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구광역시 지선버스)] || [[파일:남도3641.jpg|width=1000%]] || [[파일:남도버스3612(달서4-1).jpg|width=100%]] || || [[남도버스]] 소속 달서4 || [[남도버스]] 소속 달서4-1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달서4}}}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달서4(-1).png|width=100%]]}}} || ||<-6> {{{#!folding [ 노선 변경 전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대구 달서4(-1)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곡동(남도버스) ||<-2> 종점 ||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곡동(남도버스) || ||<|2> 종점행 || 첫차 || 05:30 ||<|2> 기점행 || 첫차 || - || || 막차 || '''[평일]''' 22:15 / '''[토요일, 공휴일]''' 22:16 || 막차 || - || ||<-2> 평일배차 || 18분 ||<-2> 주말배차 || 23분 || ||<-2> 운수사명 || [[남도버스]] ||<-2> 인가대수 || 9대[*A 토요일 8대 / 공휴일 7대 운행] || ||<-2> 노선 ||<-4> 남도버스1 - 유천교1 - 유천동 행정복지센터[*C 이 노선의 단독구간이다.] - 조암초교 - ([[달서구청]] → 장동초교 → 대구광역시교육연수원 → [[두류역]]([[달성고등학교|달성고교]]) → [[이월드]]후문 → 대명시장 → [[영남이공대학교|영남이공대]] → 안지랑네거리 → 앞산자락카페마실앞 → 충혼탑 U턴[*B 앞산공원 종점이 인근에 있다.] → 앞산자락카페마실앞 → 송현공원 → [[송현역]] → [[월촌역]] → 월촌고가교 → 상인현대맨션 → [[영남고등학교]]) - 조암초교 - 유천동 행정복지센터 - 유천교2 - 남도버스2 || ||<-6>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달서4-1}}} || ||<-2> 기점 ||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곡동(남도버스) ||<-2> 종점 ||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곡동(남도버스) || ||<|2> 종점행 || 첫차 || 05:30 ||<|2> 기점행 || 첫차 || - || || 막차 || '''[평일]''' 22:45 / '''[토요일, 공휴일]''' 22:47 || 막차 || - || ||<-2> 평일배차 || 19분 ||<-2> 주말배차 || 24분 || ||<-2> 운수사명 || [[남도버스]] ||<-2> 인가대수 || 9대[*A] || ||<-2> 노선(주요경유지) ||<-4> 남도버스1 - 유천교1 - 유천동 행정복지센터[*C 이 노선의 단독구간이다.] - 조암초교 - ([[영남고등학교]] → 상인현대맨션 → 월촌고가교 → 대덕승마장(앞→건너) → [[월촌역]] → [[송현역]] → 송현공원 → 달서별빛캠핑장(건너→앞) → 대명중학교(건너) → 충혼탑 U턴[*B] → 대명중학교(앞) → 안지랑네거리 → [[영남이공대학교|영남이공대]] → 대명시장 → [[이월드]]후문 → [[두류역]]([[달성고등학교|달성고교]]) → 대구광역시교육연수원 → 장동초교 → [[달서구청]]) - 조암초교 - 유천동 행정복지센터 - 유천교2 - 남도버스2 || ||<-2> '''중간 출발 정류소''' || || '''달서4''' 방향 ||안지랑네거리, 굿모닝병원^^평일, 토요일^^, 현대해상^^공휴일^^, 성당래미안e-편한세상^^평일, 토요일^^, 월성청구코아 || || '''달서4-1''' 방향 ||현대해상^^평일^^, 대구여자상업고등학교, 대명중학교'''앞'''^^평일, 토요일^^, 달서별빛캠핑장'''앞''', 상인현대맨션 || == 개요 == 대구광역시의 지선버스 노선 중 하나이며 순환형 지선노선이다. 본선 운행거리는 35.9(달서4)/37.6(달서4-1)km. 전체 정류장 목록은 우측 링크를 참조. ([[http://naver.me/5shRxKZG|달서4번]], [[http://naver.me/x7Mcl86Z|달서4-1번]]) == 역사 == * [[2006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2006년 개편]] 때 신설되었다. 폐지된 [[대구 버스 646/646-1|646/646-1번]]과 [[대구 버스 936|936번]] 일부 구간을 통합하였다.[* 당시 책자에는 '남구1/남구1-1번'으로 되어 있었다. 책자 앞쪽의 지도형 노선도 부분에는 '달서4/달서4-1번'으로, 뒤쪽 '주요 경유지별 통과노선 안내' 부분에서 남구1/남구1-1번으로 표기되어 있었다. 