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56번.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달구벌 신3240.jpg|width=100%]]}}} || || [[세운버스]] 차량 || [[달구벌버스]] 차량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156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대구 156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대구광역시 동구 용계동(신덕마을입구) ||<-2> 종점 || 대구광역시 달서구 갈산동(신흥버스) || ||<|2> 종점행 || 첫차 || 05:30 ||<|2> 기점행 || 첫차 || 05:30 || || 막차 || '''[평일]''' 22:30 / '''[토요일]''' 22:19 / '''[공휴일]''' 22:23 || 막차 || '''[평일]''' 22:20 / '''[토요일, 공휴일]''' 22:15 || ||<-2> 평일배차 || 13분 ||<-2> 주말배차 || 18분 || ||<-2> 운수사명 || [[달구벌버스]][br][[세운버스]] ||<-2> 인가대수 || 18대[* 달구벌버스 7대 / 세운버스 11대][* 토요일 17대 / 공휴일 13대 운행] || ||<-2> 노선 ||<-4> 신덕마을입구 - 화랑교 - 아양아트센터 - 효목네거리 - [[동대구역]] - [[칠성시장]] - [[CGV 대구한일|CGV대구한일]] - [[서문시장(대구)|큰장네거리]] - [[새길시장]] - [[두류역]]([[달성고등학교|달성고교]]) - [[대구광역시]]교육연수원 - 제일여상 - 본리네거리 - 한국산업인력관리공단 - [[신흥버스]] || ||<-2> '''중간 출발 정류소''' || || '''용계동''' 방향 ||새길시장^^평일, 공휴일^^, 감삼초등학교^^토요일^^, 성당두산위브^^평일, 공휴일^^, 남대구IC^^토요일^^ || || '''성서산단''' 방향 ||CGV대구한일^^평일, 공휴일^^, 칠성시장^^토요일^^, 대구지방법원등기국 || == 개요 == [[동구(대구광역시)|동구]] 용계동 신덕마을입구(1)에서 [[달서구]] 월성동 남대구IC(6)을 거쳐 갈산동 신흥버스(5)까지 운행하는 [[대구광역시 시내버스/간선|대구광역시 간선버스]].[* 노선 번호 체계를 따르면 105번이 맞다. 105번은 급행1번의 전신 번호이다.] 왕복 운행거리는 51.7km. [[http://naver.me/F5ZCVpTC|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월성지구, 범물지구 노선 공급 과정에서 신설된 315번 좌석버스(범물1동사무소 - 대건중고교)가 이 노선의 전신이다. * 1998년 5월 5일 개편 때 156번으로 노선번호를 바꿨다. 기점도 범물1동주민센터에서 방촌동 우방강촌마을로 변경했다. * 1998년 6월에 우방강촌마을에서 조일공고(현 조일고) 인근 용계동까지 연장되었다. 시내 구간도 '한일극장 - 동신교 - MBC네거리 - 상공회의소 - 고속터미널 - [[동부정류장]]'에서 '한일극장 - 칠성시장 - 파티마병원 - [[동대구역]] - 고속터미널 - 동부정류장'으로 변경되었다. 월성지구 구간도 '본리네거리 - 달서구청 - 월성주공2단지서편[* 여기에서 휴식했다. 906번과 통합되기 전 [[대구 버스 609|609번]]도 여기서 휴식했다.] - 구 대건중고교 종점[* 2008년 6월 4일에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확장 공사로 쓸려 나가면서 폐쇄됐다.] - [[남대구IC]]' 구간을 편도 운행으로 변경하였다. * 1999년 1월 3일에 일반버스로 전환됐다. 당시 156번은 좌석버스 수입 꼴찌였다.[* 참고로 당시 좌석버스 수입 1위는 2015년 8월 1일 노선 개편 때 폐지된 [[대구 버스 402|402번]]이었다.] * [[2006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2006년 2월 19일 개편]] 때 [[남대구IC]] 구간을 왕복으로 변경하고 [[신흥버스]] 차고지로 종점을 연장했다. 