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고교야구 주말리그/경상B)] ||<-2>
[[파일:external/67.media.tumblr.com/tumblr_o8j59qdJcK1sqk8veo6_r1_250.png|width=250]] || ||<-2> {{{#ffffff '''대구고등학교 야구부'''}}}[br]{{{#fff '''(Daegu High School)'''}}} || || {{{#fff '''창단'''}}} || [[1976년]][* 엄밀히 말하면 재창단이다.] || || {{{#fff '''소속 리그'''}}} || 대구경북권 || || {{{#fff '''감독'''}}} || 손경호 || || {{{#fff '''우승 기록'''}}}[* 4대 메이저 + 협회장기] || 8회 || || {{{#fff '''홈페이지'''}}} || [[http://www.daegu.hs.kr/index.do?menuCd=MCD_000000000000030555|대구고등학교 야구부]] || ||<-2> [include(틀:지도, 장소=대구고등학교, 너비=100%, 높이=225px)] || ||
{{{#fff '''대회'''}}} || {{{#fff '''우승'''}}} || {{{#fff '''준우승'''}}} || {{{#fff '''4강'''}}} || ||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대통령배]]''' || 3회(2003, 18, 19) || - || 3회(1981, 2010, 22) || || '''[[청룡기 전국고교야구 선수권대회|청룡기]]''' || 1회(2008) || 1회(2005) || 1회(2003) || ||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황금사자기]]''' || - || 3회(1983, 2018, 21) || 1회(1979) || ||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봉황대기]]''' || 4회(2008, 10, 18, 23) || - || 3회(1979, 83, 94) || || '''[[신세계 이마트배 전국고교야구대회|이마트배]]''' || - || - || - || ||<-5>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ffffff 2003년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 || || [[광주제일고등학교 야구부|광주제일고등학교]] || → || '''대구고등학교''' || → || [[인천고등학교 야구부|인천고등학교]] || ||<-5> '''[[청룡기 전국고교야구대회|{{{#ffffff 2008년 청룡기 전국고교야구대회}}}]]''' || || [[경남고등학교 야구부|경남고등학교]] || → || '''대구고등학교''' || → || [[신일고등학교 야구부|신일고등학교]] || ||<-5>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ffffff 2008년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 || || [[충암고등학교 야구부|충암고등학교]] || → || '''대구고등학교''' || → || [[천안 북일고등학교 야구부|북일고등학교]] || ||<-5>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ffffff 2010년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 || || [[천안 북일고등학교 야구부|북일고등학교]] || → || '''대구고등학교''' || → || [[군산상업고등학교 야구부|군산상업고등학교]][* 2011~12년은 고교야구 주말리그 관계로 일시 폐지, 2013년 부활] || ||<-5>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ffffff 2018, 