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SC_0386.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경신2539.jpg|width=100%]]}}} || || [[세왕교통]] 차량 || [[경신교통]] 차량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240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2400.png|width=100%]]}}} || ||<-2> 기점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br]([[방천리공영차고지]]) ||<-2> 종점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대일리(가창초교) || ||<|2> 종점행 || 첫차 || 05:30 ||<|2> 기점행 || 첫차 || '''[평일]''' 05:33 / '''[토요일]''' 05:34 / '''[공휴일]''' 05:46 || || 막차 || 22:30 || 막차 || 22:30 || ||<-2> 평일배차 || 16분 ||<-2> 주말배차 || 20분 || ||<-2> 운수사명 || [[경신교통]], [[세왕교통]] ||<-2> 인가대수 || 16대[* 경신교통 5대 / 세왕교통 11대][* 방학, 토요일 15대(경신교통 5대, 세왕교통 10대) / 공휴일 12대(경신교통 2대, 세왕교통 10대) 운행] || ||<-2> 노선 ||<-4> [[방천리공영차고지]] - [[금호지구]] - [[서대구역]](남측) - 서대구산단네거리 - [[서구청(대구)|서구청]] - [[서문시장(대구)|큰장네거리]] - ([[2.28기념중앙공원]] →/← [[CGV 대구한일]]) - 봉산가구골목 - 대봉네거리 - 봉덕시장 - 경일여고 - [[상동교]] - 파동1차시장 - [[가창면]]사무소 - 가창초교 || ||<-2> '''중간 출발 정류소''' || || '''대일리''' 방향 ||서구청, 금호화물자동차공영차고지 || || '''방천리''' 방향 ||봉산가구골목^^공휴일^^, 대구중학교^^평일, 토요일^^, 효성타운, 가창면사무소 || == 개요 ==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공영차고지]](2)에서 [[중구(대구광역시)|중구]] 성내2동 2.28기념중앙공원(0)을 거쳐 [[달성군]] [[가창면]] 대일리(4)까지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56.5km.[[http://naver.me/FSuUWdfD|전체 정류장 목록]] 동일 권역 계통의 노선인 [[대구 버스 204|204번]]이 이미 있기 때문에, 중복을 피하기 위해서 0을 뒤로 보냈다. == 역사 == * [[201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2015년 8월 1일 개편]] 때 신설되었다. * 2016년 2월 13일에 경신교통 차량 2대가 [[대구 버스 655|655번]]으로, 1대가 [[대구 버스 726|726번]]으로 이동했다. 평일 배차간격은 11분에서 13분으로 대폭 늘어났다. * 2016년 12월 막차 시간 연장으로 인해 대일리 방향 한정으로 고산골 중간종료 막차가 추가되었다. * 2017년 1월 21일에 경신교통의 [[저상버스]] 1대가 [[대구 버스 북구4|북구4번]]으로 이동했다. 평일 배차간격은 13분에서 14분으로 늘어났다. * 2018년 3월 10일 개편 때 [[경신교통]]의 [[저상버스]] 1대가 또 [[대구 버스 북구4|북구4번]]으로 이동했다. 평일 배차간격은 14분에서 15분으로 늘어났다. * 2021년 7월 31일부터 [[북구(대구광역시)|북구]] [[사수동]] [[금호지구]] 내부를 경유한 후 방천리를 오가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원래 초기 계획되었던 기점지가 경유지로 바뀐 것] [[대구 버스 달서1|달서1번]] 출신 차량 2대가 들어오며, 금호지구 코스는 [[대구 버스 북구4|북구4번]]과 동일하다. * 2022년 1월 22일 개편에 [[경신교통]] 소속 차량 2대가 감차되며, [[세왕교통]]이 그 빈자리를 채운다.