - [[신당동(대구)|신당동]] 행정복지센터 - [[계명대학교|계명대]]동문 - [[대실역]] - [[매곡리공영차고지]] || ||<-2> '''중간 출발 정류소''' || || '''다사''' 방면 ||2.28기념중앙공원, 아양교역, 팔공보성아파트, 공산초등학교 || || '''동화사''' 방면 ||2.28기념중앙공원, 서구청, 대백한라무지개타운, 계명대학교정문 || == 개요 == 동구 용수동 동화시설집단지구(1)에서 중구 공평동 2.28기념중앙공원(0)을 거쳐 달성군 [[매곡리공영차고지]](5)까지 운행하는 급행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77.5km이다. [[http://naver.me/FtXuTtG5|전체 정류장 목록]] [[http://businfo.daegu.go.kr/ba/route/mainSec.do?act=list&route_id=1000001074&stop_busyn=N&d_t_cd=&view_cp_num=N&move_dir=1|팔공산 증회 노선 정류장 목록]] == 역사 == * 1988년 대구에 좌석버스가 처음으로 생길 당시 신설된 좌석버스 376번이 이 노선의 전신이다. 동화사에서 시내를 거쳐 서대구공단(당시 서구 중리동에 있었던 [[해피투게더 세한여객|세한여객]] 차고지) 구간까지 운행했다. * 1998년 개편 때 번호가 105번으로 변경됐고 종점이 중리동에서 죽전네거리를 거쳐 용산지구(죽전그린빌 인근)까지 연장됐다. * 2001년에 종점을 계명문화대학(현 [[계명문화대학교]])까지 연장했다. 이에 따라 [[성서(대구)|성서]]에서 [[팔공산]]으로 바로 가는 노선이 생겼다. 이때 [[성서(대구)|성서]] 방면으로 죽전네거리를 편도 운행하는 것으로 바뀌고 동화사 방면도 우방죽전타운 근처에서 U턴하였다가 [[대구 버스 527|527번]]이 용산지구 경유로 바뀌면서 동화사 방면은 용산지구로 들어오지 않고 직진하여 운행했다. * [[2006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2006년 2월 19일 개편]] 때 급행버스로 전환되어 노선 번호가 급행1번으로 변경됐다. 이때 [[성서(대구)|성서]] 방면 한정으로 죽전네거리 편도 운행구간을 폐지하고 죽전그린빌로 왕복 운행하는 것으로 변경됐고 공항시장, 지저동사무소(해동로) 대신 강산아파트(공항로) 경유로 변경됐다. 종점도 [[신흥버스]] 차고지까지 연장됐다. * 2006년 6월 신당동사무소와 성서푸른마을, 강남약국, 불로천주교회, 미곡동, 도학2동 정류장에 추가 정차하게 되었다. 그리고 대구중공업, 이현파출소, 백안삼거리 정류장이 각각 서대구공단네거리, 용산서한화성타운, 공산초등학교로 정차지가 바뀌었다. * 2007년 9월 14일부터 달서교회에 정차하게 되었다. * 2008년 3월 10일부터 세원정공에 정차하게 되었다. * 시기 미상으로 대구학생수련관입구(당시 대구시교육연수원), 서당마을, 구암동 정류장에 추가 정차하게 되었다. * 2009년 9월 1일부터 양방향 모두 [[동대구역]]지하도를 경유하는 것으로 변경됐다.[* 원래는 [[대구 버스 팔공1|팔공1번]]처럼 파티마삼거리에서 직진했다.] [[동대구역]] 지하도 경유로 성서(선원로 지역) 지역과 [[서구(대구광역시)|서구]] 일대에서 [[동대구역]]을 빠르게 연결하게 되어 이들 지역에서 동대구역 접근이 편리해졌고, [[동화사]]도 외지인에게 널리 알려진 관광지이므로 동대구역 경유로 수요가 많이 늘었다. '''이는 [[굴곡 노선/버스|굴곡 노선]]을 이용하여 교통편을 개선한 대표적인 사례이다.''' 추가로 [[동화사]] 방면 한정으로 [[대구국제공항]] 청사 경유로 변경됐다. 