남구1/남구1-1번이 표시된 경유지 중에는 적혀 있어야 할 달서4/달서4-1번이 적혀있지 않거나 달서4/달서4-1번과 같이 표기가 되어 있었던 것이다. 개통 후에는 달서4/달서4-1번이 되었는데, [[남구(대구광역시)|남구]] 구간보다 [[달서구]] 구간이 많아서 그런 것으로 보인다.] * [[201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2015년 8월 1일 개편]] 때 본리네거리 대신 감천네거리 경유로 조정되어 [[대구 버스 달서3|달서3번]]처럼 꺾이는 구간이 생겼다. 같은 날 폐선된 [[대구 버스 달서2|달서2번]]의 앞산 구간, 영남이공대학 구간도 대체한다. 본리네거리 구간은 [[대구 버스 306|306번]]이, 상인남네거리~달서구청 구간은 [[대구 버스 706|706번]]과 [[대구 버스 달서3|달서3번]]이,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구간은 [[대구 버스 서구1/서구1-1|서구1/서구1-1번]]이 대체한다. 기종점도 앞산공원에서 대곡주공5단지로 변경되었다. 운행 업체도 [[우진교통(대구)|우진교통]]에서 [[남도버스]]로 변경되었다. 다만, 늘어난 운행거리에 비해 인가대수가 1대씩만 증차되어, 평일 배차간격은 16~17분으로 늘어났다. * 2017년 1월 21일에 '대곡주공5단지 - 상화네거리 - 월배중 - 상인역' 경유 대신 유천네거리, [[월배차량기지사업소|월배기지]], 조암네거리, 조암초교, 월성네거리([[CGV 대구월성|CGV월성점]]) 경유로 변경되었다. 갈라지는 지점도 상인네거리에서 월성네거리로 변경되었다. 기존 8대에서 1대씩 증차했는데, 달서4-1번 정규차량 1대가 달서4번으로 이동하고, 달서4-1번에 [[해피투게더 현대교통|현대교통]]이 2대 참여한다.[* 당초 [[우주교통]]이 2대 나서기로 했으나, 2017년 1월 20일에 우주교통과 현대교통의 합의로 우주교통 대신 [[해피투게더 현대교통|현대교통]]이 2대 참여하게 됐다. 원래는 남도가 [[대구 버스 706|706번]]에서 2대를 가져오는 것이 맞지만 남도의 거센 반발로 무산되었다. 이에 따라 기존 [[대구 버스 204|204번]]에 있던 현대교통의 입석차량 2대를 달서4-1번으로 이동하고, 우주교통 2대를 [[대구 버스 204|204번]]에 투입했다.] 평일 배차간격은 18~19분으로 또 늘어났다. * 2022년 1월 22일에 [[해피투게더 현대교통|현대교통]]이 달서4-1번의 [[공동 배차]]에서 철수하였다. 대신 [[남도버스]]에서 [[대구 버스 달서5|달서5번]] 출신 차량 2대를 달서4-1번에 투입하였다. * 2022년 5월 7일부터 [[월배차량기지사업소|월배기지]]~조암네거리 구간에서 조암남로 대신 조암로를 경유하는 것으로 직선화했다.[* [[대구 버스 성서2|성서2번]]도 변경하기로 했으나, 취소되었다.] == 특징 == * 현존하는 달서구 지선버스 중에서[* 심지어는 폐선된 [[대구 버스 달서2|달서2번]]까지 포함해서] 유일하게[* 달서4번과 달서4-1번을 하나의 노선으로 본다면] [[성서지구]]를 아예 지나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 구간에는 성서지선이 있으므로 굳이 다닐 필요성이 없기 때문인지라, 성서지선에 속하는 [[대구 버스 성서1/성서1-1|성서1/성서1-1번]]과 [[대구 버스 성서2|성서2번]]도 월성지구, 대천동, 진천역 쪽으로 다니기 때문이다.] * 달서구청, 달서소방서, [[이월드]], [[두류공원]], 달서청소년수련원, [[두류역]] 등 [[달서구]] 내 핵심 시설들과 많은 학교들을 거치는 순환 노선으로, [[이월드]]는 정문이 아닌 후문 자동차극장 매표소 입구 방향([[파도고개로]])으로 운행한다. * 이 노선상에 걸려 있는 중·고등학교 학생들[* 대명중학교, 달성고등학교, 경화여고, 원화여고, 상서고교, 원화중학교, 경암중학교, 영남중·고교, 대건중·고교, 효성여고, 효성중학교 등. 개편 후에는 구남중, 구남보건고, 경구중, 경북공고, 경상중, 대구여상, 영남이공대학이 추가됐다. 감삼중학교는 2011년 3월에 폐교되어 이 라인에서 빠졌고, 심인중고교도 2021년에 달성군 다사읍 죽곡리로 이전하며 이 라인에서 빠졌다.]이 주로 이용한다. [[대구 버스 칠곡1/칠곡1-1|칠곡1/칠곡1-1번]]같이 등하교 시간대에 만차가 발생하며, 그 외 시간대에는 [[공기수송(교통)|공기수송]]이다. 개편 후에는 영남이공대학, 구남보건고교 재학생들도 타면서 등교 때 만차가 되는 시간대가 좀 더 늘어났다. 이 노선이 지나는 학교들의 등하교시간이면 [[신도림역/환승|학생들로 꽉꽉 차서 움직이지도 못하고, 학교에 도착하면 자동으로 내려질 수준이다.]] * [[앞산순환로]] 대다수 구간을 전담하는 노선으로, 앞산의 주요 [[등산]]로 입구[* 앞산은 용두골, 고산골, 강당골, 큰골, 안지랑골, 골안골, 매자골, 달비골까지 총 8개의 주요 등산로가 있다.]를 경유하는 노선이라 등산객들의 수요가 있다. * [[대구 버스 달서2|달서2번]]과 억지로 짬뽕해 버리면서, [[앞산순환로]] U턴 구간이 급증했다. 