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구광역시경찰청 휘하 경찰서)] ||<-2> || || '''대구중부경찰서''' || ||<-2> {{{#!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대한민국경찰참수리.svg|height=50]]||{{{+1 {{{#2350a9 '''대구중부경찰서'''}}}}}} [br] {{{#2350a9 大邱中部警察署}}} [br] {{{#2350a9 Daegu Jungbu Police Station}}} ||}}} || || '''{{{#ffffff 설립일}}}''' || [[1945년]] [[10월 21일]] || || '''{{{#ffffff 경찰서장}}}''' || 시진곤 || ||<|8> '''{{{#ffffff 소재지}}}'''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대구광역시 중구 경상감영길 55, 너비=100%)]}}}|| || ~~[[대구광역시]] [[중구(대구광역시)|중구]] 경상감영길 55~~[* 신청사 신축으로 폐쇄 및 임시청사로 이전]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대구광역시 중구 국채보상로 561, 너비=100%)]}}}|| || [[대구광역시]] [[중구(대구광역시)|중구]] 국채보상로 561[br]([[메리츠화재]]빌딩)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대구광역시 중구 국채보상로 573, 너비=100%)]}}}|| || [[대구광역시]] [[중구(대구광역시)|중구]] 국채보상로 573[br]([[흥국생명]]빌딩)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대구광역시 중구 중앙대로 425, 너비=100%)]}}}|| || [[대구광역시]] [[중구(대구광역시)|중구]] 중앙대로 425[br](중앙로빌딩) || || '''{{{#ffffff 상급기관}}}''' || [[대구광역시경찰청]] || || '''{{{#ffffff 웹사이트}}}''' || [[https://www.dgpolice.go.kr/jungbu|대구중부경찰서 공식사이트]]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구광역시경찰청]] 관할의 경찰서. [[대구광역시]] [[중구(대구광역시)|중구]] 일대의 치안, 교통, 범죄수사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 청사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대구중부경찰서임시청사이전_20211101.png|width=100%]]}}} || ||<-2> {{{#fff '''메리츠화재 빌딩'''}}} || || '''층수''' || '''주요 기능''' || || '''7층''' ||경무과 || || '''5층''' ||여성청소년과, 경비교통과 || || '''3층''' ||생활안전과, 정보안보외사과 || || '''2층''' ||민원실, 청문감사인권관 || ||<-2> {{{#fff '''흥국생명 빌딩'''}}} || || '''층수''' || '''주요 기능''' || || '''10층''' ||수사지원팀, 교통조사팀 || || '''9층''' ||여성수사팀 || || '''8층''' ||형사팀, 형사지원팀 || || '''7층''' ||112상황실, 지능팀 || || '''3층''' ||경제팀, 사이버수사팀 || ||<-2> {{{#fff '''중앙로 빌딩'''}}} || || '''3층''' ||교통안전계, 과학수사팀 || 기존 청사의 노후화 문제로 각 부서가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중앙로역(대구)|중앙로역]] 인근 민간 빌딩을 임시청사로 사용 중이다. 만경관 옆 메리츠화재 빌딩[* [[대구광역시]] [[중구(대구광역시)|중구]] 국채보상로 561], 흥국생명 빌딩[* [[대구광역시]] [[중구(대구광역시)|중구]] 국채보상로 573], 중앙로 빌딩[* [[대구광역시]] [[중구(대구광역시)|중구]] 중앙대로 425] 건물에 각 부서가 분산되어 입주해 있는 상태이며, 신청사가 완공되면 이전할 계획이다. == 연혁 == ||