2019년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 || || [[서울고등학교 야구부|서울고등학교]] || → || '''대구고등학교''' || → || [[강릉고등학교 야구부|강릉고등학교]] || ||<-5>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ffffff 2018년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 || || [[야탑고등학교 야구부|야탑고등학교]] || → || '''대구고등학교''' || → || [[휘문고등학교 야구부|휘문고등학교]] || ||<-5>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ffffff 2023년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 || || [[부산고등학교 야구부|부산고등학교]] || → || '''대구고등학교''' || → || 2024년 우승팀 || [목차] == 연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dgfl001.idg.or.kr/SSM10068.jpg|width=600]]}}} || 1976년 창단된 팀으로 알려져 있으나 1960년부터 1964년 초 사이에 아주 짧은 기간 동안 야구부를 운영했었다. 이 당시엔 가장 많을 때도 팀원이 고작 15명 정도였던 작은 팀이었다. 1976년 창단 기사를 보면 재출범이라고 나와있다. 당시 감독은 훗날 [[삼성 라이온즈]]의 초대 감독이 되는 [[서영무]][* 하지만 이름을 날리게 된 건 [[경북고등학교 야구부]]의 감독을 맡아 전성기를 이끌던 시절. 대구고 감독 시절은 기록되어 있지 않은 걸 보면 어지간히 흑역사였던 듯. 사진에는 함께 찍혀있다.], 이후 축구 국가 대표의 스트라이커로 이름을 날리게 되는 [[김재한]]이 당시 야구부 소속이었다. 김재한은 야구부가 해체되면서 성광고로 전학가서 축구로 전향하게 된다. 대구지역 야구 명문고는 [[경북고등학교 야구부|경북고]]와 [[대구상원고등학교 야구부|상원고]](대구상고)로 양대 산맥 터줏대감처럼 버티고 있는 모습이었으며 이들 양대 산맥 그늘아래 [[성광고]], [[영남고]], [[대건고]]는 조기 해체되기도 했다. 그러나 대구고는 잘 버티면서 대구지역 야구 명문고로서 이름을 알리고 자리를 잡는 데 성공했다. 창단 당시 수급한 우수한 인재들이 졸업반이 되던 1979년에 황금사자기와 봉황대기에서 4강에 오르면서 이름을 알린 대구고는 1981년에는 야구 천재 [[강기웅]]의 활약 속에 다시 대통령배 4강에 오르면서 이름을 알렸다. 그리고 강기웅이 졸업한 후에도 1983년 황금사자기 준우승을 거두며 대구 지역의 새로운 다크호스로 자신들이 부상했음을 알렸다. 그렇지만 그 뒤로 2000년대 들어서기까지 우수한 투수들, [[김상엽]], [[김진웅]], [[윤길현]] 같은 재목들은 나왔지만 이들은 [[대붕기 전국고교야구대회|대붕기]] 우승은 이끌었음에도 불구하고 메이저 전국무대 우승과는 다소 거리가 멀었다. 그러나 이후 2020년, 황금사자기 결승에 진출하는 데 성공하면서 우승에 도전한다. === 전성기 === 대구고의 전성시대는 2000년대 접어들면서 개막이 되었다. 체육교사로 2000년에 대구고에 부임한 박현동 선생의 노력으로 부활의 날개를 폈다.[[https://m.sports.naver.com/basketball/article/065/0000202145|관련기사]] 야구부장, 야구부 코칭스태프를 모두 바꾸는 과감한 결단을 내렸고 [[박석민]]을 필두로 한 대구의 중3 유망주들은 모두 대구고에서 스카우트하여 2003년 대통령배에서 역시 첫 우승을 노리던 [[경주고등학교 야구부|경주고]]를 제압하고 창단 첫 우승에 성공했다. 비록 이 때 우승의 주역들[* 투수진에는 정대희, 임성민, 양대원, 야수진엔 박진영, 박석민, 이명환, 윤민현, 손기윤, 김동호 등이 활약했다.]