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선)] [include(틀:대구광역시 폐선된 시내버스)] [[파일:402폐.jpg]] 신진자동차 소속 402번 버스 [[https://m.blog.naver.com/mshbus/220787379331|출처]] [목차] == 노선 정보 == ||<-10><:><#01b3ed>{{{#ffffff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402번}}}|| ||<-2><:>기점||<:>대구광역시 수성구 범물동(범물1동주민센터)||<-2><:>종점||<:>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방천리)|| ||<|2><:>종점행||<:>첫차||<:>05:30||<|2><:>기점행||<:>첫차||<:>05:30|| ||<:>막차||<:>22:16||<:>막차||<:>22:14|| ||<-2><:>평일배차||<:>10분||<-2><:>주말배차||<:>14분|| ||<-2><:>운수사명||<:>[[신진자동차(대구)|신진자동차]], [[현대교통(대구)|현대교통]]||<-2><:>인가대수||<:>23대|| ||<-2><:>노선||<-4><:>범물1동 행정복지센터 - 목련시장[* 정류장 이름은 지산목련아파트.] - [[대구광역시경찰청]] - [[TBC]] - 황금네거리 - [[대백프라자]] - 명덕네거리 - [[청라언덕역|신남역]][* 정류장 이름은 남산초교] - 큰장네거리 - [[서구청(대구)|서구청]] - 남평리네거리[* 정류소 이름은 평리청구타운] - [[대구의료원]] - 용산육교[* 정류소 이름은 2차서한화성아파트] - 대백한라무지개타운 - 국민연금네거리 - [[계명문화대학교|계명문화대]] - [[방천리공영차고지]]|| == 개요 == 수성구 범물1동주민센터(4)에서 남구 대명2동 명덕네거리(0)와 서구 평리3동 서구청(2)을 거쳐 달성군 방천리공영차고지(~~5~~)까지 운행했던 간선버스 노선. [[http://businfo.daegu.go.kr/ba/route/mainSec.do?act=list&route_id=3000402000&stop_busyn=N&move_dir=1&d_t_cd=1&view_cp_num=N|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1988년 좌석버스 도입 때 신설된 387번 좌석버스(범물1동사무소 - 용산지구 죽전교장)가 전신이었다. 이 때는 좌석버스 가운데 가장 마지막 번호였다.[* 1998년 개편 직전 마지막 번호는 1994년에 신설된 397번(현 [[대구, 경산 버스 708|708번]])이었다.][* 이와 동일했던 일반 노선으로는 87번이 있었다. 87번은 중리동~만촌2동([[대일버스]])이었고 이 노선은 1998년 개편 때 [[대구 버스 524(폐선)|524번]]으로 노선번호를 변경하여 1997년 성서아파트단지 개발로 중리동에서 계명대정문으로 연장하였다. 2006년 2월 개편 때 폐지되었다.][* 노선번호 변경이 어려워 2권역으로 방천리까지 갔었지만 또 구. 376번의 전신인 [[대구 버스 급행1|105번]] 종점권역과 또한 완전 반대로이다. 하지만 이곡동, 용산동도 달서구 편입 시절 이전에는 서구 관할이였으니 틀린말은 아니다.] * 1998년 노선번호체계 개편 때 402번으로 노선 번호를 변경했다. 개편 직후에 종점을 용산지구에서 계명문화대로 연장했다. 계명문화대로 연장했을 때 한샘타운 방향으로 운행하려고 했다. 하지만 모종의 사정으로 인해 계대동문을 거쳐 동서화성타운 방면으로만 운행하다 1999년 8월 한샘타운/동서화성타운 구간을 분리 운행하였다. [* 이 분리 구간 중 현재는 이 노선이 폐선된후 한샘타운은 [[대구 버스 523|523번]]이 동서화성타운은 [[대구 버스 급행5|급행5번]]이 전담하여 운행하고 있다.] * 2003년에 한시적으로 대구역네거리 대신 [[2.28기념중앙공원]]을 경유했다. [[대구 지하철 참사]]로 인해 [[중앙대로(대구)|중앙대로]]가 전면 통제[* 물론 국채보상로 교차점은 말고. 당연히 이 도로 위로 사람들은 걸어다녔다.]되었기 때문이었다. * [[2006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2006년 개편]] 때 다시 한샘타운으로 통합했다. 