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선)] [include(틀:대구광역시 폐선된 시내버스)] || [[파일:달성공단1_남도.jpg|width=100%]] || || [[남도버스]] 소속 시절 달성공단1 || [목차] == 노선 정보 == ||<-10><:><#f6af30>{{{#ffffff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달성공단1번}}}|| ||<-2><:>기점||<:>대구 달서구 대곡역(대구 도시철도 1호선)||<-2><:>종점||<:>대구 달성군 달성1차산업단지|| ||<|2><:>종점행||<:>첫차||<:>05:30||<|2><:>기점행||<:>첫차||<:>05:30|| ||<:>막차||<:>||<:>막차||<:>|| ||<-2><:>배차||<:>20분||<-2><:>|| ||<-2><:>운수사명||<:>[[남도버스]]||<-2><:>인가대수||<:>6대|| ||<-2><:>노선||<-4><:>대곡역~화원고~논공읍~달성1차산업단지|| == 개요 ==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bus&no=16391|당시 운행 모습]] 2007년 8월 27일 달성1차공단 내 근로자들의 편의를 위해 [[대구 버스 달성공단2|달성공단2번]]과 함께 신설된 노선. [[대구 버스 651|651번]]에서 2대, [[대구 버스 653|653번]]에서 4대를 차출해서 신설되었다. 2008년 [[대구 버스 655|655번]]과 통합되어 폐선되었고, 대신 655번이 달성1차산단까지 연장되었다. 당시 노선표에는 [[대곡역(대구)|대곡역]]~화원~[[달성1차산업단지|달성공단]]이라고 심플하게 표기되었으며 [[남도버스]]가 맡아 운행했다. 달성공단1번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대구 [[달성1차산업단지]]를 경유한다. 당시 [[달성1차산업단지]] 내 경유 노선은 [[대구 버스 600|600번]] 등 일부밖에 없었기에 신설은 잘 한 것이지만 주 승객이 공단근로자들이고 연선의 주거 인구도 별로 없었기에 수요는 극히 적었다. 그리고 주 목적이 논공, 화원 쪽 주민들을 대곡역으로 수송하는 셔틀노선이었기에 그 목적이 아닌 승객은 거의 타지 않았다. 게다가 수요가 나올 만한 달성1차산단 내 주거 지역(북리 일대)을 통과하기는 하지만, 이 구간에서 북리 - 성원아파트 - 한국델파이 - 동아제약네거리 - 샤니삼거리 - 대동공업본사 - 평광3차아파트 순서로 편도 운행한 후 방향을 돌려 다시 대곡역으로 향하는 구조였는데 이로 인해 달성1차산단 구간 어디에서 타도 대곡역 방향으로 갈 때 기존의 600번과 반대 방향에서 타야 하는 구조라서 [[공기수송(교통)|승객이 거의 없었다.]] 게다가 배차간격도 길고 대곡역까지밖에 가지 않는 달성공단1번은 자연히 외면받을 수밖에 없었던 것. 대구시에서도 655번을 연장하려고 했지만 달성1차산단 내 회차지 문제 때문에 655번을 바로 연장하지 못하고, 임시로 이 노선을 개통했다고 한다.[* 대구시청 민원에 대한 답변 내용.] 사실상 시한부 노선이었던 셈. 결국 심각할 정도로 공기수송만 하다가 2008년 6월, 6대 모두 655번에 흡수되고 말았다. 대곡역~화원삼거리 구간에서 달성1번과 중복되어, [[혼동하기 쉬운 버스|혼동하기 쉬웠다.]] == 역사 == * 2007년 8월 27일에 신설되었다. * 2008년 6월 5일 655번에 통합되어 폐선되었다. == 연계 철도역 ==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대곡역(대구)|대곡역]] [[분류: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분류:2007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2008년 폐지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