은 박석민을 제외하면 프로에서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했지만, 이 때 성과를 시작으로 대구고는 전성 시대를 열었다고 평가된다. 2년 뒤인 2005년 청룡기에서는 2학년 [[김건필]]과 1학년 [[김성현(1989)|김 모]]선수의 활약 속에 결승전에 올라 [[동산고등학교 야구부|동산고]]를 상대로 먼저 8점을 내며 상대 에이스 [[류현진]]을 조기 강판시켰지만 그 뒤로 투수진이 붕괴하며 8-10 대역전패를 당하며 아깝게 준우승에 만족해야 했다. 그리고 1학년 [[김성현(1989)|김 모]]투수가 [[성낙수]] [[제주고등학교 야구부|제주고]] 감독의 제의로 전학을 가면서 투수진은 순식간에 붕괴되며 잠시 공백기를 가졌다. ||[[파일:external/sports.chosun.com/85774131.jpg]]|| || [[정인욱]] || 공백은 3년 뒤인 2008년에 끝났다. 에이스 [[정인욱]]과 내야수 [[정주현]]의 활약 속에 청룡기 결승전에서 [[경남고등학교 야구부|경남고]]를 9회말 끝내기 2루타로 이기면서 경남고의 청룡기 3연패를 저지했고, 봉황대기에서는 동향의 영원한 라이벌 [[경북고등학교 야구부|경북고]]를 누르고 2관왕에 오르면서 그 해 최고의 강자가 되었으며, 다시 2010년에는 2학년 에이스 [[박종윤(1993)|박종윤]]의 활약 속에 [[군산상업고등학교 야구부|군산상고]]를 제압하고 다시 봉황대기 우승에 성공하며, 일약 2000년대 대구 지역의 최고 고교야구팀으로 성장했다. === 제2의 전성기 === 이후 12년간 대구고를 이끌던 [[박태호]] 감독이 [[영남대학교 야구부]] 감독으로 부임하며 떠난후 성적은 부진했는데 전국대회에서 2번의 8강 진출이 최고 기록이라는 성적표가 당시 팀이 어떠했는지를 보여주는 대목. 2016년 황금사자기와 청룡기에서 연이어 1회전 탈락을, 봉황대기에서 8강에 머물자 권영진 감독을 경질하고 손경호 경상중학교 감독을 영입했다. 2017년 조정기를 보낸 대구고는 2018년 황금사자기에서 35년 만에 대회 결승에 올라[* 35년전 대구고의 2루수는 손경호 감독이었다.] 광주일고와 격돌했으나 2:10으로 패하며 이 대회 우승은 다시 뒤로 미루게 됐다. 청룡기에서는 32강전에서 덕수고에 패해 조기 탈락했으나 대통령배에서는 16강전에서 지역 라이벌 경북고를, 8강전에는 돌풍의 소래고를 차례로 꺾었고 준결승에서 신일고에 15-2로 승리하며 결승에 올랐다. 결승에서는 황금사자기 준결승 상대였던 경기고와 격돌해 10-2로 승리하며 15년 만에 이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 뒤이어 봉황대기에서도 장충고, 강릉고, 개성고, 경남고, 상원고에 연이어 승리하며 결승에 올라 북일고를 9-2로 대파하며 시즌 2관왕에 올랐다. 4대 대회 '''우승 2회, 준우승 1회'''라는 엄청난 해. 그럼에도 2019년도 신인 지명에서는 김범준, [[박영완(야구선수)|박영완]] 2명만 지명을 받았고 대통령배와 봉황대기에서 연속으로 MVP에 오른 [[서상호]]가 지명을 받지 못하는 등 아쉬움도 남았다. 2018년 12월 프로야구선수 고교선배들이 모교를 방문하여 재능기부를 하였다.[[http://news.imaeil.com/Baseball/2018121816241922060|관련기사]] 여담으로 2018년 손경호 감독이 [[갤럭시 노트9]] 의 광고 모델로 등장했다. 갤럭시 노트9 광고 중 야구부 감독이 나오는데 이게 손경호 감독이라고. 2019년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에서 충훈고, 신흥고, 공주고를 차례로 꺾었고 8강전에서 휘문고에 3-2로 힘겹게 승리를 거두었다. 부산고와 치른 준결승에서는 5-1로 앞서다가 1학년 외야수 최원영에게 만루홈런을 맞으며 5-6으로 역전을 당했으나 8회말 류현우의 싹쓸이 2루타와 김상휘의 추가 타점에 힘입어 9-6으로 다시 역전에 성공하면서 2년 연속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에서는 상대인 충암고가 투수 3명이 등판할 수 없는 불리한 여건 속에도 잘 버틴 덕에 경기 중반까지 고전했으나 8회초에 대거 5점을 뽑으며 승리를 굳혔고 2년 연속 우승을 달성했다. 