그러나 동대구역지하도 경유와 달리 [[대구국제공항]] 청사는 수요도 없고 불필요한 시간 소요로 승객들의 불만만 불러 일으켰다. * 2012년 6월 16일부터 [[대구국제공항]] 내부 도로 대신 기존 정류장 정차로 환원됐다.[* 급행1번이 한동안 정차했던 공항청사 정류장에는 2017년 5월 1일부터 [[대구역]]행 [[대구 버스 101, 101-1|101번]]이 정차한다.] * [[201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2015년 8월 1일 개편]] 때 종점이 신흥버스 차고지 대신 [[매곡리공영차고지]]로 변경됐는데, 급행1번 변경은 인구가 증가하는 [[다사읍]] 주거 지역 수요를 모아보려는 계획으로 보인다.[* 실제로도 노선 개편 후 성서 지역 수요가 소폭 늘어났다.] 성서산단 구간은 [[대구 버스 급행5|급행5번]]과 [[대구 버스 급행7|급행7번]]이 대신한다. 종점 변경에 따라 신흥버스 대신 [[우진교통(대구)|우진교통]]이 공동 배차에 참여한다.[* 신흥버스는 [[대구 버스 급행5|급행5번]] 배차에 참여한다. 급행1번에 있던 [[신흥버스]] 차량들은 모두 [[대구 버스 급행5|급행5번]]으로 이동했다.] [[대구, 경산 버스 509|509번]] 출신 차량 10대가 개조되어 급행1번으로 넘어왔다. 세진교통의 급행1번 배차분 4대는 급행5번으로 이동했다. * 2019년 4월 20일 개편 때 우진교통에서 1대가 빠졌고 세진교통에서 1대를 추가했다. 기존 좌석예비 1대를 급행1번 정규차량으로 승격했다.[* 세진교통은 몇 달뒤에 입석 차량을 좌석 신차로 대차함으로써 좌석 예비차 수를 유지했다.] * 2021년 7월 31일에 [[우진교통(대구)|우진교통]] 차량 1대가 급행7번으로 이동했다. 그 빈 자리는 [[세진교통]]에서 순증차 차량으로 1대 증차하여 운행한다.[* 2019년 4월 20일 개편 당시랑 똑같은 방법으로 증차했다.] 인가대수는 동일하다. == 특징 == * '''[[대구 버스 724|724번]]과 더불어 [[세진교통]]의 최고 주력/간판 노선'''이자, [[팔공로]] 구간 주민들의 발이며, 대구 시가지로부터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이시아폴리스]]와 [[팔공산]] 방문객 태반이 이용하는 노선이다.[* 다만 [[중구(대구광역시)|중구]]와 [[이시아폴리스]]를 오가는 승객들은 급행1번보다 주로 [[대구 버스 급행6|급행6번]]을 선호한다. 급행1번은 [[아양교역]]으로 돌아가지만, 급행6번은 [[경북대학교]]를 경유해 대각선 경로로 운행하기 때문이다.] 서쪽에서도 도시철도가 없는 [[서구(대구광역시)|서구]] [[국채보상로]] 연선에서 도시철도를 급행버스의 역할에 맞게 어느 정도 대체하며, [[성서(대구)|성서]] 지역 중 상대적으로 [[대구 도시철도 2호선|2호선]]의 수혜를 덜 보는 지역과 도심을 잇는다. 해당 구간에서 수요가 많은 것은 당연하다. * 독점 구간도 있기 때문에[* 백안삼거리~동화사 구간이 대표적인 예이다. 일반버스 노선이 없는 건 아닌데 '''[[대구 버스 팔공1|팔공1번]] 동화사행은 1일 8회 운행'''이라 존재감이 거의 없다시피 하다.] 다른 급행 노선들에 비해 정류장 간 거리가 짧고 정류장 수도 약간 더 많아서 운행 시간이 길고 급행으로서의 쾌속성이 다소 떨어지는 편이다.[* 그래도 [[대구 버스 급행6|이 노선]]보다는 훨씬 낫다.] 특히 2015년 8월 1일 개편 이후 [[대구 버스 240|240번]], [[대구 버스 급행5|급행5번]]에게 여러 구간에서 속도가 뒤쳐지는 일은 이제 흔할 정도. 그럼에도 [[가축수송(교통)|가축수송]]을 자랑한다. * 큰고개오거리의 신암남로 도로 구조와 신호체계 때문에 동화사 방면 운행 시 직진할 수 없다. 