도로 구조 때문에 달서4번은 2번, 달서4-1번은 3번 U턴한다. 앞산공원종점에서 차를 돌리지 않는 것에 대해서는 비판이 좀 있다. 이러한 노선의 특성이 [[앞산순환로]] 주변 주민들[* 정확하게는 충혼탑 맞은편 주택가에 거주하는 주민들] 및 주변 시설들(특히 남부도서관)을 이용하는 이용객들에게는 편의를 제공한다. [[안지랑역]]에서 이쪽으로 접근할 경우 달서4번을 타면 길을 건너지 않고, 버스가 U턴한 후 충혼탑 건너편 정류장에서 내려서 귀가가 가능하다. 반대로 남부도서관에서 [[안지랑역]]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에도 길을 건널 필요 없이 남부도서관 앞에서 달서4-1번을 타면 이동할 수 있다. [[송현역]]방면에서 접근할 때도 마찬가지. '''이게 의외로 큰 장점이다.''' [[앞산순환로]]에 중앙분리대가 있어서 횡단보도 설치가 가능한 곳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기 때문에, 길을 건너는 게 쉽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충혼탑 정류장 근처에서 횡단보도까지 거리가 멀다.] 지하보도의 상태도 [[영 좋지 않다]]. * 2015년 개편 전후를 비교하면 여러 부분에서 상당한 너프가 발생하였다. 개편 전에는 노선 선형이 깔끔한 편이었는데, 개편 후에는 여기저기 꼬아서 선형이 불량해졌다. 배차간격도 개편 전 15분에서 개편 후 16~17분으로 길어졌다. 노선이 길어진 탓인지 개편 전에 비해 배차간격이 상당히 들쑥날쑥해졌다. 개편 이후 운행시간 단축 지시도 내려졌는지 기사들이 시간에 쫓기는 듯한 모습이 자주 목격된다. 현재 평일 배차간격은 18~19분이다. * 휴일 운행 시간표의 변동 폭이 일정하다. 앞산공원 착발 시절부터 2015년 개편 이후에도 휴일과 토요일에는 딱 1대만 감차해서 운행하며, 명절이나 방학감차 시즌에도 평시의 주말휴일/토요일처럼 1대만 감차해서 운행했다. 2017년 1월 21일 개편 이후에는 2대 감차해서 여전히 7대로 운행한다. 따라서 주말휴일 및 방학 기간에는 기다리는 시간을 기본 25분 잡아야 한다. * 특이하게도 앞면 유리에 보조 번호판을 부착하지 않고 다닌다. 다른 버스들은 LED행선판이 있어도 LED 오류 등의 이유로 노선번호가 표출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어서 앞유리에 노선번호가 적힌 행선판을 별도로 붙이고 다니는데, 이 노선을 운행하는 버스들은 안 붙인다. 2015년 개편으로 운행 회사가 바뀌면서부터 부착하지 않은 것으로 보이며, 2017년 개편으로 새로 이 노선 운행에 참여한 [[해피투게더 현대교통|현대교통]] 소속 차량들도 마찬가지로 행선판을 붙이지 않는다. 하지만 2018년 3월에 남도버스 차량들은 앞유리에 노선번호가 적힌 행선판을 붙였다. * 여담으로, 달서4번은 남도버스 운행 노선들 중에서 유일하게 남도버스에서 단독 배차하는 노선이다. 2022년 1월 22일부터는 달서4-1번도 여기에 해당된다. * 달서4번과 달서4-1번, 모두 기사 교대는 [[대곡동공영차고지]]에서 실시한다. === 일평균 승차량 === * 하차량은 포함하지 않는다. * 출처: [[https://www.kotsa.or.kr/ptc/app/#/inside/use|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 ||<-10> {{{#ffffff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달서4번}}} ||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 2,548명 || 2,537명 || 2,637명 || 2,360명 || 2,389명 || 2,518명 || ||<-10> {{{#ffffff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달서4-1번}}} ||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 2,479명 || 2,524명 || 2,542명 || 2,538명 || 2,304명 || 2,408명 || == 연계 철도역 == * [[파일:Daegu1.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상인역]], [[월촌역]], [[송현역]], [[안지랑역]] * [[파일:Daegu2.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감삼역]], [[두류역]], [[내당역]] * [[파일:Daegu3.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남산역(대구)|남산역]][* 대명공연거리 및 계대 대명캠퍼스 정류장 이용.] [[분류: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분류:2006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