아쉽게도 대회 MVP에 오른 류현우가 지명을 받지 못하면서 전년도 서상호와 같은 길을 가게 됐다. 10월 10일 제100회 전국체육대회 결승전에서 서울 대표로 출전한 [[덕수고등학교 야구부]]와 9회까지 0대0으로 팽팽한 승부를 펼치다가 승부치기에서 6-4로 아쉽게 준우승(은메달)에 그친다. 2020년 청룡기 1회전에서는 [[배재고등학교 야구부|배재고등학교]]를 4:2로 꺾고 32강에 진출하였고 32강전에서 [[덕수고등학교 야구부|덕수고등학교]]를 9:2 7회 콜드게임으로 이기며 16강에 진출하였다. 16강 상대는 전대회 디펜딩챔피언인 [[유신고등학교 야구부|유신고등학교]]이다. 그러나 덕수고를 이긴 직후에 나온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529&aid=0000044966|엠스플의 학폭 관련 기사]][* 배지헌의 글이어서 필터링이 필요하다.]의 영향 때문인지 2-13 콜드게임패를 당했다. 2021년 첫 대회인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에서 준결승까지 순항했으며 준결승 상대인 [[경남고등학교 야구부]]와 접전끝에 결승에 올랐다. 2-1로 이기던 7회초에 2점 홈런을 내주며 2-3으로 역전당했으나 8회말에 경남고의 연속된 실책에 힘입어 7-3으로 역전승을 거뒀다. 결승 상대는 2020년 대통령배 우승팀 & 황금사자기 준우승팀인 [[강릉고등학교 야구부]]였으며, 아쉽게 4:13으로 패배하며 준우승을 했다. 하지만 결승전 내내 보여준 뜨거운 화이팅과 준우승임에도 우승팀인 강릉고 야구부에게 축하의 박수를 보내주는 예우를 보이는 등 우승팀에 필적하는 강한 인상을 남기며 대회를 마무리했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108&aid=0002963516|#]] 2022년 대통령배 8강에서 [[광주동성고등학교 야구부|광주동성고]]를 5:3 5회 강우 콜드 게임 승리로 이기고 4강에 진출하였다. 준결승에서는 37년 만에 전국대회(이마트배 제외) 4강에 진출한 [[전주고등학교 야구부|전주고]]를 만나 8회까지 5:3으로 앞섰으나 9회말 끝내기 안타를 허용하며 역전패했다. 2023년 봉황대기에선 2회전에서 경민IT고를 10:0 5회 콜드로 이겼고 32강에선 경기고를 14:4 8회 콜드로 이기고 16강에 진출했고 16강에서 덕수고마저 8:1 7회 콜드로 이기며 8강까지 갔고 8강에서 경남고와 난타전 끝에 8:9로 꺾고 5년 만에 봉황대기 4강에 진출했다.4강 상대는 24년 만에 전국대회 4강이자 창단 첫 봉황대기 4강에 진출한 [[경동고등학교 야구부|경동고]]를 13:5로 꺾고 5년 만에 봉황대기 결승에 진출하였다. [[세광고등학교 야구부|세광고]]하고 결승전 9회말 동점타 연장전에서 스퀴즈번트로 3:2 역전승으로 봉황대기 우승을 차지했다. == 출신 선수[* 나무위키 등록 선수만. 졸업 연도 순.] == || '''{{{#white 이름}}}''' || '''{{{#white 포지션}}}''' || '''{{{#white 프로입단}}}''' || '''{{{#white 경력}}}''' || || '''[[강기웅]]''' || 내야수 || [[한국프로야구/1987년/신인 드래프트|1987년 1차 지명]] ||영남대-[[한국화장품 야구단|한국화장품]](1987~1988)-[[삼성 라이온즈|삼성]](1989~1996)|| || [[장태수(1964)|장태수]] || 투수 || [[한국프로야구/1987년/신인 드래프트|1987년 1차 지명]] ||한양대-[[삼성 라이온즈|삼성]](1987~1988)-[[롯데 자이언츠|롯데]](1989~1990)|| || [[전종화]] || 포수 || [[한국프로야구/1987년/신인 드래프트|1987년 2차 2라운드]] ||영남대-[[롯데 자이언츠|롯데]](1987~1991)-[[쌍방울 레이더스|쌍방울]](1991~1994)-[[LG 트윈스|LG]](1995~1998)|| || [[김기덕(1968년 7월)|김기덕]] || 투수 || [[한국프로야구/1991년/신인 드래프트|1991년 2차 4라운드]] ||한양대-[[LG 트윈스]](1991~1996)|| || '''[[김상엽]]''' || 