[* [[경신교통]]의 인가대수는 240번의 금호지구 진입 직전과 동일해지며, 세왕교통의 증차분은 [[대구 버스 449|449번]] 감차분과 순수증차분으로 채워진다.] * 2022년 3월 31일부터 [[서대구역]](남측)1,2 정류장, 달서교하부 공영주차장 정류장에 정차한다.[* 당초 계획 되어있던 상리동입구3 정류장의 경우 모종의 사유로 신설이 폐지되었다.] == 특징 == * 세왕교통 차량의 대다수는 [[대구 버스 순환3, 순환3-1|순환3-1번]]에서 넘어왔다. * 세왕교통의 준주력 노선이다. * [[대구 버스 400, 400-1|400(-1)번]], [[대구 버스 420, 420-1|420(-1)번]]과 [[대구 버스 452|452번]]을 통합한 노선이다.[* [[서구(대구광역시)|서구]] 구간은 400(-1)번과 420(-1)번의 주요 수요처였던 [[국채보상로]] 구간을 합쳐 중복 노선으로 인한 비효율을 낮추고, 남쪽 구간은 452번을 대체하면서도 도시철도와 중복 구간 자체를 날렸다.] * 원래 번호대로라면 204번이 맞지만, 다른 경로를 다니는 노선이 사용하는 번호다. 402번도 폐선된 402번과 혼동의 여지가 있다.[* 402번도 원래 5번 권역이 종점이지만 405번, 425번, 504번, 524번 등 중복 노선만 4개라서 결국 번호는 유지된 채로 폐선되었다.] 그래서 붙일 거 없으면 0을 붙이는 방식을 이번에도 사용했다. * 배차간격은 길기로 유명했던 [[대구 버스 400, 400-1|400(-1)번]], [[대구 버스 452|452번]]을 통합했는데, 웬일로 평일 12분[* 2016년 1월 5일부터 왕복 운행시간 단축으로 평일 11분 배차로 변경.]이 책정되었다. 실제 배차간격과 달리 운행시간이 느리다는 논란이 있던 [[대구 버스 523|523번]]과 극명하게 대비될 정도로 배차간격이 일정하고 차량들이 빨리빨리 오는 편이라 이용하기 수월했다. 서대구산단 근로자들에게 인기만점으로 노선 자체의 수요도 서대구산단 근로자들과 [[서구(대구광역시)|서구]] [[국채보상로]]로부터 나오는 편이다. 노선 개편 후 수요가 늘어난 [[대구 버스 급행1|급행1번]]의 부담도 [[2.28기념중앙공원]]까지 덜어 주고 있다. 240번의 운행 경로 중 대부분이 [[대구 버스 400, 400-1|400(-1)번]], [[대구 버스 402|402번]], [[대구 버스 420, 420-1|420(-1)번]]이 다니던 [[국채보상로]]를 일자로 관통하기 때문이며 배차간격도 나름 준수했다. * 서쪽은 그런대로 수요가 나오는 편이지만, [[국채보상로]]를 기준으로 남쪽부터는 수요가 없다시피하다. 한창 수요가 많을 시간대에도 좌석만 겨우 채우는 모습이다. [[성내동(대구)|봉산동]]~[[이천동(대구 남구)|이천동]] 구간은 오래도록 유지해 온 [[대구 버스 401|401번]]과 [[대구 버스 730|730번]]이 존재하고, [[봉덕동]] 구간은 [[대구 버스 349|349번]], [[파동(대구)|파동]]~가창 구간은 [[대구 버스 급행2|급행2번]], [[대구 버스 304|304번]], [[대구 버스 가창2|가창2번]] 등 대부분 240번보다 배차간격이 준수하거나 굴곡 구간이 없는 노선들이 자리잡고 있어 이들 노선이 시내로 접근하기 훨씬 용이하다.[* [[성내동(대구)|봉산동]] 가구골목에서 [[남구청(대구)|남구청]]네거리 사이는 자차로 직진하면 바로 나오는데, 이 노선은 남구청네거리에서 봉덕시장과 대구중학교(미8군 정문), 옛 대봉도서관을 찍고 봉산동 가구골목으로 가기 때문에 굴곡 구간이다. [[대구 버스 427|427번]]이 [[대구 버스 234|234번]]으로 사실상 단축됐을 때 양방향 [[건들바위역]] 경유로 바뀌면서 427번의 상행 편도구간이었던 옛 대봉도서관 구간을 240번이 사실상 대체하는 것이다.] 그나마 의의를 찾자면 저 남쪽 구간~[[CGV 대구한일]]을 유일하게 왕복하는 노선이라는 점인데, 그 마저도 시내 상습 정체구간인 큰장네거리~공평네거리~봉산육거리를 통과한다는 점에서 감점 요소다. 400(-1)번과 452번을 대체하기 위함이지만, 결과적으로 남쪽 구간의 성적이 좋지 않아 감차당한 듯 하다. 서쪽 구간도 [[대구 버스 425|425번]] 등과 중복돼서 서대구산단 출퇴근 시간이 아니면 수요가 폭발적이지 않다. 