우회전 하여 효목고가차도 하단에서 U턴하여 운행한다.[* 동일경로로 운행하는 [[대구 버스 101, 101-1|101(-1)번]], [[대구 버스 401|401번]], [[대구 버스 팔공2|팔공2번]]도 마찬가지다] * 장기정차는 동화사에서, 충전은 [[매곡리공영차고지]]에서 한다. * 2015년부터 LED 행선판에 대구의료원이 추가됐다. 버스운영과의 잔머리 굴리기 + 속임수로 인해 정식 명칭인 대구의료원 라파엘 웰빙센터가 [[대구 버스 서구1, 서구1-1|서구1(-1)번]]처럼 대구의료원으로만 출력되고 있다.[* [[대구 버스 202, 202-1|202(-1)번]]이 폐지되자 대구의료원 경유 노선이 결코 줄어든 것이 아니라는 것처럼 보이려고 이런 짓을 해두는 듯하다만, 라파엘웰빙센터와 대구의료원(정문) 본원은 엄연히 다르다는 걸 명심하자. 대구의료원 정문을 경유하는 노선은 노선 개편 이전과 동일하게 2개지만 202(-1)번은 환승을 통해 [[달서구]] 월배 지역과 대구의료원 정문을 유일하게 연결하고 있었던 것을 생각하면 서구1(-1)번이 왜 [[대구 버스 서구1, 서구1-1/논란|까이는지]] 답이 나온다.] * 동계 기간 폭설이 내릴 때에는 동화사 인근 지역 경사로를 오를 수 없으므로, 폭설 상태에 따라 이시아폴리스더샵, [[공산댐]], 공산초등학교에서 중간 타절한다. * 수요는 많은 노선인데 2006년 개편 이후로 단 1대의 증차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개편 전 105번이 28대로 운행했던 거에 비하면 오히려 감차된 셈. 반면에 여러 차례 개편을 거듭하면서 노선이 야금야금 길어지고 정차하는 정류장 개수도 조금씩 늘어나는 등 운행 시간은 계속 늘어나서 배차간격이 더 길어졌다. * [[대구국제공항]]을 경유하는 [[대구 버스 101, 101-1|101번]]과 함께 6대 차량 실내에 캐리어 적재함이 설치되어 있다.[* 우선 두 노선 합계 11대를 가지고서 시범 운행하겠다는 입장이다. 또한 버스인포 홈페이지에서 장착된 차량의 시간표도 안내할 예정으로, 전용 페이지가 신설되었다.] 사실상 대구국제공항 [[공항버스]]의 역할을 한다. 2019년 5월 중순부터 설치되기 시작해 6월 1일부터 정식으로 운행에 투입되고 있다.[* 다만 급행1번의 경우는 좌석버스 특성상 통로가 좁은데다 입석 수요까지 매우 많아 평일, 주말 안가리고 혼잡한 노선이라 승객이 없는 시간대가 아니면 탑승부터 힘들 것으로 보인다. 캐리어 적재함이 설치된 버스를 시간표 보고 가려서 탈 승객은 없기 때문.] [[http://info.daegu.go.kr/newshome/mtnmain.php?mtnkey=articleview&mkey=scatelist&mkey2=26&aid=239301|대구광역시 2019-05-30 보도자료]] 다만 우려만큼이나 반응도 좋았는지 인가대수의 90% 이상이 캐리어 버스다. 사실상 급행1번 모든 차량에 설치하기로 가닥을 잡은 것 같다.[* 심지어 급행 신차를 뽑자마자 캐리어 적재함을 설치해버렸다. 하차문 앞의 명당석인 1인석 시트는 아예 설치조차 안하고 출고했을지도.][* 최근에 급행1번에 캐리어 적재함이 없는 신차가 나오면서, 기존 캐리어 적재함 설치 차량은 급행5번으로 넘어갔다.] * 막차 출발 시간의 연장 이후 안 그래도 두 업체 다 공차거리가 만만치 않은데 더 늘어났다.