투수 || 1989년 연고지명 ||[[삼성 라이온즈|삼성]](1989~1999)-[[LG 트윈스|LG]](2000~2001)|| || [[박근영]] || 포수 || [[한국프로야구/1996년/신인 드래프트|1996년 2차 18라운드]] ||경남대-[[삼성 라이온즈|삼성]](1996~1997)|| || '''[[이동수(야구선수)|이동수]]''' || 내야수 || 1992년 연고지명 ||[[삼성 라이온즈|삼성]](1992~1997)-[[롯데 자이언츠|롯데]](1997~1998)-[[쌍방울 레이더스|쌍방울]](1998~1999)-[br][[SK 와이번스|SK]](2000~2001)-[[KIA 타이거즈|KIA]](2001~2003)-[[두산 베어스|두산]](2003)|| || [[정성훈(1977)|정성훈]] || 투수 || [[한국프로야구/1996년/신인 드래프트|1996년 2차 11라운드]] ||[[삼성 라이온즈|삼성]](1996~2002)-[[두산 베어스|두산]](2003~2008)-[[LG 트윈스|LG]](2010)|| || '''[[김진웅]]''' || 투수 || [[한국프로야구/1998년/신인 드래프트|1998년 고졸우선]] ||[[삼성 라이온즈|삼성]](1998~2010)|| || [[소소경]] || 투수 || [[한국프로야구/1998년/신인 드래프트|1998년 2차 1라운드]] ||[[해태 타이거즈|해태]]/[[KIA 타이거즈|KIA]](1998~2004)-[[LG 트윈스|LG]](2005~2006)|| || '''[[이범호]]''' || 내야수 || [[한국프로야구/2000년/신인 드래프트|2000년 2차 1라운드]] ||[[한화 이글스|한화]](2000~2009)-[[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소프트뱅크]](2010)-[[KIA 타이거즈|KIA]](2011~2019)|| || '''[[손승락]]'''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01년/신인 드래프트|2001년 2차 3라운드]] ||영남대-[[현대 유니콘스|현대]](2005~2007)-[[넥센 히어로즈|넥센]](2008~2015)-[[롯데 자이언츠|롯데]](2016~2019)|| || '''[[윤길현]]'''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02년/신인 드래프트|2002년 2차 1라운드]] ||[[SK 와이번스|SK]](2002~2015)-[[롯데 자이언츠|롯데]](2016~2019)|| || [[권영진(야구)|권영진]] || 내야수 || 2008년 신고선수 입단 ||연세대-[[SK 와이번스|SK]](2008~2013)|| || [[김동호(야구)|김동호]] || 투수 || 2009년 신고선수 입단 ||영남대-[[한화 이글스|한화]](2009~2010)-[[고양 원더스(2011)|고양 원더스]](2013~2014)-[[삼성 라이온즈|삼성]](2014~2018)|| || '''[[박석민]]''' || 내야수 || [[한국프로야구/2004년/신인 드래프트|2004년 1차 지명]] ||[[삼성 라이온즈|삼성]](2004~2015)-[[NC 다이노스|NC]](2016~2023)|| || [[이명환]] || 외야수 || 2008년 신고선수 입단 ||한양대-[[KIA 타이거즈|KIA]](2008~2010)-[[NC 다이노스|NC]](2012~2014)|| || [[박정훈(1986)|박정훈]] || 투수 || 2009년 신고선수 입단 ||탐라대-[[LG 트윈스|LG]](2009~2011)-[[NC 다이노스|NC]](2012~2013)|| || [[김동욱(1988)|김동명]][* 2016년부터 김동욱으로 개명했다.] || 포수 || [[한국프로야구/2007년/신인 드래프트|2007년 1차 지명]] ||[[삼성 라이온즈|삼성]](2007~2013)-[[kt wiz|KT]](2014~2018)|| || [[이희성(1988)|이희성]]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11년/신인 드래프트|2011년 