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구광역시의 행정구역 변천사)] [include(틀:일제강점기의 부)] ||<-4>
'''{{{#000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제국, 출력= )] [[경상북도|{{{#000 경상북도}}}]]의 [[부(행정구역)|{{{#000 부}}}]]}}}'''[br]{{{#!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대구부 마크(1927~?).png|height=65]]||{{{#000 '''{{{+1 대구부}}}'''[br]大邱府[br]{{{-1 Taikyū City}}}}}} ||}}} || ||<-2> {{{#fff '''부청 소재지'''}}} ||<-2> 대구부 동운정(東雲町) 소재[* 현재 중구 동인동1가 2-1] || ||<-2> {{{#fff '''상위 행정구역'''}}} ||<-2> [[경상북도]] || ||<-2> {{{#fff '''하위 행정구역'''}}} ||<-2> 정 || ||<-2> {{{#fff '''면적'''}}} ||<-2> 116.82km²(1938년) || ||<-2> {{{#fff '''인구'''}}} ||<-2> 206,638명(1944년) || ||<-2> {{{#fff '''존속기간'''}}} ||<-2> '''1910년 10월 1일 ~ 1949년 8월 14일'''[* 1949년 8월 15일 대구시로 개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대구부청.jpg|width=336]]}}} || || '''대구부청[br]{{{-2 현재의 대구광역시의회 자리에 있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대구본정통.jpg|width=100%]]}}} || || '''본정통의 모습[br]{{{-2 현재의 서성로 일대로 당시 대구의 주요 도로였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일제강점기북성로야경.jpg|width=100%]][[파일:대구미나카이_야경.jpg|width=100%]]}}} || || '''북성로 일대와 미나카이 백화점의 밤모습[br]{{{-2 북성로에는 미나카이 백화점을 비롯한 상업시설들이 들어섰으며 화려한 야경 덕분에 대구의 긴자라고 불렀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제강점기 당시 설치되었던 부로 현재 [[대구광역시]]의 전신이다. == 역사 == [[1910년]] 일제에 의해 대구군 지역에 대구부가 설치되었다. [[1911년]]에 중심 시가지 지역에 있던 서상면과 동상면을 합쳐 대구면을 설치하였고 [[1914년]]에는 대구면을 제외한 지역을 달성군으로 분리하면서 면적이 크게 줄어들었으나 [[1938년]] 달성군과 경산군 일부를 편입해 면적이 늘어났다. 하위 행정구역으로 일본인 거주지역은 정(町), 조선인 거주지역은 동(洞)을 사용하여 구분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는데, 1914년 달성군 분리 당시의 대구부 지역과 1917년 편입한 현 대봉동 일대는 정을 사용했지만 1938년에 편입한 지역은 동을 사용했다. 1920년대까지는 조선 제4의 도시였으나 [[인천부]]가 경성의 외항 및 공업도시로써 발전하면서 순위가 밀려났지만 인구 밀도는 인천부를 2배 이상 압도했으며 해방 전까지 조선 5대 도시 자리를 유지했다. 특이한 점으로, 일제강점기에 정해진 각 부의 휘장은 대부분 해방 후 교체되었으나, 대구부 휘장은 해방 후에도 오랫동안 교체되지 않고 1996년까지 대구시와 대구직할시의 휘장으로 계속 사용되었다. 그런 이유로, 지금도 대구광역시의 맨홀에서는 이 휘장을 종종 찾아볼 수 있다. == 역대 부윤 == [Include(틀:역대 일제강점기 및 미군정 대구광역시장)] [[대구광역시장#역대 경상북도 대구부윤|역대 경상북도 대구부윤]] 참조 == 둘러보기 == [Include(틀:대구광역시의 행정구역 변천사)] [Include(틀:일제강점기의 행정구역)] [각주][[분류:경상북도의 폐지된 행정구역]][[분류:대구광역시의 역사]][[분류:일제강점기의 행정구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