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대구 버스 527)] [목차] == 개요 == [[대구 버스 527]]의 수요에 대한 문서. == 수요 == 이래적으로 이용객 Top10안에 꾸준히 드는 527 답게 이용객 수도 많다. 최근에는 [[대구, 경산 버스 814|814]]의 이용객 감소 이후 이용객 3위까지 차지하였을 정도다. [[대구 버스 726|726]]이라는 버스와 비슷하게 대구 서부 거주구역과 칠곡을 이어주는데, 차이점은 726은 월배(대곡지구)에서 서부정류장, 중리동을 거쳐 칠곡으로 가며, 칠곡 동부로 간다는 것이고, 527은 다사, 성서, 반고개를 거쳐 칠곡중앙대로를 따라 간다는 것이다. === 구간별 수요 === 크게 4가지 구간으로 나눌 수 있는데, 각 구간에서 수요가 많은 편이다. ==== 1구간: 매곡리공영차고지<—>죽전네거리 ==== 일명 다사-성서코스라고 한다. 정확히 말하자면, 용산2동까지만 성서라고 하지만, 성서 생활권으로 넓히면 죽전네거리까지 성서라고 할 수 있다 ===== 다사구간 ===== 다사구간에서는 평일, 주말을 가리지 않고 수요가 많다. 우선 [[다사고등학교]], [[대실역]] 일대에 거주지가 매우 많고, 다사구간 안에서도 수요가 있는데, [[강창교]] 일대에 있는 거주지의 경우, 다사고등학교까지 걸어야 하며, 오르막길인데, 이때 배차가 빠른 527은 강창교-다사고등학교 통학 수요를 챙긴다. 또한 매곡사거리에 내려 걷다 보면, [[달성문화센터]]가 있는데, 여기는 수영, 헬스 등을 할 수 있다 보니, 수요도 있다. 다사구간-성서구간 간의 수요로는, 일단 [[대실역]] 일대로 외식, 특히 삼겹살을 먹으러 왔다가 가거나, 각종 이유로 방문하는 사람들이 [[강창역]]으로 가는 수요가 있다. 또한 [[계명대학교동산병원]]에 내려, [[호산고등학교]] 통학 수요나,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등으로 통학하는 수요가 있다. 가장 많은 수요는, 바로 [[대실역]]에서 [[계명대학교|계명대학교 동문]]으로 가는 수요이다. 이유는 먹을 것도 많고, 환승 수요가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주로 환승하는 버스로는 [[대구 버스 405]]가 있다. 이유로는 다사에서도 서재문화체육센터나 서재에서도 깊숙한 곳은, [[대구 버스 성서1, 성서1-1|성서1(-1)]]이나 [[대구 버스 성서3|성서3]]이 가지 않기 때문이다. 혹은 이 두 버스가 방금 지났을 때, 기다릴 시간에 차라리 계대동문을 가서, [[대구 버스 405]]로 환승하는 것이다. 그 외에는 대부분 성서우방타운이나, 국민연금네거리 일대로 가는 것이다. ===== 성서구간 ===== 성서구간에서는 통학 수요나 외식 수요가 많다. 그리고 적게나마 쇼핑 수요랑 지하철 환승 수요도 있다. ====== 통학수요 ====== 통학수요로는, 호산동/파호동 거주 학생들이 [[성산중학교(대구)|성산중학교]], [[성곡중학교(대구)|성곡중학교]], 깊이 있는 이곡역 이용을 불편해하고, 지하철보다 버스를 선호하는 사람까지 합하면 [[성지중학교(대구)|성지중학교]] 통학 수요도 있다. 이중 성곡중학교는, [[대구 버스 524]]가 바로 앞까지 가지만, 성산고등학교, 경원고등학교, 계성고등학교 등 가는 학교가 너무 많아 복잡한 것을 안다면, 527을 타기 때문이다. 그 외에 [[용산동]] 일대에서, 계명대학교를 가는 수요도 있다. ====== 외식수요 ====== 외식수요가 있을 수 밖에 없다. 우선 계명대학교 정문, 동문 일대에는 여러 술집, 고깃집이 많다. 그래서 527이 지나는 성서 지역이라면 가리지 않고 외식 수요가 많다. 이는 외식할 곳이 많은 성서우방타운 일대도 마찬가지다. ====== 쇼핑수요 ====== 527은 이마트 성서점, 홈플러스 성서점을 모두 지난다. 그래서 쇼핑 수요도 있다. 홈플러스 성서점도 용산네거리에 내리면, 5분 정도 걸으면 나오고, 애초에 우방죽전타운에 내려서, [[용산역|용산역(6번출구)]]로 가면, 홈플러스로 갈 수 있다. ====== 지하철 환승 수요 ====== 보통은 용산1동에서 시내로 갈 땐 [[대구 버스 급행1]]이나 [[대구 버스 급행5]]를 타겠지만, CGV대구한일, 정확히는 2.28기념중앙공원 일대로 안 가고, 반월당 일대로 간다면, 지하철 환승이 편한데, 527은 [[용산역(대구)|용산역]] 이용을 돕고 있다. 