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선)] [include(틀:대구광역시 폐선된 시내버스)] || [[파일:달성4.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달성4}}} || ||<-2> 기점 ||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성하리[br](구.[[현풍시외버스터미널]]) ||<-2> 종점 || 대구 달성군 구지면 도동리[br](도동서원 주차장) || ||<|2> 종점행 || 첫차 || 아래 시간표 참조(주중, 휴일 동일) ||<|2> 기점행 || 첫차 || 아래 시간표 참조(주중, 휴일 동일) || || 막차 || 아래 시간표 참조(주중, 휴일 동일) || 막차 || 아래 시간표 참조(주중, 휴일 동일) || ||<-2> 평일배차 || 1시간 40분~2시간 40분 ||<-2> 휴일배차 || 1시간 40분~2시간 40분 || ||<-2> 운수사명 || [[해피투게더 현대교통]] ||<-2> 인가대수 || 1대 || ||<-2> 노선 ||<-4> 현풍시외버스터미널 - 달성경찰서 - 차천 - 구지면사무소 - 수리리 - 도동서원 || == 개요 ==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성하리 [[현풍시외버스터미널]]에서 [[구지면]] 창리 구지면사무소[* 현풍읍 자모리, [[논공읍]] 북리 달성산업단지관리공단도 포함]를 거쳐 구지면 도동리 [[도동서원]]까지 운행하는 [[현대교통(대구)|현대교통]] 소속의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http://businfo.daegu.go.kr/ba/route/mainSec.do?act=list&route_id=4040004001&stop_busyn=N&move_dir=1&d_t_cd=0&view_cp_num=Y|현풍-도동]] [[http://businfo.daegu.go.kr/ba/route/mainSec.do?act=list&route_id=4040004002&stop_busyn=N&move_dir=1&d_t_cd=0&view_cp_num=Y|도동-현풍]] [[http://businfo.daegu.go.kr/ba/route/mainSec.do?act=list&route_id=4040004000&stop_busyn=N&move_dir=1&d_t_cd=0&view_cp_num=Y|도동-자모-달성1차공단-현풍]] [[http://businfo.daegu.go.kr/ba/route/mainSec.do?act=list&route_id=4040004004&stop_busyn=N&move_dir=1&d_t_cd=0&view_cp_num=Y|도동-자모-현풍]] [[http://businfo.daegu.go.kr/ba/route/mainSec.do?act=list&route_id=4040004003&stop_busyn=N&move_dir=1&d_t_cd=0&view_cp_num=Y|현풍-자모-도동]] == 역사 및 특징 == [[1998년]] 5월 노선번호체계 개편 이전에는 [[1995년]]에 개통된 34번과 90번 버스가 운행했다. 34번과 90번은 [[서문시장(대구)|서문시장]]~대명시장~[[서부정류장]]~상인네거리~[[화원읍]]~[[논공읍]]~달성1차산단~[[현풍시외버스터미널]] 구간을 운행했으며 34번은 [[유가읍]], [[구지면]], 90번은 [[유가읍]], [[구지면]] 외에도 [[고령군]] 다산면까지 일부 연장 운행했다. 그러나 [[시외버스]] 회사가 운행하던 이 노선들은 명색이 [[시내버스]] 주제에 [[거지]]같은 배차간격[* 배차표 및 시간표 자체가 의미가 없을 정도였다.]에 [[맛]]이 확 가 버린 [[시계외요금]]을 자랑했는데, [[서문시장(대구)|서문시장]]에서 [[유가읍]]까지가 무려 '''3,400원'''이었다.[* 1997년에 요금이 3,400원이었다. 1997년 당시 일반버스의 성인 요금이 400원이었다. 2013년 현재 일반버스 성인 요금이 1,200원(현금 기준)이니까 당시 일반버스 요금이 현재 요금의 1/3 수준이었다. 