[* 동화사 발 중리시장 막차(세진교통), 매곡리 발 큰장네거리 막차(우진교통)] 특히 세진교통은 동화사에서 끝내도 공차거리가 40여분을 넘어가는데, 중리시장 막차를 세진교통이 담당하고 있다. 23시 30분 전후로 중리시장에 도착 후 중리네거리에 대기하다가 U턴하여 공차회송을 하지만 경로로 봐서 자동차 전용도로를 탈 생각은 없는 듯하다. 2021년 7월 31일부터 큰장네거리 중간종료 막차는 우진교통 대신 세진교통이 담당한다. * 세진교통 기사 교대는 [[아양교역]]에서 실시한다. * 2019년 11월 유튜브 [[영국남자]] 채널팀과 출연진 올리가 이 버스를 이용해 기점 동화사부터 [[서문시장(대구)|서문시장]](섬유회관건너1)까지 이동했다.[* 팔공산부터 자가용을 탄 조쉬 일행보다 훨씬 일찍 도착했는데, 출퇴근시간 [[국채보상로]]의 [[교통 체증]]이 극심하기 때문이다. 버스전용차선을 이용하는 버스가 훨씬 빠를 때가 많다.] [[https://youtu.be/KJYbRky7E1w|11:50부터 시청]] * 우진교통은 2006년 통합요금제 이후로 좌석버스를 운행하지 않았기 때문에 좌석 차량 수급에 어려움을 겪어 2015년 개편 초기에는 급행1번에 입석 예비차가 들어갔던 경우가 꽤 많았다.[* 좌석 예비차가 1대 있었다. 급행1번 차량 소모도를 고려하면 역부족이었다.] 민원이 계속 들어오자 [[우진교통(대구)|우진교통]]은 민원을 적극 수용하여 예비차 3대 모두 좌석 예비차로 마련함으로써 시민들에게 모범 업체라는 인식을 주었다. == 논란 == [[대구 버스 급행1/논란]]문서 참고 == 팔공산 증회운행 (부정기노선) == ###[include(틀:운행중단)]### ||<-6>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대구광역시 급행버스 급행1번}}} || ||<-2> 기점 || 대구광역시 동구 용수동(동화시설집단지구) ||<-2> 종점 || 대구광역시 동구 신암동[br]([[동대구역]]지하도) || ||<|2> 종점행 || 첫차 || 06:04 ||<|2> 기점행 || 첫차 || 06:07 || || 막차 || 21:38 || 막차 || 21:14 || ||<-2> 평일배차 || × ||<-2> 주말배차 || 14회 || ||<-2> 운수사명 || [[세진교통]][br] [[우진교통(대구)|우진교통]] ||<-2> 인가대수 || 2대 || ||<-2> 증회노선 ||<-4> 동화시설집단지구 - 도학동 - 공산초교 - 미대동 - 이시아폴리스 - 불로전통시장 - 대구국제공항 - 아양교역 - 동대구역지하도 || * 팔공산 승시 축제, 벚꽃 축제, 단풍 축제 등 동화사로 가는 승객이 많은 봄, 가을철 축제 기간이나 [[부처님오신날]]에는 [[동화사]] ↔ [[동대구역]]지하도 구간만 잘라서 운행하는 '''급행1번 팔공산 증회 운행'''이라는 맞춤 노선이 있다. 약 2~3주의 기간 중 주말(토, 일, 공휴일)에만 운행하며 평일에는 운행하지 않는다. 차량은 보통 2대가 추가로 투입된다.[* 양 회사 좌석 예비차 1대씩 차출한다. 그래도 수요가 많은지 급행 노선을 가지고 있는 [[영진교통]]이나 [[성보교통]], [[동명교통]]에서 지원을 나온 적도 있다. 세진교통과 우진교통 좌석 예비차가 많은 이유는 이것 때문인 듯 하다.][* 실제로 [[부처님오신날]]이나 동화사 승시축제 날이 되면 앞문 계단까지 서서 갈 정도로 엄청난 [[가축수송(교통)/사례/버스|가축수송]]을 자랑한다. 승차거부는 빈번하게 발생하고 사람들이 너무 많아서 차량이 출발을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 노선은 [[동대구역]]지하도까지만 급행1번과 동일하게 운행한다. [[동대구역]] 회차 구간은 [[대구 버스 팔공2|팔공2번]]과 동일하다.[* 큰고개오거리 → 파티마삼거리 → [[동대구역]]지하도.] 회차구간에서 파티마병원 정류소 등 본선 인가정류소가 아닌 곳에서는 당연히 정차하지 않고 통과한다. * 과거에는 [[대구 버스 팔공1|팔공1번]]의 동화사 방면 노선을 증편하는 방식이 쓰이기도 했으나[* 성보교통과 영진교통의 예비차가 투입되었다.] 