중간 경유지는 [[중앙로역(대구)|중앙로역]] 대신 [[서문시장(대구)|서문시장]]으로 변경했다. 종점도 서재로 연장했다. * 2006년 10월 28일에 일반버스로 전환했다. * 2008년 10월에 [[현대교통(대구)|현대교통]] [[대구 버스 400|400-1번]] 감차분 1대를 증차했다. * 2009년 4월에 현대교통 400(-1)번 감차분 2대를 증차했다. * 2013년 6월에 종점을 방천환경자원사업소에서 [[방천리공영차고지]]로 연장했다. * [[201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2015년 8월 1일 노선 개편]] 때 폐선되었다. 3호선과의 중복률이 높았기 때문이었으며, [[서문시장역]] 이후 구간이 거의 겹쳤다. 대체 노선은 [[대구 버스 급행5|급행5번]][* 큰장네거리~2차서한화성타운~동서화성타운(1998~2006.2)~성서종합시장], [[대구 버스 204|204번]][* 범물1동 행정복지센터~[[명덕역|명덕네거리]](어린이회관~[[건들바위역|건들바위네거리]] 구간 제외)], [[대구 버스 523|523번]][* 비산네거리~방천리공영차고지([[삼익뉴타운]]~서구청 구간 제외). 이후 동산네거리 방면 한정으로 큰장네거리 구간도 대체한다.] == 특징 == * 2006년 개편 전 [[중앙대로(대구)|중앙대로]]로 운행했을 때는 좌석버스 수익금 전체 1위를 기록했다.[* 참고로 당시 일반버스 수익금 전체 1위는 [[대구 버스 425|425번]]이었다.] 2006년 2월 19일 개편 후부터 [[대구 도시철도 3호선|3호선]] 개통 직전까지도 승객 순위 Top 10에 꾸준히 들어갔다. * [[계명대학교|대명동계대]], [[동산의료원]], 성서계대, [[계명문화대학교|계명문화대]] 모두 경유했던 노선이었다.[* 이 노선 외에도 대명동계대, 성서계대를 모두 경유하였던 노선은 [[대구 버스 504|504번]], [[대구 버스 549|549번]]등이 있다. 하지만 현재 [[대구, 경산 버스 509|509번]]은 대명동계대만 경유하고 성서계대, [[계명문화대학교|계명문화대]]같은 경우는 KT신당빌딩에서 곧바로 방천리방향으로 바로 우회전하여 가기에 모두 경유 노선으로 보기에는 어렵다.] * 노선 번호를 맞추면, 405번이나 504번 혹은 425번, 524번이 맞다. [[대구 버스 405|405번]]과 [[대구 버스 425|425번]]은 지금 있는 번호다. [[대구 버스 504|504번]]과 [[대구 버스 524(폐선)|(구)524번]]은 폐선된 번호다.[* 한마디로 4개 노선의 번호가 당시 운행중이여서 중복이라서 바꿀수 없는 것과 [[대구 버스 435|435번]]역시 후신에 신설된 노선으로 중복이기 때문] === 일평균 승차량 === * 하차량은 포함하지 않는다. * 출처: [[https://ptc.ts2020.kr/app/#/inside/use|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 ||<-10><:><#01b3ed>{{{#ffffff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402번}}}|| ||<:>2014년||<:>2015년|| ||<:>14,079명||<:>12,892명|| == 연계 철도역 == 폐선 당시 기준이다.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명덕역]]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청라언덕역|신남역]]~~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서문시장역]], [[청라언덕역|신남역]], [[남산역(대구)|남산역]], [[명덕역]], [[건들바위역]], [[대봉교역]], [[수성시장역]], [[수성구민운동장역]], [[어린이세상역]], [[황금역]], [[수성못역]], [[범물역]], [[용지역]]~~ == 관련 문서 ==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폐선]] [[분류: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분류:1988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2015년 폐지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