그렇다면 당시 [[서문시장(대구)|서문시장]]에서 [[유가읍]]까지의 요금은 현재 기준 가치로 환산하면 무려 '''10,000원이 넘는다'''. 참고로 2006년에 폐지된 890번의 경우 중산삼거리(시경계)에서 진량읍, [[하양읍]]까지 완주시 폐지 직전 당시 [[시계외요금]]이 '''3,500원'''이었다. 그래서 의미가 없어져 버린 890번은 2006년 2월 개편 때 [[대구, 경산 버스 840|840번]]에 통합되었다. 2006년 10월 대구 - 경산 간 '''[[시계외요금]] 폐지'''와 함께 [[대구, 경산 버스 840|840번]]은 일반버스로 전환된다.] 더구나 당시에는 이미 [[달성군]]은 [[대구광역시]]에 편입된 지 꽤 시간이 흐른 뒤였다. 그런데 1997년에 시외버스 회사가 손을 떼고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에서 이들 노선을 흡수했다. 34번은 334번과 같이 잠시 [[달서구]]청을 경유하도록 조정되고 범물1동까지 연장되었다가 폐지되었고 90번은 개편되어 [[현풍시외버스터미널]]~[[유가읍]]~[[구지면]]~[[현풍시외버스터미널]] 순환 노선으로 단축되었다. 90번은 이후 1998년 개편 때 [[현풍시외버스터미널]]~도동서원 구간을 운행하는 66-1번, [[현풍시외버스터미널]]/반송리[* 이후 2004년 기세리 경유로 [[옥포읍]] 간경리까지 일부 연장됐다.]~[[유가사]] 구간을 운행하는 66-2번, [[현풍시외버스터미널]]~본말리 구간을 운행하는 66-3번, [[현풍시외버스터미널]]~유산리 구간을 운행하는 66-4번으로 분리되었다.[[http://blog.naver.com/bluenix37/220199276222|달성4번의 자세한 이력]] [[2006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2006년 개편]] 때 66-1번은 달성4번으로 변경됐다. 개편 당시에 나온 노선안내 책자에서는 도동리 방향으로 갈 때 [[대구 버스 달성7|달성7번]]처럼 한정리, 평촌리, 고봉리를 경유해서 구지로 가고 현풍 방향으로 갈 때에는 구지에서 대리로 간다고 나와 있었는데, [[대구 버스 달성6|이 노선]]이나 [[대구 버스 달성7|이 노선]]처럼 책자가 잘못된 듯하다. [[구지면]], [[유가읍]]으로 다니는 버스들은 모두 [[현풍시외버스터미널]]에서 [[환승]]하고 대부분 유가파출소(차천교) 인근에서 만난다. 구지[[우체국]]에서 도동서원으로 들어가는 길과 현풍에서 자모리로 들어가는 길은 원래 도로 상태가 좋지 않았으나, 2009년~2010년 도로를 정비하면서 도로 정비 이후로는 왕복 2차선이지만 선형도 좋고 차선도 넓어졌다. 따라서 도로 정비 이후에는 현풍권 달성지선들 중 [[대구 버스 달성8|달성8(-1)번]] 다음으로 도로 사정이 좋은 노선이 되었다. 대구국가산업단지 내 과학북로 및 창리로 폐쇄에 따라 [[2015년]] [[4월 9일]] 대리~'''SK주유소(창리로)'''~구지면사무소~'''군도 1호선(과학북로'''~수리리 구간 대신 대리~'''SK주유소(과학대로)'''~구지면사무소~'''창2리북편(신설도로)'''~수리리 구간으로 조정되었다. 수리리의 [[중앙119구조본부]] 근처로 다니는 유일한 시내버스 노선이기도 하나, 한참 떨어져 있고 본부 바로 앞으로도 안 간다. 2016년 12월 12일부터 달성4번을 폐지하고 2시간 전에 예약하면 누구나 이용이 가능한 수요 응답형 교통체계(DRT)가 도입된 승합차량을 [[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22152&yy=2016|운행할 계획이 있으며]], 마을 중심지에서 인근 버스 승강장이나 면 소재지 등을 오가는 방식으로 운행할 것으로 보인다. [[http://www.gukj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603373|2016년 12월 12일부터 운행을 개시]]할 예정이었으나, 모종의 사유로 계속 연기됐다. 요금은 기존 일반버스와 똑같이 받고, [[달성군]]청에서 보조해 주며 운영 주체 역시 [[달성군]]청인 모양. 4대를 투입하여 시범적으로 운영한다고 한다. [[달성군]]청에서 월간으로 발간 중인 "달성 꽃피다"에 이용 안내도 나와 있다. 