4라운드]] ||성균관대-[[넥센 히어로즈|넥센]](2011)-[[고양 원더스(2011)|고양 원더스]](2012)-[[LG 트윈스|LG]](2012~2016)|| || '''[[임현준]]'''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11년/신인 드래프트|2011년 4라운드]] ||경성대-[[삼성 라이온즈|삼성]](2011~2021)|| || [[김건필]]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08년/신인 드래프트|2008년 2차 3라운드]] ||[[삼성 라이온즈|삼성]](2008~2015)|| || [[이동현(1989)|이동현]] || 외야수 || 2012년 신고선수 입단 ||동의대-[[삼성 라이온즈|삼성]](2012~2016) || || [[정인욱]]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09년/신인 드래프트|2009년 2차 3라운드]] ||[[삼성 라이온즈|삼성]](2009~2020)-[[한화 이글스|한화]](2021)|| || [[정주현]] || 내야수 || [[한국프로야구/2009년/신인 드래프트|2009년 2차 5라운드]] ||[[LG 트윈스|LG]](2009~2023)|| || [[김선민(야구선수)|김동은]][* 2017년 [[김동은(야구선수)|김동은]]으로 개명. 2021년 교통사고로 사망.] || 내야수 || 2010년 신고선수 입단 ||[[삼성 라이온즈|삼성]](2010~2011)-[[고양 원더스(2011)|고양 원더스]](2014)-[[kt wiz|KT]](2015~2017)|| || [[이강혁]] || 내야수 || 2010년 신고선수 입단 ||[[삼성 라이온즈|삼성]](2010~2011)-[[고양 원더스(2011)|고양 원더스]](2014)-[[NC 다이노스|NC]](2016)|| || '''[[이재학]]'''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10년/신인 드래프트|2010년 2라운드]] ||[[두산 베어스|두산]](2010~2011)-[[NC 다이노스|NC]](2012~)|| || [[류현동]]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15년/신인 드래프트|2015년 9라운드]] ||고려대-[[삼성 라이온즈|삼성]](2015~2017)|| || '''[[구자욱]]''' || 내야수 || [[한국프로야구/2012년/신인 드래프트|2012년 2라운드]] ||[[삼성 라이온즈|삼성]](2012~)|| || [[김호은]] || 외야수 || [[KBO 리그/2016년/신인 드래프트|2016년 2차 7라운드]] ||연세대-[[LG 트윈스|LG]](2016~2022)|| || [[박종윤(1993)|박종윤]]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12년/신인 드래프트|2012년 2라운드]] ||[[넥센 히어로즈|넥센]](2012~2017)|| || [[서동민]]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14년/신인 드래프트|2014년 2차 6라운드]] ||[[SK 와이번스|SK]]/[[SSG 랜더스|SSG]](2014~2023)|| || [[채상준]] || 포수 || 2018년 [[육성선수]] 입단 ||영남대-[[삼성 라이온즈|삼성]](2018~2020)[* 방출된 후 [[불펜 포수]]로 삼성에 계속 남아 있다.]|| || [[김문수(1997)|김문수]] || 내야수 || [[2019 KBO 신인 드래프트|2019년 2라 8라운드]] ||강릉영동대-[[두산 베어스|두산]](2019~2022)|| || [[김현제]] || 투수 || 2020년 [[육성선수]] 입단 ||영남대-[[한화 이글스|한화]](2020)|| || [[신창희]] || 포수 || [[KBO 리그/2016년/신인 드래프트|2016년 2차 7라운드]] ||[[두산 베어스|두산]](2016~2023)|| || [[최주엽]] || 투수 || [[KBO 리그/2016년/신인 드래프트|2016년 2차 