따라서 월성지구에 들어가지 않게 되었다. 기점도 조일공고 종점에서[* 기존에는 [[대구 버스 동구1, 동구1-1|동구1(-1)번]]이 쓰는 조일공고 종점으로 들어갔다.] 용계동 도로변[* 신덕마을 입간판에서 [[동대구JC]]와 마주보고 있는 곳이다.]으로 단축했다. 인가대수도 6대 증차해 배차간격을 10분으로 단축했다.[* 2006년 개편 전까지는 13대가 15분 간격으로 운행했다. 배차간격이 짧은 [[대구 버스 504|504번]], [[대구 버스 910|910번]]에게 밀려 수요가 저조했다.] * 2011년 2월 26일에 효신네거리 대신 대구지방법원등기국[* 옛 조달청 대구지청 청사 자리며, 1998년 대구지방조달청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1999년에 [[달서구]] 이곡동 동서화성타운 건너편으로 이전했다. 2011년 당시 정류장명은 계림아파트였다. 이후 신축에 들어간 대구지방법원등기국은 2013년 4월 30일에 개원했으며, 동대구/남대구/북대구등기소를 통합했다. 달서구나 서구 쪽 등기업무는 용산1동 서부법원으로 가야 한다.]과 효목태왕메트로시티아파트를 거쳐 효목네거리로 가는 것으로 변경했다. 예전에 [[대구 버스 급행2|439번]]이 다녔던 구간이다. * [[201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2015년 8월 1일 개편]] 때 동촌유원지 내부(아양아트센터)를 경유하는 것으로 변경했다. 또한 공차 거리를 줄이려고 [[달구벌버스]]가 배차에 참여한다. * 2018년 8월 20일부터 대구물류터미널 정류소에 정차한다. * 2021년 4월 10일부터 1대가 감차되어 평일 배차간격은 12분에서 13분으로 늘어난다. == 특징 == * '''[[세운버스]]의 주력/간판 노선'''이며, [[달구벌버스]]의 준주력 노선이다. * 번호 체계를 따르면 105번, 125번, 165번 혹은 501, 521, 561번이 맞다.[* 참고로 105번은 [[대구 버스 급행1|급행1번]]의 전신 번호고 521번은 [[대구 버스 524|524번]] 전신 번호다.] 그럼에도 인지도 문제 때문인지 번호를 안 바꾸고 있다. * 행선판의 조일고등학교 표기와는 달리 용계동에서 회차하여 운행을 시작한다. 조일고 종점은 [[대구 버스 동구1, 동구1-1|동구1(-1)번]]만 들어간다. * 장기정차와 가스충전 모두 [[신흥버스]] 차고지에서 한다. * 반야월삼거리와 용계삼거리 근처의 괴랄한 X자 교차로[* 현 [[동대구JC]] 자리가 본래 [[경부고속도로]] [[동대구IC]]였는데, 이쪽의 도로 구조 때문에 반야월 구길 → 화랑로 진입이 안 돼서 일부 노선들은 현대방촌맨션으로 편도 운행했고 지금도 일부 노선들에 이 구간이 남아 있다. [[대구부산고속도로]] 공사와 함께 도로개량을 하면서 반야월 구길 → 화랑로 진입이 가능해졌으나, 신덕마을 입구나 용계삼거리까지 가야 하고, 게다가 반야월삼거리에는 괴상망측한 X자 교차로가 생겼다.] 때문에 [[율하역]] 못 가서 있는 율하남교에서 U턴한 후 반야월삼거리로 돌아와 조일고등학교입구 삼거리로 되돌아온다. 조일고등학교에서 시내로 나갈 때는 [[용계역]] 옆 골목의 용계치안센터 쪽으로 진입하여 시외/고속버스 중간 하차장이 있는 강변동서마을에 세워 주므로 문제가 될 건 없다. * 성서산단에서는 신덕마을 방면 한정으로 신흥버스 종점에서 나와 삼성물류센터 앞 교차로까지 올라가서 U턴 후 다시 호림네거리에서 좌회전해서 운행한다. 도로 구조 및 신호 체계상 이렇게 운행할 수 밖에 없으며, 이렇게 하는데만 해도 기본 5분 가까이 잡아먹는다. 때문에 신흥버스 종점에서 1대가 막 출발한지 10분도 안 돼 곧바로 다음 차가 또 출발하게 되며 앞차가 장동네거리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 약 7분 내외가 걸린다. 생각보다 도로폭이 협소하고 거대한 화물차와 자가용이 수시로 얽혀 있고 이면도로가 많아 언제 어디서 차량이 튀어나올지 몰라 속력을 많이 못 올린다.]과 금방 출발한 뒷차가 [[푸드웰]] 정류소까지 가는 5분이 겹쳐 12분의 배차간격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렇듯 은근히 타이트한 운행 여건을 가진 탓에 장기정차 지점인 신흥버스에서 무려 4대씩이나 대기 중인 모습을 볼 수 있다. * 제일여상, 원화중.