<:><#2350a9> {{{#FFFFFF '''날짜'''}}} ||<#2350a9> {{{#FFFFFF '''내용'''}}} || ||<:> [[1945년]] [[10월 21일]] ||국립경찰 창설과 동시에 대구경찰서 개서 || || [[1946년]] [[9월 1일]] ||남대구경찰서 신설로 동, 남부지역 및 달성군 일부 이관 || || [[1959년]] [[12월 1일]] ||동대구경찰서 신설로 북부지역 이관 || || [[1979년]] [[10월 15일]] ||대구중부경찰서로 개칭(대통령령 제7645호) || || [[1979년]] [[10월 19일]] ||서부경찰서 신설로 서부지역 이관 || || [[1981년]] [[7월 1일]] ||직할시 승격, 대구직할시 중부경찰서로 개칭(법률 제3424호) || || [[1985년]] [[9월 16일]] ||현 청사 개축[* 대지 1,050평 * 연건평 1,586평(지상 5층, 지하 1층)] || || [[1995년]] [[3월 1일]] ||대구광역시 지방경찰청 중부경찰서로 개칭(대통령령 제14434호) || || [[1999년]] [[6월 16일]] ||청문감사실 개칭, 형사과.수사과 통합 → 수사과, 경비과.교통과 통합 → 경비교통과, 정보과.보안과 통합 → 정보보안과 || || [[2001년]] [[12월 24일]] ||중부경찰서에서 대구중부경찰서로 개칭 || || [[2003년]] [[9월 16일]] ||파출소 → 3개 순찰지구대 통합 || || [[2005년]] [[3월 3일]] ||교통정보센터 이전(장소 : 수성구 지산동 대구광역시경찰청) || || [[2010년]] [[4월 30일]] ||치안센터에서 중앙파출소로 재개소 || || [[2016년]] [[9월 17일]] ||동덕지구대 신청사 개소 || || [[2018년]] [[9월 13일]] ||중앙파출소 신청사 개소 || || [[2020년]] [[6월 9일]] ||역전치안센터/청소년경찰학교 이전·신축 || == 지구대, 파출소, 치안센터 == ||
<:><#2350a9> {{{#FFFFFF '''지구대명'''}}} ||<#2350a9> {{{#FFFFFF '''소재지'''}}} ||<#2350a9> {{{#FFFFFF '''전화번호'''}}} || || 동덕지구대 || 대구광역시 중구 국채보상로 140길 16(동인동2가) || 053-420-1306 || || 서문지구대 || 대구광역시 중구 국채보상로99길 12(동산동) || 053-420-1302 || || 남산지구대 || 대구광역시 중구 달구벌대로 2048(남산동) || 053-420-1304 || ||
<:><#2350a9> {{{#FFFFFF '''파출소명'''}}} ||<#2350a9> {{{#FFFFFF '''소재지'''}}} ||<#2350a9> {{{#FFFFFF '''전화번호'''}}} || || 중앙파출소 || 대구광역시 중구 중앙대로81길 88(수동) || 053-420-1311 || ||
<:><#2350a9> {{{#FFFFFF '''치안센터명'''}}} ||<#2350a9> {{{#FFFFFF '''소재지'''}}} ||<#2350a9> {{{#FFFFFF '''전화번호'''}}} || || 동인치안센터 || 대구광역시 중구 동덕로 180(동인동1가) || 053-420-1305 || || 대봉치안센터 || 대구광역시 중구 명륜로 152(대봉동) || 053-420-1303 || || 서문시장치안센터 || 대구광역시 중구 큰장로28길 12번(대신동) || 053-420-1307 || || 역전치안센터 || 대구광역시 중구 종로 101(태평로3가) || 053-420-1309 || || 남문치안센터 || 대구광역시 중구 명덕로35길 41(남산동) || 053-420-1301 || || 신남치안센터 || 대구광역시 중구 명덕로 95(남산동) || 053-420-1308 || == 조직 == * 경찰서장 * 청문감사인권관 * 민원봉사실(일반민원) * 112 치안종합상황실 * 관리팀 * 상황팀 * 지구대·파출소·치안센터 * 경무과 * 경무계 * 경리계 * 정보화장비계 * 생활안전과 * 생활안전계 * 생활질서계 * 여성청소년과 * 여성청소년계 * 여성청소년수사팀 * 수사과 * 수사지원팀 * 경제범죄수사팀 * 지능범죄수사팀 * 사이버범죄수사팀 * 형사과 * 형사지원팀 * 형사팀 * 실종전담팀 * 경비교통과 * 경비작전계 * 