8라운드]] ||[[삼성 라이온즈|삼성]](2016~2017)|| || [[박성환(야구선수)|박성환]] || 투수 || [[KBO 리그/2017년/신인 드래프트|2017년 2차 10라운드]] ||[[두산 베어스|두산]](2017~2020)|| || [[이종혁(야구선수)|이종혁]] || 투수 || [[KBO 리그/2017년/신인 드래프트|2017년 2차 2라운드]] ||[[kt wiz|KT]](2017~)|| || [[조현덕]] || 외야수 || [[KBO 리그/2017년/신인 드래프트|2017년 2차 9라운드]] ||[[삼성 라이온즈|삼성]](2017)|| || [[김범준(2000년 4월)|김범준]] || 내야수 || [[2019 KBO 신인 드래프트|2019년 2차 5라운드]] ||[[NC 다이노스|NC]](2019~)|| || [[김주섭(야구선수)|김주섭]] || 투수 ||2023년 [[육성선수]] 입단 ||고려대-[[KIA 타이거즈|KIA]](2023)|| || [[박영완(야구선수)|박영완]] || 외야수 || [[2019 KBO 신인 드래프트|2019년 2차 5라운드]] ||[[롯데 자이언츠|롯데]](2019~)|| || [[백현수]] || 투수 || 2023년 [[육성선수]] 입단 ||경희대-[[kt wiz|KT]](2023)|| || [[신준우]] || 내야수 || [[2020 KBO 신인 드래프트|2020년 2차 2라운드]] ||[[키움 히어로즈|키움]](2020~)|| || [[여도건]] || 투수 || [[2020 KBO 신인 드래프트|2020년 2차 9라운드]] ||[[kt wiz|KT]](2020~2022)|| || [[이승민(2000)|이승민]] || 투수 || [[2020 KBO 신인 드래프트|2020년 2차 4라운드]] ||[[삼성 라이온즈|삼성]](2020~)|| || [[한연욱]] || 투수 || [[2020 KBO 신인 드래프트|2020년 2차 9라운드]] ||[[삼성 라이온즈|삼성]](2020~)|| || [[현원회]] || 포수 || [[2020 KBO 신인 드래프트|2020년 2차 4라운드]] ||[[SK 와이번스|SK]]/[[SSG 랜더스|SSG]](2020~)|| || [[박형준(2001)|박형준]] || 외야수 || [[2021 KBO 신인 드래프트|2021년 2차 6라운드]] ||[[SSG 랜더스|SSG]](2021~2023)-[[롯데 자이언츠|롯데]](2023)-[[연천 미라클]](2024~)|| || [[전영준]] || 투수 || [[2022 KBO 신인 드래프트|2022년 2차 9라운드]] ||[[SSG 랜더스|SSG]](2022~)|| || [[김정운(야구선수)|김정운]] || 투수 || [[2023 KBO 신인 드래프트|2023년 1라운드]] ||[[kt wiz|KT]](2023~)|| || [[박장민]] || 내야수 || [[2023 KBO 신인 드래프트|2023년 10라운드]] ||[[삼성 라이온즈|삼성]](2023~)|| || [[이로운(2004)|이로운]] || 투수 || [[2023 KBO 신인 드래프트|2023년 1라운드]] ||[[SSG 랜더스|SSG]](2023~)|| || [[신경민(야구선수)|신경민]] || 투수 || [[2024 KBO 신인 드래프트|2024년 7라운드]] ||[[삼성 라이온즈|삼성]](2024~)|| || [[홍유원]] || 투수 || [[2024 KBO 신인 드래프트|2024년 4라운드]] ||[[NC 다이노스|NC]](2024~)|| == 둘러보기 == [include(틀:청룡기 전국고교야구대회 역대 우승 고교)] [include(틀: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 역대 우승 고교)] [include(틀:전국 명문고 야구열전 역대 우승 고교)] [include(틀: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 역대 우승 고교)] [[분류:대한민국의 고교야구]][[분류:대구광역시 연고 구단]][[분류:1976년 창단]][[분류:대구고등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