그러다 보니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 [[사수동]]에 들어가게 된 것이다. * 2016년 2월 13일 개편으로 인해 [[경신교통]] 차량 3대가 감차되어 [[대구 버스 655|655번]]으로 2대, [[대구 버스 726|726번]]으로 1대 이동했다. 2월 13일 이후부터는 240번의 [[헬게이트]]가 확정된 셈. 2월 15일부터 혼잡도가 크게 상승하여 한 달이 지난 2016년 3월에는 퇴근 시간대 2.28공원 방면으로는 차내 승객이 앞문 계단까지 서 있을 정도로 매우 혼잡하며, [[대구 버스 523|523번]]보다도 일정했던 배차간격은 이제 옛일이 되어 노선의 정시성이 많이 낮아졌다. 또한, 주말 배차간격도 지나치게 길도록 변경하여 [[대구 버스 급행1|급행1번]]과 [[대구 버스 급행5|급행5번]] 이용을 사실상 강제하고 있다. * 2016년 3대 감차 이후에도 사실상 배차간격을 2~3분 정도 느린 선으로 유지하라고 지시한 탓에, 출퇴근 시간대에는 두 업체 다 과속을 하거나 운전이 좀 거친 편이다. * 신설 노선 중 [[저상버스]]가 단 한 대도 없다가, 2015년 9월부터 [[세왕교통]]이 저상버스 신차를 출고하여 240번에 2대 투입했다. 2016년 7월에는 [[경신교통]]도 저상버스를 투입하며, 2016년 12월에 [[경신교통]]에서 240번에 저상버스 신차를 1대 더 투입했으나 해당 신차는 2017년 1월 21일 개편으로 [[대구 버스 북구4|북구4번]]에 빼앗겼다. * 신설 노선 중 최초로 감차한 이후의 데미지가 너무 컸던 것인지 교통안전공단 통계에 의하면 수요가 지선버스 이하로 처참하게 기록됐다. 이후로도 틈만 나면 감차돼, 어느덧 전신 노선이던 400(-1)번의 배차간격을 바라보고 있다. * 2020년에 [[전기버스]]가 도입될 5개 노선 중 하나다.[* 523번, 730번, 750번, 805번, 937번에도 투입한다.] [[세왕교통]]에서 2020년 5월에 [[우진산전 아폴로|아폴로 1100]] 1대, 6월에 [[현대 일렉시티|일렉시티]] 1대를 도입했으며, 삼산리차고지에 전기버스 충전기가 들어선다.[* 충전은 양쪽 모두 가능하다. [[방천리공영차고지]]에는 [[대구 버스 523|523번]]의 [[전기버스]] 도입에 따라 2020년 4월 중순부터 충전기 3대가 가동되었다.] 전기버스가 운행하는 노선 중에서 유일하게 양 쪽 기종점에 모두 CNG 충전소가 없는 노선이었으나, 2022년 1월에 [[대구 버스 동구9|동구9번]]에도 전기버스가 들어오면서 유일하지는 않게 되었다. 2022년 8월에는 [[경신교통]]에서도 240번에 [[우진산전 아폴로|아폴로 1100]] 2대를 투입했다. * 2021년 7월 31일부터 [[대구 버스 북구4|북구4번]]의 코스를 따라 [[금호지구]]를 경유한다. 금호지구 입주민들이 [[서구청(대구)|서구청]][* 실제로 금호지구 입주민들은 대부분 이 노선을 타고 서구청이 아닌 서문시장과 시내로 이동한다. 왜냐하면 금호지구는 북구청이 관할하고 있어 서구청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으며, 서구청에서 승∙하차하는 금호지구 입주민들은 타 노선과의 환승 등이 대부분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서문시장(대구)|서문시장]](큰장네거리), [[2.28기념중앙공원]]까지 한 번에 갈 수 있는 240번을 금호지구 대중교통 개선 방안으로 대구시에 요구했기 때문이다. 변경 후 금호지구 ↔ 국채보상로 신규 수요가 생겼고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서대구역]]에서 서구청, 서문시장(큰장네거리), [[2.28기념중앙공원]]으로 일직선으로 연결해 주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서대구역]](남측)1 정류장 승차 수요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때문에 대신 204번 수요가 더 줄어들었다.. * 2021년 10월부터 2022년 1월 21일까지 대일리 방면 중간출발[* 서구청, 금호화물자동차공영차고지]과 방천리 출발 순번은 경신교통이, 방천리 방면 중간출발[* 대구중학교, 효성타운, 가창면사무소]과 대일리 출발 순번은 세왕교통이 고정 분담한다. 