그런데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안내에는 아직도 DRT와 관련된 공지가 안 올라오고 있으며, BIS에서도 달성4번이 삭제되어 있지 않다.--버스운영과 니네들은 하라는 일은 안 하냐?-- 상기에 폐선 틀이 붙었는데도 12월 12일에 멀쩡히 운행했다. 운행 적자를 해결하는 겸 대형차량 투입의 비효율성 해소를 위해 DRT 카드를 내세운 듯하나, 문제는 일반 시민들에게 관광지인 도동서원으로 가는 교통수단이 전무하게 될 우려가 있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현대 카운티|카운티]]나 [[자일대우버스 레스타|레스타]] 갖고 달성4번을 운행했다면 DRT 도입 소리가 나왔겠냐만-- --주말 노선 하나 더 생기겠지-- DRT는 시내버스와 같은 요금을 받지만, 실제로 노선상의 동네 거주 주민들은 DRT의 방식에 대해 큰 불만을 표시하고 있다고 한다. 2017년 1월 21일 개편에도 달성4번의 폐지는 없었다. 대구광역시 민원 서비스(053-120)에 문의한 결과, 폐지하지 않고 당분간 DRT와 함께 운행한다. 원래 폐지될 예정이었으나 지역 주민들의 민원으로 [[달성군]]청에서 대구광역시로 운행 유지를 요청했고, 노선 폐지가 유보되었다고 한다. 결국 2017년 3월 30일 운행을 마지막으로 폐지됐다. 달성4번에 운행 중이던 2008년식 [[자일대우버스 BS|팬더]] 정규차량은 폐지를 앞두고 [[에디슨 화이버드|화이버드]]로 대차됐으며, [[대구 버스 600|600번]]에 투입 중인 고상차량을 1대 빼와서 운행했다. 해당 차량은 달성4번 폐지 후 [[대구 버스 급행8|급행8번]]으로 이동했다. 대신 고봉리로 단축되는 [[대구 버스 달성3|달성3번]]을 [[구지면]]사무소에서 1일 2회 달성4번 본선의 코스를 따라 매번 [[현풍읍|현풍]] 5일장이 열리는 날마다 [[도동서원]]까지 [[지원운행]]하기로 했다.[* 이 때는 [[구지면]]사무소로 먼저 가지 않고, 용연저수지 쪽으로 먼저 들어가서 고봉리부터 찍고 간다.] 2024년 신설 [[달성4]]번이 번호를 가져갔다. == 시각표 == ||<#dcdcdc> 기점출발시각 ||<#dcdcdc> 회차지출발시각 ||<#dcdcdc> 기점도착시각 ||<#dcdcdc> 경유지, 비고 || || - ||06:50 (도동서원) ||08:10 (현풍터미널) ||자모리, 달성1차산단(현풍 방향) || ||08:20 (현풍터미널) ||09:00 (도동서원) ||09:50 (현풍터미널) || || ||10:00 (현풍터미널) ||11:00 (도동서원) ||11:50 (현풍터미널) ||자모리(현풍 방향) || ||12:40 (현풍터미널) ||13:40 (도동서원) ||14:20 (현풍터미널) || || ||14:50 (현풍터미널) ||15:50 (도동서원) ||16:50 (현풍터미널) || || ||16:50 (현풍터미널) ||17:50 (도동서원) ||18:40 (현풍터미널) || || ||18:50 (현풍터미널) ||19:50 (도동서원) ||20:35 (현풍터미널) ||자모리(도동리 방향) || ||20:50 (현풍터미널) ||21:45 (도동서원) ||22:20 (현풍터미널) || || == 일평균 승차량 == * 하차량은 포함하지 않는다. * 출처 : [[https://ptc.ts2020.kr/app/#/inside/use|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 ||<-10><:><#f6af30>{{{#ffffff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달성4번}}}|| ||<:>2014년||<:>2015년||<:>2016년|| ||<:>57명||<:>51명||<:>54명|| == 관련 문서 ==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폐선]] [[분류: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분류:2017년 폐지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