원화여고, 경암중.경화여고[* 감삼네거리까지 이 학교들에서 기본 12~15분이 소요되는지라 156번을 타고 2호선이나 527번 등 타 노선으로 환승한다. 다른 방법으로는 배차가 좀 더 빠른 726번이 있다.] 달성고, 대구제일고, 대구공고 등 중고등학교를 많이 지나가기 때문에 학생 승객들이 굉장히 많다. * 성서산단 연장 후부터는 구마로, 성서공단로를 다니는 [[대구 버스 564|564번]]과 함께 성서산단 쪽에선 터져나간다. '''종점 방향인데도 어째 승객들이 줄기는 커녕 더 늘어난다.'''[* 성서산업단지에서 그나마 배차간격이 빠른 지역은 신흥버스 종점 인근과 [[한국산업인력공단]] 등 남북으로 다니는 노선들이 다니는 대로변 2곳을 제외하면 동서로 다니는 구마로, 성서공단로는 156번과 564번이 유일하기 때문에 수요가 많다. 수요가 적거나 다소 깊숙히 들어가야 하는 곳은 [[대구 버스 성서1, 성서1-1|성서1(-1)번]]이 전담하는 중.][* 여기에 산업단지 특성상 출퇴근이 이르거나 혹은 야근, 특근 때문에 비교적 한산한 시간에도 승객이 존재하기 때문인지 시간대를 불문하고 종점에서부터 대부분의 자리는 채우고서 남대구IC를 통과한다.] * 2016년 12월부터 2021년 4월 9일까지 대구지방법원등기국 중간종료(용계동 방면)가 있었다. 문제는 이 순번을 세운버스가 담당했다. 대구지방법원등기국에서 [[대천동공영차고지]]까지 공차회송했다. 다만 4월 10일부터 중간종료 지점이 대구지방법원등기국 대신 강변동서마을로 변경되었다. 이 순번은 세운버스 대신 달구벌버스가 담당한다. 공차거리 장대화 문제는 해결되어 동구방향 종료 순번은 달구벌이, 달서구방향 종료 순번은 세운이 전담하였으나 2023년 6월 30일부터 운행 시간표 개정으로 랜덤 순번으로 전환되었다. === 일평균 승차량 === ||<-3>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156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4년 || 9,867명 || - || || 2015년 || 9,871명 || {{{#red,#salmon △ 4}}} || || 2016년 || 10,011명 || {{{#red,#salmon △ 140}}} || || 2017년 || 9,669명 || {{{#blue,#6495ed ▽ 342}}} || || 2018년 || 8,246명 || {{{#blue,#6495ed ▽ 1,423}}} || || 2019년 || 8,339명 || {{{#red,#salmon △ 93}}} || || 2020년 ||<-2> {{{#aaa 해당 연도 DB 미집계}}} || || 2021년 || 6,369명 || {{{#blue,#6495ed ▽ 1,970}}} || || 2022년 || '''6,233명''' || {{{#blue,#6495ed ▽ 136}}} || ||<-3> {{{-1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 [[https://www.kotsa.or.kr/ptc/inside_use.do|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 대중교통 DB]] == 연계 철도역 == * [[파일:Daegu1.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용계역]],[* 강변동서마을 정류소 이용] [[동대구역(도시철도)|동대구역]], [[칠성시장역]], [[중앙로역(대구)|중앙로역]] * [[파일:Daegu2.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반고개역]], [[내당역]], [[두류역]], [[감삼역]] * [[파일:Daegu3.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서문시장역]][* 섬유회관 하차] * 일반 철도역 : [[동대구역]](SRT, 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누리로) == 둘러보기 == [include(틀:대구 성서 연계 버스)] [[분류: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