문제는 방천리 출발~대일리 종료와 방천리 출발~대일리 종료 순번이 압도적으로 많다. 경신교통 차량이 대일리에서, 세왕교통 차량이 방천리에서 종료하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다.[* [[대구 버스 726|726번]]도 2019년 4월부터 240번과 같은 이유로, 출발 지점을 기준으로 고정 분담한다.] 2022년 1월 22일부터는 두 회사가 전 순번을 모두 돌아가며 운행한다. 아무래도 방천리 출발~대일리 종료, 대일리 출발~방천리~종료 순번이 압도적으로 많아, 고정 분담이 큰 효과가 없는 듯하다. * 2022년 1월 22일에 240번의 유일한 경신교통 입석차량이 [[대구 버스 523|523번]]으로 이동했다. 따라서 240번의 경신교통 차량은 모두 저상버스다.[* 사실 240번은 [[경신교통]] 기준 타 노선에 비해 한산한 노선이다 보니, [[경신교통]] 소속 저상버스 신차도 이 노선에 투입되는 경우가 잦다.] * [[봉덕동|봉덕3동]] 팔레스호텔 대일리 방향 정류장은 [[대구 버스 순환3, 순환3-1|순환3-1번]]이 정차하는 정류장(앞2)을 이용하며, [[대구 버스 349|349번]] 등 대부분의 노선이 이용하는 정류장(앞1)은 무정차 통과한다.[* 보통 교차로에서 좌회전 문제로 정류장을 무정차 통과할때(여기서는 남구청네거리 1 정류장)의 보상책으로 좌회전 후 교차로와 가까운 정류장에 정차한다. 또한 기존의 다른노선들이 많이 사용하는 팔레스호텔앞1 정류장 역시 간격이 짧은 두 개의 교차로 사이에 위치한 터라 평소에도 버스가 연달아 들어오면 교통흐름에 지장이 자주 발생하는 곳이라 240번까지 여기에 정차할 여유가 없는것도 한몫 한다.] 대신 봉덕시장앞1,2(대일리행)/건너2,3(방천리행)에 모두 정차한다. === 일평균 승차량 === ||<-3>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240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6년 || 4,908명 || - || || 2017년 || 4,665명 || {{{#blue,#6495ed ▽ 343}}} || || 2018년 || 4,117명 || {{{#blue,#6495ed ▽ 548}}} || || 2019년 || 4,068명 || {{{#blue,#6495ed ▽ 49}}} || || 2020년 ||<-2> {{{#aaa 해당 연도 DB 미집계}}} || || 2021년 || 3,136명 || {{{#blue,#6495ed ▽ 932}}} || || 2022년 || '''3,612명''' || {{{#red,#salmon △ 476}}} || ||<-3> {{{-1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 [[https://www.kotsa.or.kr/ptc/inside_use.do|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 대중교통 DB]] 2021년 중반부터 [[금호지구(대구)|금호지구]]를 경유하면서, [[대구 버스 204|204번]]의 도심 이동 수요를 일부 흡수하면서 일평균 승차량이 증가하였다. == 연계 철도역 == ※ 도시철도 선형과 중복되는 구간이 하나도 없고 역과 바로 연계되지 않는 노선이다. 따라서 하차 후 조금 걸어야 연계 가능. * [[파일:Daegu1.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중앙로역(대구)|중앙로역]] * [[파일:Daegu3.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서문시장역]][* 섬유회관이나 큰장네거리 하차.] * 고속철도역 : [[서대구역]](KTX, SRT) == 둘러보기 == [include(틀:대구 칠곡 연계 버스)] [[분류: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분류:2015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