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구광역시 지선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대구우주3123.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칠곡6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대구 칠곡6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대구광역시 북구 동호동 (북구 동호동(종점)) ||<-2> 종점 || 대구광역시 서구 이현동 ([[서대구역]]) || ||<|2> 종점행 || 첫차 || 05:30 ||<|2> 기점행 || 첫차 || '''[평일, 토요일]''' 05:59 / '''[공휴일]''' 06:14 || || 막차 || '''[평일, 토요일]''' 22:27 / '''[공휴일]''' 22:14 || 막차 || '''[평일, 토요일]''' 23:04 / '''[공휴일]''' 22:52 || ||<-2> 평일배차 || 17분 ||<-2> 주말배차 || 19분 || ||<-2> 운수사명 || [[우주교통]] ||<-2> 인가대수 || 7대[* 공휴일 6대 운행] || ||<-2> 노선 ||<-4> 북구 동호동(종점) - 근로복지공단대구병원 - [[운암고등학교(대구)|운암고교]][* 정류소 이름은 칠곡3차화성타운] - [[칠곡운암역]] - [[대구과학대학교|대구과학대]] - [[태전역]] - [[북부정류장]] - [[서대구역]](남측) || ||<-2> '''중간 출발 정류소''' || || '''서대구역''' 방면 || 칠곡화성타운^^평일, 토요일^^ || || '''동호동''' 방면 || 없음 || == 개요 == 북구 동호동 [[영진교통]] 차고지(7)를 출발해 서구 이현동 [[서대구역]](2)을 경유 후 다시 북구 동호동 [[영진교통]] 차고지(7)으로 순환하는 지선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27.2km. == 역사 == * 2022년 3월 31일 서대구역 개장에 따른 개편에 맞춰 인가대수 7대로 신설된다.[* 차량은 [[대구 버스 204|204번]] 1대, [[대구 버스 527|527번]] 3대, [[대구 버스 937|937번]]을 2대, [[대구 버스 750|750번]]에서 1대를 각각 감차해 신설해 운행한다, 순수증차 차량은 [[대구 버스 706|706번]] 투입되었으며, 706번에서 750번으로 이동된 차량이 있다. 중요 노선인 527번을 4대씩이나 감차하게 되므로 난리가 날 것 같지만, 실제로는 운행 대수에 변동이 없다. [[대구 버스 655|655번]]에서 4대를 고스란히 가져와서 그렇다. 4대가 차출된 655번은 356번에서 4대를 고스란히 가져오고 반복되는데 결과적으로 323-1번에서 1대, 남은 3대는 휴업 차량을 부활시키는 것으로 결론났다.] [[https://m.dcinside.com/board/transit/459160|관련 게시물]] * 2023년 8월, 배차간격이 1분 증가되었다. == 특징 == * 2022년 1월 22일에 시행한 서대구역 관련 시내버스 노선 조정으로는 칠곡지구와 서대구역 간 대중교통 연결망이 부실하다는 지역 주민의 지적에 따라 강북 지역 지역구 의원들이 [[대구광역시청]]에 노선 신설을 요청하여 받아들여졌다. 다만 [[서대구역]]과 연결 노선이 부족한 것은 [[달서구]] [[용산동(대구)|용산동]]도 마찬가지여서 [[서대구역]]을 경유 후 [[용산역(대구)|용산역]] 버스 정류장에서 회차할 필요가 있다.[* 달서3번은 운행거리가 길고 배차는 오래 걸리고, 성서3번은 기존 노선을 서대구역으로 틀어버리자니 차량이 많이 필요해져 마땅한 노선은 칠곡6번의 [[서대구역]] 경유 후 [[용산동(대구)|용산동]] 경유가 유일하다.] 성서 지역구 의원이 이 문제를 파악하느냐가 관건. * 전체적으로 [[대구 버스 726|726번]]과 선형이 비슷해서 칠곡지구 내에서 726번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726번보다 선형이 더 직선이고, 기종점 부근을 제외하고는 왕복 6차로 이상인 도로로만 다닌다. * 706을 칠백육이라 읽지 않고 칠공육이라고 읽을 경우, 국어의 음운 변동 현상 때문에 칠곡6번과 발음이 비슷해 [[혼동하기 쉬운 버스|혼동이 일어날 여지가 있다.]] '칠공육'의 표준국어발음은【칠공육】이며 칠곡6도 ㄴ 첨가 현상과 ㄱ의 [[비음화]]가 동시에 일어나 【칠공뉵】이다.[* 706번과 같이 정차하는 정류장이 한 곳 뿐이라 혼동이 일어날 지는 두고 봐야 할 듯. 노선 번호를 위에 언급했다시피 706번을 칠공육이 아닌 칠백육으로 읽으면 혼동할 일이 전혀 없다.] 이걸 두고 [[칠곡군|경북 칠곡]] 지역과의 구분과 지선 노선의 번호 포화를 우려해[* 동구 지선들이 9번까지 신설되어 포화 상태다.] [[칠곡(대구)|대구 칠곡]] 지역의 행정 편의 명칭으로 사용되는 강북을 사용해 강북1번으로 개통했어야 한다는 의견도 보인다. 그럴 만한 게 [[칠곡(대구)|대구 칠곡]] 지역의 관공서 명칭만 해도 [[대구강북경찰서]], [[강북소방서(대구)|대구강북소방서]], 강북지구대, 강북구조대, 강북고용센터 등으로 꽤 많이 사용 중이다. * [[대구 버스 칠곡4|칠곡4번]]을 [[서대구역]]으로 연장하자는 버스 동호인들의 의견이 있었는데, 칠곡4번에 6대를 증차해서 [[서대구역]]까지 연장하면 15분 정도 간격으로는 충분히 다닐 수 있는데 노선을 하나 더 신설할 필요가 있는지는 의문, 무슨 이유에서인지 [[대구 버스 급행8|급행8번]]을 [[서대구역]]까지 연장할 때와는 다른 잣대를 적용했다.[* 급행8번의 경우 급행8번 연장 대신 새로운 급행버스를 만들자는 의견이 많았다.] 대구시에서도 당초 6대로만 운행하기에는 배차간격이 길다고 생각했는지 운행대수가 1대 늘어났고, 대신 323-1번이 1대 감차되었다. 다만 칠곡4번의 경우 관음중앙로 위주의 수요를 창출하고 있어서 칠곡중앙대로와 학정로 주거지역의 큼직한 수요를 끌어들이기에는 부족할 것이라는 전망이 있어 보류됐을 가능성이 크다. 환승을 통해 이용 가능하긴 하지만 이럴 거면 배차 9분대의 726번을 탄 후 309번으로 환승하지, 굳이 칠곡4번으로 갈아타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 일평균 승차량 === * 하차량은 포함하지 않는다. * 출처: [[https://www.kotsa.or.kr/ptc/app/#/inside/use|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 ||<-10> {{{#ffffff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칠곡6번}}} ||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 || || == 연계 철도역 == * [[파일:Daegu3.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칠곡경대병원역]], [[칠곡운암역]], [[태전역]], [[팔달역]], [[공단역]], [[만평역]] * 일반 철도역 : [[서대구역]] (KTX, SRT) == 둘러보기 == [include(틀:대구 칠곡 연계 버스)] [[분류: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분류:2022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