팔공1번은 칠성시장까지 운행해야 해 급행1번 단축 노선보다 회전률이 좋지 않고, 지선버스의 한계로 방면을 착각하고 타는 오승 문제, 입석 승객으로 인한 안전문제 등의 이유로 지금은 급행1번만 증편하고 있다. 좌석버스 투입을 통해 운송 수입을 늘리려는 목적과 함께 등산객 비중이 많아 좌석을 더 공급해준다는 명분도 있다. * 2023년에는 10/28~11/12까지 주말마다 운행된다. === 시간표 === [[http://businfo.daegu.go.kr/ba/page/schedulegap.do?act=list&route_id=1000001074&d_t_cd=0&route_no=%B1%DE%C7%E01|팔공산증회운행 시간표]] (축제기간 운행 시에만 시간표 표출됨) == 일평균 승차량 == ||<-3>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대구광역시 급행버스 급행1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4년 || 8,843명 || - || || 2015년 || 8,859명 || {{{#red,#salmon △ 16}}} || || 2016년 || 8,697명 || {{{#blue,#6495ed ▽162 }}} || || 2017년 || 8,089명 || {{{#blue,#6495ed ▽ 608}}} || || 2018년 || 7,733명 || {{{#blue,#6495ed ▽ 256}}} || || 2019년 || 7,626명 || {{{#blue,#6495ed ▽ 107}}} || || 2020년 ||<-2> {{{#aaa 해당 연도 DB 미집계}}} || || 2021년 || 6,196명 || {{{#blue,#6495ed ▽ 1,530}}} || || 2022년 || '''6,284명''' || {{{#red,#salmon △ 88}}} || ||<-3> {{{-1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 [[https://www.kotsa.or.kr/ptc/inside_use.do|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 대중교통 DB]] == 연계 철도역 == * [[파일:Daegu1.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아양교역]][* 공항, 이시아폴리스,팔공산(동화사) 방향으로 가는 방향인 경우, 해당 시점에서 내리는 것을 놓치면 지하철 환승은 더 이상 불가능하다.], [[동대구역(도시철도)|동대구역]](지하도 이용), [[칠성시장역]], [[중앙로역(대구)|중앙로역]] * [[파일:Daegu2.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계명대역]], [[강창역]], [[대실역]] * [[파일:Daegu3.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서문시장역]][* 섬유회관 하차] * 일반 철도역 : [[동대구역]](SRT, 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누리로) == 둘러보기 == [include(틀:대구국제공항 경유 버스)] [include(틀:대구 성서 연계 버스)] [[분류: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분류:1988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