불편하다고 생각할까봐 말하자면, 시내로 갈때는 ’용산네거리1‘ 정류소에 내려서, 3분 걸어 용산역 4번 출구 이용, 다시 집으로 올 때는, 용산역 5번 출구로 나와서 3분 걸어서 ‘용산내거리2’ 정류소 이용. 도보 거리는 횡단보도 대기시간을 제외한 수치며, 카카오맵 거리재기를 이용하였다. ==== 2구간: 죽전네거리<—>원대오거리 ==== 여기도 편의상 달구벌대로 구간과 달서로 구간으로 나눌 예정이다. ===== 달구벌대로 구간 ===== 지하철과 많이 겹치긴 하지만, 용산동에서 [[달성고등학교]] 수요가 있다. 또한 용산역 이용이 불편하다면, [[감삼역]] 이용을 하기도 한다. [[대구 버스 503]]을 탄다고 알려져 있지만, 용산로 일대에서는 [[대구 버스 527]]을 이용하며, 503보단 527이 편하다. 차내 혼잡도나 입석 유무까지 감안하다면 그렇다. ===== 달서로 구간 ===== 달서로를 완주하는 노선이다. 그만큼 달서로 수요가 많다. [[반고개무침회골목]]을 지나고, 수요도 약간이나마 있다. 그리고, 달서로 일대 소수주민을 나르거나, 원대동 일대의 주민들이 주로 이용한다. 애초에 거주지가 그리 많지 않고, 순환2, 순환2-1과 수요를 나눠먹고 있다. ==== 3구간: 원대오거리<—> 태전삼거리 ==== 이 구간에서는 [[대구 버스 급행3]], [[대구 버스 719]]을 대체해주며 이용객이 많다. ===== 쇼핑수요 ===== 쇼핑수요가 많다. 대표적으로 이마트 트레이더스 비산점, 팔달시장 수요가 있다. 각각 대형마트, 대형 재래시장으로, 이용객이 많으며, 다음으로 농수산물도매시장, 매천시장 수요가 있다. ===== 지하철 환승 수요 =====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은 매천동으로 우회해서 다닌다. 그래서 칠곡중앙대로 연선 주민들이 버스를 타고, 각각 태전역/공단역 환승 수요가 있다. ==== 4구간: 태전삼거리<—> 동명 ==== === 일평균 승차량 === ||<-3>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527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4년 || 15,256명 || - || || 2015년 || 15,101명 || {{{#blue,#6495ed ▽ 155}}} || || 2016년 || 16,241명 || {{{#red,#salmon △ 1,140}}} || || 2017년 || 15,482명 || {{{#blue,#6495ed ▽ 159}}} || || 2018년 || 15,173명 || {{{#blue,#6495ed ▽ 309}}} || || 2019년 || 14,718명 || {{{#blue,#6495ed ▽ 455}}} || || 2020년 ||<-2> {{{#aaa 해당 연도 DB 미집계}}} || || 2021년 || 10,792명[* 칠곡군 구간의 일평균 승차량이 누락된 수치이다.] || {{{#blue,#6495ed ▽ 3,926}}} || || 2022년 || '''11,880명''' || {{{#red,#salmon △ 1,088}}} || ||<-3> {{{-1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 [[https://www.kotsa.or.kr/ptc/inside_use.do|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 대중교통 DB]] * 201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에 따라 [[대구 버스 달서3|달서3번]]의 성서권역 수요를 흡수하면서 해당 노선의 일평균 승차량이 증가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대구 버스 527, version=523, paragraph=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