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대구 팔거산성 출토 목간1.jpg]] 발견 직후의 모습.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3&oid=448&aid=0000326652|사진 출처 : TV조선 - 대구 팔거산성에서 대구 최초 신라 목간 출토]] [[파일:대구 팔거산성 출토 목간2.jpg]] [목차] == 개요 == 2021년, [[대구광역시]] [[북구(대구광역시)|북구]] 노곡동에 위치한 [[팔거산성]]의 집수지 유적에서 발견된 7세기 초 [[신라]]시대의 목간 16점. 현재 [[경상북도]] [[경주시]]의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에 일괄 소장되었다. == 내용 == || [youtube(MID9cAW-Bqc)] || 경주의 화랑문화재연구원이 과거 [[삼국시대]]의 최고 격변기였던 7세기 초 신라의 전략적 요충지였던 팔거산성에서 발견한 한국의 목간들로, 2021년 4월에 최초로 목간 11점이 발견되었고, 이후 2021년 6월에 5점이 추가로 발견되었다.[[http://www.idaegu.com/newsView/idg202106280049|대구일보 : 대구 북구 팔거산성 문화재 봇물…목간 5점 추가 출토]],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2&oid=088&aid=0000709749|매일신문]] 신라 팔거산성은 7세기 초, 신라 왕경 서쪽을 방어하는 전초기지였다. 당시 신라 서쪽 지역에서 왕경인 [[경주시]]로 이어지는 통로는 오늘날 [[낙동강]]을 통해 [[대구광역시]]-[[경산시]]-[[영천시]]으로 이어지는 길인데, 이러한 경로에서 가장 서쪽에 있던 팔거산성은 수로와 육로를 동시에 통제하는 중요 거점이었기 때문이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3&oid=032&aid=0003071481|경향신문 : 팔거산성에서 대구 지역 최초로 목간 11점 출토…7세기 초 전략적 거점으로 확인]] 때문에 이미 이전부터 신라인들이 이 요충지에 팔거산성을 구축했는데, 2018년 발굴 조사 결과 이 곳에서 6세기 경 고대 집수지 두 곳이 확인되어 당시 전국적으로 화제가 되었다. [[파일:대구 팔거산성 출토 목간3.jpg]] 6세기 경에 구축된 것으로 확인된 팔거산성 집수지 중 1곳의 모습.[[https://news.imaeil.com/page/view/2021042818294012363|사진 출처 : 매일신문]] || [youtube(xrrnRCCbowk)] || [[파일:경주 성건동 신라 창고 유적2.jpg]] 팔거산성 집수지의 초기 모델로 확인되는 5세기 고모산성의 집수지 모습.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5&aid=0000280571|국민일보 : 문경 고모산성서 5세기 신라 지하3층 목재구조물 발굴]],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79&aid=0000166045|노컷뉴스 : 문경서 5세기 추정 대형 지하 목조건축물 발굴]] 조사 결과 팔거산성 목조 집수지 1호는 길이 8.5 m, 너비 4.9 m 규모 평면 장방형(1:1.72)으로서 바닥 면적 41.8 ㎡로 산출되며, 그 깊이는 구지표로부터 3~3.6 m에 이르렀고, 집수지 2호는 길이 7.8 m, 너비 4.5 m, 높이 약 3 m, 면적은 35.1 ㎡였다. 집수지의 저수 용량은 약 10만 5300리터에 이르러 6세기에 이 정도의 저수 용량을 산성 내에 확보 가능한 건축물을 제작하였다는 사실에 많은 이들을 놀라게 하였다.[[http://www.idaegu.com/newsView/idg202106280049|내용 출처: 대구일보]] 김상현 화랑문화재연구원 부장은 "집수지의 기둥 사이 간격이 정확히 1 m로 규칙적이다. 이같은 세밀함으로 잘 짜여져 있다보니 1500년이나 땅속에 묻혀있어도 잘 보존될 수 있었다."면서 "당시 기준으로는 굉장히 큰 공사였을 텐데 신라의 고도로 발달한 토목기술에 대한 지식이 엿보인다."라고 했다. 본 목간들은 해당 집수지 내에서 발견되었다. [[파일:대구 팔거산성 출토 목간4.jpg]] 2021년 4월에 발견된 목간 11점 중 1~3호까지 3점의 모습.