교통관리계 * 교통안전계 * 교통조사계 * 교통범죄수사팀 * 민원봉사실(교통민원) * 정보안보외사과 * 공공안녕정보계 * 안보계 * 외사계 == 관련 문서 == * [[대구광역시경찰청]] == 대중교통 == === 버스 === * 만경관앞 : [[대구 버스 234|234]], [[대구 버스 240|240]], [[대구 버스 323, 323-1|323]], [[대구, 경산 버스 939|939]] * 곽병원앞1 : [[대구 버스 156|156]], [[대구 버스 309|309]], [[대구 버스 425|425]], [[대구 버스 524|524]], [[대구 버스 623|623]], [[대구 버스 724|724]] * 곽병원앞2 : [[대구 버스 급행1|급행1]], [[대구 버스 급행3|급행3]], [[대구 버스 급행5|급행5]], [[대구 버스 급행6|급행6]] * 만경관건너 : [[대구 버스 234|234]], [[대구 버스 240|240]], [[대구 버스 323, 323-1|323-1]] * 곽병원건너 : [[대구 버스 156|156]], [[대구 버스 309|309]], [[대구 버스 425|425]], [[대구 버스 524|524]], [[대구 버스 623|623]], [[대구 버스 724|724]], [[대구 버스 909|909]], [[대구, 경산 버스 939|939]], [[대구 버스 급행1|급행1]], [[대구 버스 급행3|급행3]], [[대구 버스 급행5|급행5]], [[대구 버스 급행6|급행6]] * 삼정빌딩앞/성내3동행정복지센터 : [[대구 버스 651|651]], [[대구 버스 653|653]]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대구종로초등학교, version=27, paragraph=5.1)] === 도시철도 === || 역명 || 노선 || ||<|1> [[중앙로역(대구)|중앙로역]] || [[파일:Daegu1.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 기타 == * 관내에 [[대구역]]과 대구 최고의 번화가인 [[동성로(대구)|동성로]]가 있기 때문에 압도적인 치안수요를 자랑하는 곳이다. 실제로 [[동성로(대구)|동성로]]를 담당하고 있는 동덕지구대는 [[대구광역시경찰청]]의 지구대/파출소 중 가장 많은 112 신고건수를 받아내고 있다. ~~금요일 밤마다 [[헬게이트]]가 열린다~~ * 민생치안 뿐만 아니라 경비수요도 많은 경찰서다. [[대구광역시청]], [[중구청(대구)|대구 중구청]], [[한국은행]]이 있다. 대구의 중심가라는 특성상 중앙로 대중교통 전용지구와 시/구청 앞에서 크고 작은 집회시위가 다발하고 있다. 또한 관내 [[서문시장]]은 대통령을 비롯한 정치인들이 민심 파악을 위해 자주 방문하는 장소 중 하나다. 과거에는 [[경찰청 의무경찰|의무경찰]]로 구성된 방범순찰대[* 구. 대구 119중대]가 있었지만 현재는 해체되었다.[* [[대구동부경찰서]], [[대구성서경찰서]]의 경우 의경부대가 쓰던 부지에 [[경찰기동대|경찰관기동대]]가 새로 들어왔지만 대구중부경찰서는 청사 이전 문제로 인해 입주하지 않았다.] * 과거의 대구중앙파출소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 [[반월당역]]과 [[동성로(대구)|동성로]]의 중간지점에 있었기 때문에, ''''중파 앞'''' 이라고 불리며 대구시민들의 약속 장소로 각광받았다. 지금은 [[약령시(대구)|대구 약령시]] 인근으로 이전했지만, 해당 건물[* 현재는 관광안내센터로 활용 중.]을 두고 아직까지 중파라고 부르는 사람들이 있다. * 구 청사에는 [[판옵티콘]] 구조의 2층 [[유치장]]이 설치되어 있었다. 광역유치장 제도가 실시된 후에는 사용을 하지 않다가 경찰역사체험관이라는 전시관으로 리모델링되었다.[* 단 권위주의 정권 시대의 [[경찰기동대|진압경찰]] 활동을 미화한다거나, 경찰역사를 설명하며 [[일본제국 경찰|일제 경찰]]의 역사를 비판 없이 서술하고 있다는 [[https://m.cnbnews.com/m/m_article.html?no=412238|비판]]이 있었다.] 해당 시설은 연간 2만명이 방문하는 등 [[대구근대문화골목]] 투어 코스의 일부로 인기를 끌었지만 신청사 이전을 위해 운영을 종료했다. [[분류:대구광역시경찰청]][[분류:1945년 설립]][[분류:대구광역시]]