[[https://koya-culture.com/news/article.html?no=129831|사진 출처 : 우리문화신문]] 해당 목간들에는 임술년(壬戌年)과 병인년(丙寅年) 등 간지가 씌었는데, 임술년과 병인년은 각각 602년과 606년으로 추정하였다. 보리(麦)·벼(稻)·콩(大豆) 등 곡식 이름을 쓴 글자도 다수 확인됐다. 대부분의 목간들이 7세기 초 [[세금]]이나 물품을 징수할 때 사용했던 것으로 추측한다. 본 목간들에는 왕사(王私)와 하맥(下麦)이라는 표현도 등장하는데, 기존에는 전혀 알려지지 않은 신라 고유의 문구라 학자들이 정확한 의미를 연구 중이다. 또한 현재 전해지는 [[삼국사기]] 지리지에는 ‘팔거리현’(八居里縣)이라는 대구의 옛 지명이 나오는데, 그 동안은 대구 칠곡 일대 지역을 가리킨다고 막연히 추정만 해왔으나 해당 목간들의 발견을 통해 이곳이 팔거산성 일대임이 정확히 규명되었다. 본 집수지 유적과 목간들을 발굴한 화랑문화재연구원은 현장 조사를 끝낸 후 바로 집수지 유적을 모두 분해하여 [[헬리콥터]]를 통해 경주문화재연구소로 옮겼다. 현재 경주에서 보존 처리를 할 예정이나 발굴된 유물이 너무 많아 [[문화재청]]에서는 보존처리를 모두 완료하는 데만도 10년 정도 걸리라 예상하였다. 6세기 경에 만들어진 신라의 집수지 유적과 7세기 초에 만들어진 목간들로, 당시 신라의 건축기술과 시대상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 관련 영상 == || [youtube(G8lEfp1o4Do)] || || [youtube(a3DOJbYAKM8)] || || [youtube(LNfbKJKINMM)] || || [youtube(iinDuJLXnv8)] || == 관련 항목 == * [[경산 신라 토지대장 목간]] * [[경주 월성해자 출토 목간]] * [[경주 월지 목간]] * [[경주 인용사지 출토 목간]] * [[하남 이성산성 출토 목간]] * [[함안 성산산성 출토 목간]] == 외부 링크 == *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3&oid=056&aid=0011035322|KBS : 대구 팔거산성 터 신라 목간 11점 출토]] *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3&oid=052&aid=0001581397|YTN : 팔거산성에서 7세기 신라 목간 출토...대구지역 처음]] *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3&oid=448&aid=0000326652|TV조선 : 대구 팔거산성에서 대구 최초 신라 목간 출토]] *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3&oid=032&aid=0003071481|경향신문 : 팔거산성에서 대구 지역 최초로 목간 11점 출토…7세기 초 전략적 거점으로 확인]] *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2&oid=025&aid=0003097327|중앙일보 : 보리(麦)·벼(稻)·콩(大豆)…1400여년전 목간(木簡)에 나타난 글자]] *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3&oid=028&aid=0002542243|한겨레 : 대구서 ‘7세기 블랙박스’ 신라 목간문서 11점 첫 출토]] *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2&oid=023&aid=0003610894|조선일보 : 대구 팔거산성에서 신라시대 木簡 출토… “입지나 기능 주목돼”]] *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2&oid=005&aid=0001434616|국민일보 : 대구 팔거산성 복원 한걸음 더…신라 목간 발견]] *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2&oid=088&aid=0000709749|매일신문 : 대구 팔거산성서 신라 목간 이어 목조 집수지 출토]] [[분류:신라의 도서]][[분류:간독]][[분류:대구광역시의 문화재]][[분류:경주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